• Title/Summary/Keyword: Pelvic irradiation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골반부 암 치료 시 초음파검사를 통한 방광체적과 CBCT영상 방광체적의 비교 (A comparison of bladder volume by sonogram and CBCT for Pelvic region cancer)

  • 손성호;박하령;백정진;손종기;최민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12
    • /
    • 2019
  • 목 적: 골반부 방사선 치료 시 방광체적에 따라 방사선 조사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방광체적을 조절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펄스진단장치(BVI 6100, (주)메디칼써프라이)를 이용하여 방광체적 변화를 추적하여 BVI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 BVI를 이용하여 획득한 방광체적과 CBCT영상에서 획득한 방광체적을 구간별로 비교한 후 그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전체 체적 구간에서의 BVI와 CBCT는 r=0.773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치료계획영상에서의 방광체적을 기준으로 p값이 125~175cc에서는 0, 175~275cc에서는 0.05보다 낮게, 그리고 275~375cc에서는 0.05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방광체적이 275cc 이상의 환자의 경우 BVI와 CBCT영상 간의 방광체적이 유의성이 있으나 방광을 비우는 환자의 경우 BVI측정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175~275cc 환자에 대해서는 BVI의 보정값을 이용하여 적절한 체적오차허용범위를 사용하면 유의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성적 (Radiotherapy Result of the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박찬일;하성환;강순범;이효표;신면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1호
    • /
    • pp.107-113
    • /
    • 1984
  • One hundred sixty one patients with the carcinoma of uterine cervix received curative radiotherapy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December, 1979 and December, 1982. According to FIGO classification; stage $I_a 1(0.6\%)\;1_b\;8(5.0\%),\;II_a\;31(19.3\%),\;II_b\;66(41.0\%),\;III_a\;3(1.8\;%),\;III_b\;46(28.6\%)\;and\;IV_a\;6(3.7\;%)$. The proportion of early stage cancer is too small because most of them treated by surgery. External beam whole pelvic irradiation was done first with 10MV x-ray or Co-60 gamma ray upto 4,000 or 5,000 rad for early and advanced cases, followed by one or two courses of intracavitary radiation using Fletcher-Suit Applicator loading c Cs-137. Supplementary external radiation to pelvic side wall to bring dose to 6,000 or 6,500 rads, if there is parametrial involvement or positive pelvic lymph node. Of the 161 Patients, 49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but only 22 patients were lost in disease free state. And so, 86.3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followed to time of recurrence or to da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Locoregional control rates according to stage is: stage I $100\%,\;II_a\;90.3\;%,\;II_b\;75.8\%,\;III_a\;66.7\%,\;III_b\;58.7\%\;and\;IV_a\;16.7\%$, respectively. 2. Persistent or recurrent disease were localized in pelvic cavity in 32 of 50 patients and 6 had distant metastasis only. 3. Rectal bleeding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nd appeared mostly between 6 and 24 months after radiotherapy. Most of them had transient minor bleeding and only 2 patients needed transfusion and 1 patient needed colostomy due to rectovaginal fistula. 4. The 3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is: stage I $100\%,\;II_a\;78.0\%,\;II_b\;60.6\%,\;III_a\;66.7\;III_b\;46.3\%\;and\;IN_a\;16.7\%$, respectively.

  • PDF

방사선 이리디움(Ir-192) 근접치료의 임상적 응용 (The Clinical Application of Radioactive Iridium (Ir-192) Brachytherapy)

  • 유성열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8
    • /
    • 1989
  • Brachytherapy is known to be a good modality to achieve local control as a boost treatment following limited external irradiation, which may reduce the external beam related complication particularly in head and neck cancer. The authors developed iridium-192 ribbons recently to replace the radium needles in the field of brachytherapy. Total of 48 cases of head and neck and pelvic-perineal cancer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Ir-192 ribbons during last two years from October 1986 to September 1988,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fabricated sourc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Iridium implant resulted excellent tumor control effect in clinical application. 2. Iridium is superior than radium and cecium in brachytherapy because of easier to use and lesser exposure to the personnel. 3. Afterloading technique is useful to modify dose distribution, to expand treatment site and method, and to develop interstitial hyperthermia.

  • PDF

자궁경부암 강내 방사선 조사장치에 의한 직장 및 방광의 피폭선량 평가 (Dose Distribution of Rectum and Bladder in Intracavitary Irradiation)

  • 추성실;오원용;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261-270
    • /
    • 1984
  • The intrauterine irradi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adequate tumor dose to central tumor mass of uterine malignancy in radiotherapy. The complications of pelvic organ are known to be directly related to radiation dose and physical parameters. The simulation radiation and medical records of 20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intrauterine irradiation from Feb. 1983 to Oct. 1983, were critically analized. The physical parameters to include distances between lateral walls of vaginal fornices, longitudinal and lateral angles of tandem applicator to the body axis,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os of uterine cervix to the central axis of ovoids were measured for low dose rate irradiation system and high dose rate remote control afterloading system. The radiation doses and dose distributions within cervical area including interesting points and bladder, rectum, according to sources arrangement and location of applicator, were estimated with personal computer. Followings were summary of study results ; 1. In distances between lateral walls of vaginal fornices, the low dose rate system showed as $4\~7cm$ width and high dose rate system showed as $5\~6cm$. 2. In horizontal angulation of tandem to body axis, the low dose rate system revealed mid position$64.6\%$, left deviation $19.2\%$and right deviation $16.2\%$. 3. In longitudinal angulation of tandem to body axis, the mid position was $11.8\%$ and anterior angulation $88.2\%$ in low dose rate system but in high dose rate system, anterior angulation was $98.5\%$. 4. Down ward displacement of ovoids below external os was only $3\%$ in low dose rate system and $66.7\%$ in high dose rate system. 5. In radiation source arrangement, the most activities of tandem and ovoid were 35 by 30 in low dose rate system but 50 by 40 in high dose rate system. 6. In low and high dose rate system, the total doses an4 TDF were 50, 70 Gy and 141, 123, including 40 Gy external irradiation. 7. The doses and TDF in interesting points Co, B, were 93, 47 Gy and 230, 73 in high dose rate system but in low doss rate system, 123, 52 Gy and 262, 75 respectively. 8. Doses and TDF in bladder and rectum were 70, 68 Gy and 124, 120 in low dose rate system, but in high dose rate system, 58, 64 Gy 98, 110 respectively, and then grades of injuries in bladder and rectum were 25, $30\%$ and 18, $23\%$ respectively.

  • PDF

자궁경부암 IB와 IIA 환자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결과 (Results of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tage IB and IIA)

  • 안성자;남택근;정웅기;나병식;최호선;변지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41-48
    • /
    • 1995
  • 목적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요법은 근치적수술을 시행하고 재발의 위험이 높은 불량한 예후를 갖는 환자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생존과 치료실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5년 8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자궁경부암 병기 IB와 IIA환자 106명중 기록이 충분한 9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적율은 $88\%$(78/90)였고 추적기간의 중간간은 64개월이었다. 결과 : 90명에 대한 5년 생존율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80.0\%$, $80.2\%$였다. 다변량생존분석에서 65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병기, 조직학적 분류, 수술전 혈중 CIA 농도, 출산력, 경부침윤정도, 종양의 육안적 크기, 종양의 궤양성 유무, 임파선 전이 유무, 수술절단면의 소견, 항암제치료 유무를 변수로 분석결과 수술절단면의 조직학적인 소견(p=0.005), 임파선전이유무(p=0.005)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추적기간중 13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부위별로 보면 골반내 국소재발이 5명, 원격전이가 8명 이었으며 수술후 3개월에서 39개월사이에 발견되었으며 중간값은 19개월이었다. 골반내 전이는 선암(p=0.034)과 경부침윤 10mm 이상(p=0.02) 그리고 항암제치료(p=0.023)를 시행하였던 환자군에서, 원격 전이에 있어서는 임파선전이와 수술절단면에서 암세포가 양성을 보였던 환자군에서 각각 더 높은 전이율을 보였다. 치료에 의한 합병증을 호소하였던 환자는 15명이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혈변이나 혈뇨였고 중증의 합병증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 이에 저자는 조기자궁경부암 IB와 IIA환자에서 수술병리학적소견중 임파선전이와 불충분한 수술적절제가 예후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소견을 보인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보조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자궁경부 선암 환자에 대한 생존율과 실패양상 분석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v for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이호준;김진희;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16-22
    • /
    • 1999
  • 목적 : 자궁경부암 환자들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선암으로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과 실패양상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중 선암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는 FIGO분류상 Ib가 12례, IIa가 9례, IIb가 19례, IIIb가 5례 이었으며, 환자들의 연령은 중앙값이 54세이었다 체외 방사선치료는 주로 골반부위만을 치료하였으며, 복부 대동맥 림프절(Paraaortic node; PAN)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를 6례에서 시행하였는데, 1례를 제외하고 나머지 5례의 환자가 모두 골반 컴퓨터 단층촬영 사진에서 골반 림프절 전이가 있었기 때문에 예방적 치료를 하였다. 체외 방사선치료후 모든 환자가 강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방사선치료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가 16례이었다. 중앙 및 최대추적기간은 각각 64개월, 116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55.2$\%$였으며, 각 병기별로는 Ib가 100$\%$, IIa가 50.8$\%$, llb가 46.8$\%$, IIIb가 40$\%$(3년)였다. 환자의 연령, 종양의 형태, 암세포 분화도, 항암화학요법의 사용 여부, 골반 림프절 전이 여부, 각 병기별 방사선량 등은 환자의 생존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병기와 종양의 크기가 생존율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실패양상은 각 병기별 국소 실패율이 Ib가 0%, IIa가 33.3$\%$, IIb가 57.9%$\%$ IIIb가 60였으며, 원격전이율은 Ib가 0$\%$, IIa가 33.3$\%$, IIb가 21.1$\%$, IIb가 40$\%$였다. 특히 복부 대동맥 림프절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6명에서 원격전이는 없었으나, 복부 대동맥 림프절에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는 복부 대동맥 림프절을 포함한 원격전이가 23.1$\%$(9/39명)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 다른 저자들의 연구와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주로 II기 환자에서 복부 대동맥 림프절을 포함한 원격전이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므로 선암환자 전체에 대해, 특히 골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복부 대동맥 림프절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에 대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for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이경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59-368
    • /
    • 1995
  • 목적 : 자궁경부암환자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외부조사와 강내조사를 시행한 환자의 실패양상과 생존율을 관찰하고 예후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1982년 3월 부터 1990년 5월 까지 8년간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이대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280예 중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로서 외부조사와 강내조사를 완료한 환자 114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연령분포는 30세에서 77세 까지로 중앙값은 53세이었다. FIGO에 의한 병기분포는 IB 19예($16.7{\%}$), IIA 23예($20.2{\%}$), IIB 42예($36.8{\%}$), IIIA 12예($10.5{\%}$), IIIB 18예($15.8{\%}$)이었다. 병리조직학적소견은 112예가 편평상피암이었고 2예는 선암이었다. 방사선치료방법으로 외부조사는 6MV 선형가속기(6MV,NEC 1000X)를 사용하여 전 골반강에 40-54 Gy를 조사하였으며, 강내조사는 Cs-137 밀봉선원으로 Fletcher-Suit applicator를 사용하여 1회 내지 2회 시행하여 point A에 40-42 Gy를 조사하여 point A의 총 방사선 선량은 병기 IB-IIA는 80-90 Gy(중앙값: 8580 cGy)로, IIB이상은 85-100 Gy(중앙값: 8850 cGy)로 하였다.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85개월로서 중앙값은 30개월이었다. 결과 : 국소실패만 보인 경우는 20예로 전체환자의 $17.5{\%}$이었으며 원격전이와 동반한 국소실패를 보인 경우는 7예($6.1{\%}$)로 전체 국소실패율은 $23.7{\%}$(27/114)이었다. 병기에 따른 국소실패율은 IB에서 $10.5{\%}$, IIA에서 $8.7{\%}$, IIB에서 $23.8{\%}$, IIIA에서 $50.5{\%}$, IIIB에서 $38.9{\%}$이었다. 국소실패부위는 자궁경부가 가장 많아서 전체 국소실패의 $37.5{\%}$(12/32)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자궁막조직으로 $34.3{\%}$(11/32)이었다. 원격전이만 있는 보인 경우는 6예로 전체환자의 $5.3{\%}$를 차지하였다. 원격전이된 부위는 골에 가장 많았으며(4/14), 다음으로 쇄골상관절종(3/14), 간(2/14)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발시기는 치료완료후 3개월에서 50개월이며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직장손상이 5예, 방광손상이 9예로서 총 14예($12.3{\%}$)이었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5{\%}$이었고 병기 IB는 $100{\%}$, IIA는 $76.9{\%}$, IIB는 $77.6{\%}$, IIIA는 $87.5{\%}$, IIIB는 $69.1{\%}$이었다. 5년 무병생존율은 전체환자에서 $53.6{\%}$이었으며, 병기 IB는 $81.3{\%}$, IIA는 $67.9{\%}$, IIB는 $46.8{\%}$, IIIA는 $45.4{\%}$, IIIB는 $34.4{\%}$를 보였다. 무병생존율에 관계되는 예후인자는 다변수 분석에 의하면 performance status(P=0.0063)와 치료반응율(P=0.0026)은 유의성이 있었으나 병기,나이 및 point A의 방사선 선량은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자궁경부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에 의한 치료성적은 병기 IB와 IIA는 양호하였으나 IIB이상에서 Point A의 방사선 선량을 90 Gy이상 증가시켜도 국소실패율이 높고 생존율의 향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항암제 혹은 방사선감작제와 병용함으로써 국소제어율을 높이고 원격전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 PDF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골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lvic Irradiation on the Bone Mineral Content of Lumbar Spine in Cervical Cancer)

  • 윤선민;최태진;구은실;김옥배;이성문;서수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45-151
    • /
    • 1997
  • 목적 :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방사선조사면내의 골무기물 함량변화를 정상대조군 촉 환자군의 골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여 방사선이 골무기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20kVp와 80kVp X선을 이용하는 이중에너지 전산화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서 제 3, 4 및 제 5 요추의 해면골무기물 함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총인원수는 정상대조군 43명과 환자군 43명으로서 86명이며 각 연령별로는 정상대조군 40대 22명, 50대 10명, 60대 11명이었고, 환자군에서는 40대 14명, 50대 14명, 60대 15명이었다. 방사선조사 부위는 골반과 제 5 요추를 포함하여 치료하였으며 외부방사선량은 45-54Gy였으며, 강내치료는 고선량률로 300y를 조사하였다 결과 : 정상대조군과 환자군의 여성에서 골무기물 함량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보였으며,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13\%$에서 최대 $40\%$의 감소를 보였다. 환자군에서 방사선 조사부위에 포함되지 않은 제 3, 4 요추의 각각 골무기물 함량은 40대 $119.5\pm30.6,\;117.0\pm31.7$, 50대 $83.3\pm37.8,\;88.3\pm46.8$, 60대 $61.5\pm18.3,\;56.2\pm26.6mg/cc$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정상군은 각각 40대 $148\pm19.9,\;153.2\pm23.2$, 50대 $96.1\pm30.2,\;105.6\pm26.5$ 및 60대 $73.9\[pm27.9,\;77.2\pm27.2mg/cc$를 각각 보였다. 정상군의 요추골의 골무기물함량은 제 5요추가 각연령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제 3, 4 요추는 제 5 요추에 가까울수록 높은 값에 비해 환자군에서는 방사선조사면에 가까울수록 골무기물함량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방사선조사부위인 환자군의 제 5 요추는 전연령층에서 제 3 요추나 제 4 요추에 비해 낮은 골무기물함량을 보였으며, 정상군에 비해서 40대 $33\%$, 50대 $31\%$와 60대 $40\%$의 골무기물함량의 감소를 보여 방사선의 영향에 의한 감소가 현저하였다. 결론 : 환자군의 요추골의 골무기물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정상대조군의 제 5 요추가 제 3, 4 요추에 비해 높은 골무기물 함량수치를 보인 반면, 환자군에서는 방사선 조사범위에 있는 제 5 요추의 골무기물 함량이 훨씬 낮게 나타나 방사선조사가 요추의 골무기물 함량의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 PDF

자궁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결과 (Therapeutic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ncer)

  • 최두호;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69-376
    • /
    • 1994
  • This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4 patients who wa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fter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adenectomy (53 patients) or total abdominal hysterectomy(11 patients) for uterine cervix cancer between May 1980 and September 1991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Most patients were FIGO IB (31 Patients) and IIA (25 patients), and median period of follow-up was 5.1 years. Of these patients,24 received adjuvant whole pelvis irradiation of 6000 cGy and 40 received 5000-5500 cGy whole pelvis irradiation and/or intracavitary radiation (7 Patients). The actuarial overall and relapse free 5 year survival rate were $71.0\%$, $68.3\%$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by stage were $79.1\%$ in stage I, and $61.2\%$ in stage II. Treatment failure was noted in 18 of 64 patients ($28.1\%$), Iocoregional failure in 8 ($12.5\%$), distant metastasis in 8 ($12.5\%$), paraaortic node metastasis in 1 and one patient and concurrent locoregional and distant metastasis. The un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o overall survival rate represented lymph node status, the number and site of metastatic lymph node, parametrial invasion, the thichness of cervical wall invasion, and size of cancer mass. Histology, vessel invasion, endometrial extension, hemoglobin level. resection margin status, age,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Complication relating to opera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 were variable according to radiation therapy method: 6000 cGy RT group 8/24($33.3\%$), 5000-5500 cGy+ICR 3/7 ($42.9\%$), 5000-5500 cGy external RT only group 3/33 ($9.1\%$).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necessary in high risk patients for locoregional control and improving survival rate, and higher dose does not improve results but only increases complication.

  • PDF

절제연 양성 자궁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Results of Carcinoma of the Cervix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

  • 허승재;김원동;우홍균;김대용;하성환;안용찬;김일한;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317-322
    • /
    • 1996
  • 목적 : 조기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수술 후에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근치적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809예 중에서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 6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48예는 질 절제연 양성이었고 12예는 자궁방 절제연 양성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외부조사와 함께 환자에 따라서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 60예의 무병생존율과 생존율은 5년에 각각 $75.2\%$, $84.1\%$였다. 질 절제연 양성인 환자 48예에 있어서는 강내치료를 추가한 43예 중 9예가 재발했고($21\%$), 외부조사만 시행한 환자 5예 중 2예가 재발했다($40\%$). 자궁방 절제연 양성이었던 12예의 환자에서는 3예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 중 19예에서 치료에 의한 후유증을 보였으며($30\%$), III도의 심한 후유증은 3예($5\%$)에서 관찰되었다. 예후인자의 분석에서는 림프절 전이 여부만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예후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 절제연이 양성인 조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로 $93\%$의 높은 국소제어율을 얻을 수 있었다.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에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필수적이며, 질 절제연이 양성인 경우에는 강내치료를 추가해야 할 것이며,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에 대해서 보다 효과적인 항암 화학요법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