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vic inflammatory diseas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혈중 CA 125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되었던 기관지확장증 1예 (A Case of Bronchiectasis with Elevated Serum CA 125 Level)

  • 신봉철;구태형;김상옥;형건덕;엄수정;이수걸;손춘희;김기남;이기남;노미숙;최필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67-470
    • /
    • 2009
  • CA 125의 상승은 난소의 악성종양에 나타날 수 있지만 비특이적이다. CA 125의 상승은 다양한 양성 질환 혹은 악성 종양에서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최근 지속적으로 혈중 CA 125 수치가 증가되어 있지만 경질 초음파, 흉부 CT, PET-CT 등에서 악성 종양이 발견되지 않은 기관지확장증 1예를 경험하였다. 14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중에도 난소암과 같은 악성 종양은 발견되지 않고 기관지확장증에 병발된 폐렴 이외에는 특이 소견이 없어, 혈중 CA 125의 상승은 기관지확장증에 의한 급성 폐 손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혈중 CA 125 수치의 상승은 환자의 임상 양상과 연관하여 조심스럽게 판단하여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난관불임술후 발생된 임신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Incidental Pregnancies following Tubal Sterilization Surgery)

  • 서병희;이재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0권2호
    • /
    • pp.13-23
    • /
    • 1983
  • In recent days, family planning is not only a problem limitted to our country but an important problem for the while world to solve. Up to present, various methods of sterilization have been developed for population control. When a patient with a previous tubal sterilization by operative method develops any symptoms and signs of pregnancy, we strongly consider it ectopic pregnancy and intrauterine pregnancy. As the cause of sterilization failure, we think that the tubal loop sloughs away and tubal ends either unite and recanalization results or heal and failure of union results in fistula. This present study considered of the 34 cases of ectopic pregnancies and 2 cases of intrauterine pregnancies after tubal sterilization by laparoscopy and Pomeroy's method, at the Dept. of Gynecol. in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6 years from Jan. 1977 to Dec. 1982. Authors take result in this study retrospectively. 1. Mean age was 33.7 years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31.5 years for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2. The number of mean gravida and parity at the sterilization was 4.9, 2.8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4.2, 2.2 for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respectively. 3. The number of mean artificial abortion at the sterilization was all 2.2 for the laparoscopic and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s. 4. Mean intervals from the tubal surgery to the incidental pregnancy was 3.2 years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and 3.8 years for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5. 63.3% of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had problem of inadequate tubal ligation, in comparison to having no inadequate problem in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6. The previous tubal sterilized scar was found to be 6 cases (17.6%) of inner portion, 15 cases (44.4%) of midportion, 13 cases (38.2%) of outer portion at the time of operation. The tubal site of ectopic pregnancy was found to be 23 cases (67.6%) of ampullary portion,S cases ( 4.7%) of isthmic and fimbrial portion, respectively. 7. The causes of table sterilization failure were, in order of frequency, technical error (19 cases), fistula formation (6 cases) and recanalization (5 cases) for the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group and fistula formation (2 cases), technical error (l case), recanalization (l case) fo the Pomeroy tubal sterilization group. 8. As the new applicated contraceptive method in incidental pregnant patient, Authors used 2 gravigard insertion for the two intrauterine pregnancy and 34 Pomeroys' tubal ligation, 2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due to associate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for the 36 tubal pregnancy.

  • PDF

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Ectopic Pregnancy)

  • 황태영;나용연;김종욱;박완석;이태형;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29-235
    • /
    • 1985
  • 1983년 5월 28일 개원 이래 1985년 9월 30일까지 2년 4개월 동안 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영원 산부인과에 입원 가료한 바 있는 자궁외임신 88예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으로 조사, 관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외임신의 분만수에 대한 반도는 1 : 22.2였다. 2. 빈발연령은 30~34세가 38.6%로 가장 많았으며, 25~34세는 67%였다 3. 분만횟수와 임신중절 횟수가 증가할수록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기왕력은 골반염이 25%, 복강경 불임술이 13.7%였으며 반복 자궁외임신은 6.8%였다. 5. 주요증상은 하복부 동통이 85.2%, 질출혈이 56.8%였으여 Shock증상은 3.4%였다. 6. 입원 당시 혈색소치는 8gm% 이하인 경우가 6.8%, 10gm% 이하가 37.5%였으며 복강내 출혈은 1,000ml 이하가 53.4%였으며 2,000ml 이상이 22.8%였다. 7. 뇨 임신반응검사의 양성율은 파열군 (78%) 및 유산군 (63.3%)이 무상군 (54.5%)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 8. 더글라스씨와 천자의 양성율은 75.9%였다. 9. 임신주수별로는 6~9 주 사이가 48.9%로 가장 많았고 12주 이상이 15.9%였다. 10. 착상부위별로는 난관이 96.6%로서 그 중 팽대부가 60.2%, 협부 23.9%, 난관채부 9.1%, 간질부 3.4%였다. 11. 조사기간 동안 내원한 자궁외임신 88예중 사망한 예는 없었다.

  • PDF

소아기 피부근염의 임상적 고찰; 진단시 임상증상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juvenile dermatomyositis; focus on clinical manifestations at diagnosis)

  • 이소영;방지석;김희석;김중곤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116-1124
    • /
    • 2007
  • 목 적 : 소아기 피부근염은 피부와 근육을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산발적인 증례 보고는 있어 왔으나 종합적인 분석은 두가지의 보고가 있을 뿐이다. 이에 저자들은 진단 당시에 소아기 피부근염 환자들의 임상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분석하였다. 방 법 : 1985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 면역 질환 분과에서 소아기 피부근염으로 진단받거나 타병원에서 진단 후 전원된 환아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및 성병분포, 초기 임상 증상, 증상 발현으로부터 진단까지의 시간, 혈청근효소, 자가항체, 근전도, 근생검, 자기공명영상,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은 모두 47명으로 남자가 25명 여자가 22명으로 남녀 비율은 1.14:1이었다. 진단 당시 연령은 $6.51{\pm}0.88$세(1.5-13.25세)였다. 피부 발진은 모든 환아에서 나타났으나 3례의 환아에서는 진단 후 발생하였고, 얼굴 발진이 가장 많았다. 진단 당시 근쇠약감은 44례의 환아에서 나타났으며, 2례는 진단 후 나타났다. 근위부 근쇠약감은 계단을 잘 오르지 못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질병 활성도는 평균 10.8점(3-17점)이었으며, 근쇠약감은 평균 4.91점(0-9점), 피부 병변은 평균 5.89점(0-9점)이었다. 피부와 근육의 증상 이외의 증상은 43%에서 관찰되었고, 석회증이 30%, 관절 구축이 21%, 흡인성 폐렴이 13 %로 관찰되었다. 석회증이 발생한 환아 중 47%는 진단 당시부터 관찰되었고 석회증이 발생한 위치는 골반과 둔부가 50%에 해당하였다. 혈청 근효소의 상승은 LDH가 96%, AST가 80%였다. 자가 항체 중 항핵항체가 59%로 가장 많은 양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반점 모양이 58%에서 관찰되었다. 근전도는 88%에서 근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고, 근생검은 91%에서 피부근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은 9례에서 시행되었고 모두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 변화를 보여 근염에 합당하였다. 결 론 : 소아기 피부근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진단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얼굴 발진, Gottron 발진, heliotrope 발진과 같은 피부 발진과 상하지 근위부 근육의 쇠약감과 같은 임상증상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