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let quality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3초

혼합물 소재의 난연성 향상을 위한 실험연구 사례 (A Case Study of Enhancing Flame Retardancy of Mixture Material)

  • 변재현;정춘식;김동학;박규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631-639
    • /
    • 2019
  • Purpose: In this paper we present a case study of applying quick and easy experimental design approach to develop a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material for cellular phone charger cable. Methods: We employ sequential experimentation of mixture design, verification design, and factorial design. A quick and easy approach is adopted based on data investigation and graphical method instead of strict statistical analysis, which helped enhancing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engineers and speeding up the development process. Results: Flame retardant material in pellet type produced from the optimal condition is transported to the customer and tested, to pass the customer retardancy criteria. Conclusion: The quick and easy experimental design approach is considered to be useful in this case study.

식물유 및 오존산화 식물유를 첨가한 낙엽송 목재펠릿의 생산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by Larix Kaemferi Carr Sawdust with Adding Vegetable Oil and Ozonized Vegetable Oil)

  • 이응수;강찬영;서준원;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59-3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종 중 낙엽송(Larix kaemferi Carr)을 대상으로 하여 콩기름, 폐콩기름, 오존산화 콩기름, 오존산화 폐콩기름을 첨가하여 제조된 목재펠릿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 발열량, 회분, 겉보기밀도, 내구성, 흡습률, 원소분석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펠릿제품의 함수율은 7.66~9.48%로 나타나 목재펠릿의 품질기준 1급인 10% 이하를 만족시켰고, 제조된 각 펠릿의 발열량 측정결과 품질기준(1급) 4,300 kcal/kg을 모두 넘었으며, 기름을 첨가한 모든 펠릿이 대조구보다 높은 발열량을 나타냈다. 회분은 0.34~0.42%로 품질규격 1급인 0.7% 미만의 범주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펠릿 모두가 겉보기 밀도 품질 기준 1급(640 kg/$m^3$)을 만족시켰다. 내구성은 콩기름을 첨가한 펠릿, 오존산화 폐콩기름을 첨가한 펠릿이 품질 기준1급(97.5% 이상)을 만족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의 흐름을 보았을 때 첨가제를 첨가한 펠릿이 무첨가 펠릿보다 내구성이 좋게 나타났다. 흡습률은 24시간 후 흡습률 시험에서 첨가제를 첨가한 펠릿이 모두 무첨가 펠릿보다 낮은 흡습률을 나타냈으며, 5일 경과 후에도 무첨가 펠릿 보다 첨가제를 첨가한 펠릿이 모두 흡습률 감소 현상을 보였다. 원소분석은 황의 함유량이 목재펠릿의 품질기준 1급(0.05%) 이하를 만족시켰고, 질소 함유량 역시 목재펠릿의 품질기준 1급(0.3%) 이하를 만족시켰다.

실험 배합사료, 상품사료 및 생사료 공급이 육성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장, 육질 및 조직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ellets on the Growth, Flesh Quality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growing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경덕;김강웅;이봉주;배기민;서정수;안철민;한현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77-784
    • /
    • 2013
  •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diets consisting of experimental extruded pellets (EP), commercial soft extruded pellets (SEP), and raw-fish-based moist pellets (MP) on the growth, flesh quality, and histology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hree replicated groups of 60 fish each (initial mean weight 152 g) were fed one of two experimental EPs (EP1 and EP2), two commercial SEPs (SEP1 and SEP2), or MP for 11 weeks. The survival, weight gain, and final mean weight of the fish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The highest feed efficiency was in fish fed MP (P<0.05), and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M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EP1, EP2, or SEP1,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EP2. The daily feed intake of the fish fed the EPs and SE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MP (P<0.05). The condition factor, Hepatosomatic Index, and Viscerasomatic Index of the fish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No notable differences in the textural properties of the dorsal muscle, plasma biochemical parameters, or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fish were observed in fish fed any diet. This suggests that extruded pellets can be used to feed growing Korean rockfish without compromising growth, flesh quality, or histopathological change in comparison to raw fish-based moist pellets.

Relief of the negative effects of heat stress on semen quality, reproductive efficiency and oxidative capacity of rabbit bucks using different natural antioxidants

  • El-Ratel, Ibrahim Talat;Attia, Kandil Abdel Hai;El-Raghi, Ali Ali;Fouda, Sara Fikry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5호
    • /
    • pp.844-854
    • /
    • 2021
  • Objective: The potential of extra virgin olive oil (EVOO), betaine (BET), and ginger (GIN), as natural antioxidants, in reducing negative effects of heat stress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tioxidant capacity, semen quality and fertility of bucks under heat stress were investigated. Methods: Forty adult Animal Production Research Institute line rabbit bucks were distributed randomly into four experimental treatments of ten rabbits each. The first treatment was fed the commercial pellet diet (CPD) without supplementation and served as a control. The other three treatments were fed CPD supplemented with EVOO (300 mg), BET (1,000 mg), and GIN (200 mg) per kg diet for 3 consecutive months during the summer season. Results: Supplementation of EVOO, BET, or GIN improved (p<0.05) the sexual desire, progressive motility, vitality, intact acrosome and membrane integrity, sperm cell concentration, sperm outputs and fertility. Seminal plasma total proteins, globulin, total antioxidant capacity, glutathion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initial fructose increased (p<0.05), while total lipids, aspartat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s and malondialdehyde decreased (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mparing the natural antioxidants treatments, GIN evoked the largest improvement. Conclusion: The inclusion of GIN (200 mg/kg diet) appeared to improve the sexual desire, semen quality and oxidative stress of bucks. This may be a beneficial supplement for the management of rabbit bucks used in natural mating or artificial insemination.

시판용 넙치(치어)사료의 성분 비교분석을 통한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Extruded Pellets and Moist Pellet Based on Biochemical Analyses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zichthys Olivaceus)

  • 최세민;한경민;왕소길;이승형;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4-150
    • /
    • 2004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넙치 양식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MP, DEP-1, DEP-2, DEP-3, FEP-1, FEP-2에 대해서 농림부에서 규정하고 성분규격 등록항목 외에 사료의 P/E ratio, POV, AnV, Totox, VBN, 총균수, 사료내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과 그동안 이루어진 넙치 사료영양관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국내 시판중인 넙치 사료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6가지 사료 모두 요구량 이상으로 단백질이 과잉첨가 된 것으로 생각되며 MP, DEP-1, DEP-2, FEP-1은 사료 내 지질 함량도 과잉첨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H ratio를 기준으로 볼때, MP와 FEP-2는 특히 단백질 함량이 과잉 첨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FEP-1는 특히 지방이 너무 많이 첨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MP가 배합사료에 비해 사료내 인 함량이 요구량 이상으로 과잉 첨가되어 있어 수질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산패 및 단백질 부패는 MP가 배합사료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이 높으며, 더욱더 취급 시에 보관 및 관리에 신경을 써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는 DHA와 EPA 모두 MP가 배합사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배합사료는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료 내 라이신 함량은 MP와 FEP-2가 요구량 수준으로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외 사료들은 요구량 기준으로 라이신 함량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가첨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농림부에서 양축용 사료 및 반추동물용 섬유질 배합사료의 성분등록을 축종과 사육시기별 품질관리 기준과 같이 양어용 배합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종별, 크기별 품질관리 기준이 마련되어야 사료회사 및 양식업자가 배합사료에 대한 신뢰성을 회복하고, 이를 통하여 생사료에서 배합사료로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배합사료로 장기간 사육된 넙치의 육질평가 (Long-term Evaluation of Muscle Quality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 김강웅;강용진;김경덕;최세민;이종윤;이해영;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55
    • /
    • 2007
  • 이 연구는 실용 배합사료를 자체 제작한 기존의 배합사료, 상품사료 및 습사료를 장기간 걸쳐 사육한 넙치에 대해 육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어는 13개월간 사육한 넙치 성어기(600 g 전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시험사료(EP1 및 EP2) 2종, 상품사료(CEP) 및 습사료(MP)를 공급하였다. 전어체의 성분분석은 조단백질은 EP2가 EP1 및 CEP 사료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은 EP2 및 MP 사료구가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육내 유리아미노산의 성분분석은 EP사료구간에서 MP 사료구보다 proline, glycine, alanine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taurine에 있어서 EP1 사료구가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핵산 관련물질 성분분석은 ATP 및 IMP의 양에서 배합사료에서 습사료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EP2에서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향, 외관, 맛에 있어서 EP 사료구와 MP 사료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 EP2가 다른 사료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의 경도 측정은 EP2는 EP1 및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모든 사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배합사료를 넙치에 공급한 연구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생사료를 공급한 넙치에 비해 품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산 넙치가 체계적인 관리 하에 앞으로 품질향상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삼 종자 후레이크 제조 (Manufacturing of Hemp Seed Flake by Using Extrusion Process)

  • 김철;구본재;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9-105
    • /
    • 2010
  • 경제적 잠재성이 큰 삼 종자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삼 종자의 일반성분을 측정하였고 삼 종자 첨가 압출성형펠릿의 호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 색도, 압착강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조직감 유지 시간(bowl life)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압출성형 공정조건은 배럴온도 90, 100, 110$^{\circ}C$, 수분함량 35%이었다. 삼 종자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함량은 각각 5.67${\pm}$0.02, 25.93${\pm}$0.16, 28.21${\pm}$0.56, 7.70${\pm}$0.08%이었다. 압출성형 펠릿의 페이스트 점도 측정결과 삼 종자 펠릿의 제조에 적합한 압출성형 배럴온도는 100-110$^{\circ}C$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는 0.24-0.43 g/mL 범위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도와 압착강도는 삼 종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럴온도가 9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수분흡착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 유지시간은 5.8-15.5분 범위로 삼 종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삼 종자 첨가량 2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돼지정자의 동결융해 후 활력 및 생존성에 대한 보존액, 동해보호제, 예비동결 및 동결처리시간의 영향 (Effect of Cryodiluents, Cryoprotectants, Pre-freezing Method and Total Time Required for Freezing on Post-thaw Viability of Boar Spermatozoa)

  • 이장희;김인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4
    • /
    • 1999
  • 본 연구는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대한 요인으로써 동결보존액, 동해보호제, 예비동결법 및 동결소요시간을 비교하였다. 동결과정중 정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력, NAR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정액을 BF5, LYE, Soejima 및 modified Soejima 보존액으로 동결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정자활력은 M-Soejima 보존액이 44.5$\pm$6.4%로 다소 높았다. M-Soejima 보존액의 2차 회석액에 caffeine(2mM), heparin(l00 ${\mu}\ell$/$m\ell$) 및 caffeine+heparin 를 첨가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활력은 caffeine 첨가구가 61.7% 로 가장 높았으며, 단독 혹은 혼합첨가가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을 나타내었다 (p<0.05). M-Soejima 보존액에 동해보호제로서 glycerol(Gly), ethylene glycol(EG), propylene glycol(GP), Gly+EG 및 Gly+PG을 첨가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활력 및 NAR 율은 Gly+PG의 혼합첨가시 (31.3%/39.5%) 가 다른 첨가구보다 다소 높았으며 생존율은 Gly+EG 첨가구가 21.2% 로 다른 첨가구보다 다소 높았다. BE5와 M-Soejima 보존액으로 straw 및 pellet 동결법으로 동결하는 동안 dry ice-pellet, dry ice-straw 및 L$N_2$vapor-straw 법으로 예비동결하였을 때 각각 22.8, 47.5, 52.5% 및 42.5, 47.5, 57.5% 의 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M-Soejima 보존액의 straw 법으로 l차 희석부터 동결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2, 5 및 7시간으로 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활력 및 생존율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NAR 율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동결융해 후 활력, NAR 및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caffeine 이 첨가된 M-Soejima 보존액에 동해보호제로 glycerol과 propylene glycol 또는 ehtylene glycol 을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빠르게 동결처리된 정액이 다소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산가수분해한 유채대로부터 유리당의 분리 및 이의 잔사로부터 펠릿의 제조 (Separation of Reducing Sugars from Rape Stalk by Acid Hydrolysis and Fabrication of Fuel Pellets from its Residues)

  • 양인;안병준;김명용;오세창;안세희;최인규;김용현;한규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71
    • /
    • 2014
  • 본 연구는 유채의 바이오리파이너리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채대를 DW, AA, OA, SA 및 SH 용액에 침지하였다. 먼저 침지 유채대의 원소를 분석한 결과, 침지를 통하여 질소, 황, 염소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 침지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을 실험인자로 침지액 내에 존재하는 glucose, xylose, arabinose와 같은 유리당의 양을 조사하였는데, DW- 및 SH-침지액에서는 각각 xylose와 sucrose만 그리고 SA- 및 OA-침지액에서는 소량의 glucose만 검출되었다. 그러나 AA-침지액에서는 많은 양의 glucose와 소량의 arabinose까지 분석되었다. 한편, 유채대 침지에 사용된 산용액의 종류와 농도(1%, 2%)에 따른 glucose 양을 분석한 결과, AA를 침지액의 조제를 위한 산으로 사용하고 AA의 농도를 1%로 조절하는 것이 유채대로부터 효과적으로 glucose를 가수분해할 수 있는 조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시간의 영향을 보면, 72 hr-침지에서 가장 많은 양의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120 hr까지의 침지시간 연장은 유리되는 glucose 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DW, AA, OA 용액에 침지시킨 유채대를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는데, 이 때 산의 농도 그리고 침지시간(24, 72, 120 hr)을 실험 인자로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 겉보기밀도, 회분량, 발열량,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침지 유채대 펠릿의 겉보기 밀도와 발열량은 무침지 유채대 펠릿과 비교하여 크게 높았으며, 실험 인자와 상관없이 EN 규격의 A등급 기준($${\leq_-}600kg/m^3$$, $${\qeq_-}14.1MJ/kg$$)을 각각 상회하였다. 유채대의 침지는 무침지 유채대의 회분량(8.9%)과 비교하여 회분량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AA-와 DW-침지가 유채대의 회분량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지 유채대의 회분량은 EN 규격의 A등급 기준($${\leq_-}5.0%$$)을 만족하였다. 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전반적으로 무침지 유채대 펠릿(97.40%)보다 낮았으며, 특히 OA-2%에 120 hr 침지시킨 유채대 펠릿을 제외하고 나머지 조건은 EN 규격의 B등급($${\qeq_-}96.00%$$) 기준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 유채대의 원소 및 유리당 분석 그리고 펠릿의 품질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1% 농도의 AA 용액에 유채대를 72 hr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유채대의 바이오에탄올 및 펠릿 원료화를 위한 최적조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이 조건에서 1 kg의 유채대를 침지시켰을 경우, 산술적으로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원료인 50 g의 glucose를 얻을 수 있으며, 나머지 950 g의 잔사는 아그로펠릿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AA-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낮은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분화된 범위의 침지 조건 탐색, 목분과의 혼합 펠릿 제조, 바인더의 첨가 등과 같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Review of Clinical Studies on Korean Medicin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 for Allergic Rhinitis in the Korean Literature)

  • 구은진;한재경;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7-8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clinical studies in Korean medicin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and to propose for better methods of clinical studies and effective treatments on allergic rhinitis. Methods Electronic researches were performed with NDSL, RISS, KISTI, KISS, OASIS by keyword 'Allergic rhinitis'. Results The treatments used in 36 studies were herbal medicines,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moxibustion, cupping, inject medicine to nasal cavity, aroma therapy, ointment, nasal cleansing solution, laser treatment, infra-red therapy, oxygen nebulizer, diet treatment, moxa-pellet treatment, mindfulness meditation and space-spine manipulation techniques. The most common acupoints were LI4 and LI20 (Large Intestine Meridian). The most common methods of assessment is subjective nasal symptoms. All studies using subjective na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s assessment methods to show valid results on the improvement of allergic rhiniti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medicin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on allergic rhinitis are effective. It will be expected to use that various methods for allergic rhinitis and more clinical studies for allergic rhinitis and pediatric patients nee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