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ling degre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7초

습식 마늘박피 시스템 개발 (III) - 미생물 제어 시스템의 도입 - (Development of a Garlic Peeling System Using High-Pressure Water Jets (III) - Introduction of a microbial control system -)

  • 김정호;배영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1호
    • /
    • pp.17-24
    • /
    • 2005
  • An efficient microbial control system was introduced into a garlic peeling system using pressurized wat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shelf-life of peeled garlic. High microbial density of the spoiled peeled garlic and the water used for peeling and washing indicated that an efficient microbial control system is necessary far the peeling system. Though Pseudomonas spp. and Penicillium spp.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poilage of peeled garlic, the spoilage of peeled garlic was thought to be caused mainly by nonspecific increase in microbial density. The shelf-life of the garlic peeled by pressurized water was longer than that of the garlic peeled by pressurized air, and the degree of damage had great effect on the shelf-life of peeled garlic. Ozonated water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microbial contamination and in increasing the shelf-life of peeled garlic.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following improvements were made to the garlic peeling system using pressurized water; 1)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was modified in order to completely separate the water for washing from the water for garlic peeling, 2) filtration and cooling equipments wer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system of the water for peeling, and 3) an ozone generator which could continuously supply ozonated water (dissolved ozone concentration of 0.4 ppm) was attached to the circulation system of the water for washing.

글리콜산을 사용한 화학적 필링이 Mice 피부 표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idermal Changes in the Mice Skin Following Glycolic Acid Peeling)

  • 이지연;이석준;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45-251
    • /
    • 2010
  • 본 연구는 15% 글리콜산과 30% 글리콜산이 포함된 각각의 필링제를 털이 제거된 mice 등쪽 피부에 처리하여 시술 전후의 피부 수분량, 유분량 및 pH를 Cutometer로 분석하였고 표피 각 질의 변화에 대한 미세구조를 더마스코프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15% 글리콜산을 처리한 실험군 I과 30% 글리콜산을 처리한 실험군 II에서 피부의 수분량, 유분량 및 pH의 변화는 필링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ice 피부의 표면을 더마스코프로 관찰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피부는 전반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표피에서 각질이 분리되어 있거나 탈락되기 직전의 상태로 나타났다. 15%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 표면의 각질은 많이 제거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30%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 표면은 매끄러운 상태로 선홍색을 띠고 있었다. Mice 피부 각질층을 인위적으로 탈락시켜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각질층 표면은 각화세포 막의 함입에 의해서 불규칙하였다. 15%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의 각질층 표면은 비교적 매끄러웠으며 노출된 각화세포의 세포질 표면은 약간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었다. 30%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에서 각질층 표면은 매끄러웠으며 이들 표면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산약(山藥)의 품질인증(品質認證) 방안(方案) (Quilitative certificational plan of shanyao)

  • 조은환;노성수;길기정;서부일;서영배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7-196
    • /
    • 2004
  • Now many sustitution and false articles is used in korea instead of shanyao. To use shanyao correctly, we will make a quilitative certificational plan of shanyao to investigate all of lieraturea, records and documents. And we could reach conclusions as folloews. 1) Source About a source of shanyao, though korea and china has a each other source, we think there is no problem in use of both. 2) Process In our country producing shanyao as medical use is a 'duanma', we can divide into peeling and non-peeling, drying at bulks and at briquets, steaming shanyao and fresh shanyao. Regardless of existence for peeling and steaming, a distributing shanyao is received a proper judgment. Like this result was expressed by insufficiency of standards about medical components or indicating components. We detected a reminding S02 more than 10 ppm. And this expresses that there ia a problum at a drying method. To suggest proper processing methods, a standard of quility will have to be made which the existence of peeling, difference of quility between 'changma' and 'duanma', drying method and exudation test with cutted thickness are adaptable. Besides, 'maoshanyao' and 'guangshanyao' of china is processed by various methods which decrease a medical effect such as too much soaking shanyao in water, steaming with a sulfur, too much peeling, So we must process shanyao like the next methods. (1) When harvesting, dig deeply not to cut off roots. (2) Not to peel, wash shanyao in a washing machine. (3) Dry to 50-60% degree at sunny place or drying machine. (4) To be easy for drying and exudation, cut off a thick piece with 5 mm (5) Dry perfectly at ding machine. 3) Quality3) Quality (1) Functional standards It is not Proper that 'guangshanyao' is used in china because it has a problem with quility on process of working, If they did not soak shanyao in water or heat with steam,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they cannot cutt off shanyao evenly. In conclusion, shanyao must be heavy, powdery with a perfectly non-peeling surface, section surface is yellow-white color, unequal and has no holes. (2) Physicochemical standards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we can not distinguish into quility of shanyao with established test because various workings which decrease medical effects is used. Therefore we suggest a testing standard of S02 which is used in bleaching. And testing standards relatived with decrease of medical effects must be established at once. It must that Dry on loss is less than 14.0%, content of ash is less than 6.0%. Content of acid-nonsoluble ash is less than 0.5%. Contens of heavy metal has to detect less than 30 ppm and there is no reminding agricultural medince.

  • PDF

작약(芍藥)의 뿌리굵기와 각피(刻皮)정도가 건조시간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 Diameter and Peeling Methods on Drying Time and Paeoniflorin Content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기재;박준홍;유오종;신종희;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8-43
    • /
    • 1998
  • 직약 건조시 양질의 약재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뿌리굵기에 따라 박피정도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의 뿌리는 굵기별로 건조하는 것이 건조시간 단축효과가 있었는데, 기계박피시 적정건조 시간은 $5{\sim}10mm$가 20시간, $10{\sim}15mm$가 39시간, $15{\sim}20mm$가 48시간, 20mm 이상이 56시간이었고, 5mm이하는 무박피로 건조하는데 11시간, 노두(蘆頭)는 무박피상태에서 절단 건조할 경우 4시간이 소요되었다. 2. 작약 건조시 가는 뿌리일수록 무박피와 박피간의 건조소요시간의 차이가 적었고, 박피율은 증가하여 수량 손실이 않았으므로 뿌리굵기 10mm 이하는 세척하여 무박피상태로 그 이상은 표피부분만 제거 하고 건조하는 것이 건조시간 단축 및 수량면에서 효율 적인 박피방법이었다. 3. 작약 뿌리 표피부분은 금기에 관계없이 두께가 0.3mm정도인데 무제거 건조가 제거후 건조에 비하여 paeoniflorin함량은 높았으나 건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었다. 4. paeoniflorin함량은 뿌리굵기 5mm이하가 6.15%로 가장 높았고, $15{\sim}20mm$까지는 굵기가 굵어 질수록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20mm이상에서는 다시 약간 증가하였고, 표피와 피층부분의 껍질은 많이 제거될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 PDF

사과 중 Diazinon, Fenitrothion, EPN의 잔류량과 저장, 각피 및 세척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sidues of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in apple and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by Storing, Peeling and Washing)

  • 김순희;정규철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2호
    • /
    • pp.89-108
    • /
    • 1991
  •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such as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in apple and effect of storage peeling and washing on removal of the residues from apple soaked in 3 kinds of pesticides solutions for 20 seconds were studed with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orus detecter(GC-NPD).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 1) Average concentrations of DiaEinon, Fenitrothion, and EPN detected in apple of control group were 0.022, 0.007 and 0.008 ppm respectively. 2) Decreasing rates of Diazinon on 7 th, 14 th, 21 st, 28 th, and 35 th day after soaking apple on the pesticide solution were 41.3% , 68.6% , 87.0%, 96.9% and 99.5% respectively. In case of Fenitrothion were 46.9%, 66.3%, 84.9%, 93.2% and 97.3% and EPN were 45.7 %, 76.2%, 85.4%, 95.7% and 99.4% respectively. 3) The removal rate of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by washing with water alone were 93.7%, 70.6% and 51.5% respectively, and 97.1% , 78.4% ailed 76.5% by washing with 0.2% detergent solu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have show that 3 kinds of pesticides detected in app- les were below the Korean standard for residual pesticides and pesticides contaminated in apples were decreased in considerable degree by washing with water and 2% detergent solution and removed almost completely after storage for 35 days (5 weeks). Therefore, it would be concluded that washing and peeling will be the most effective way for safely because more than 90% of pesticide exist in peel.

  • PDF

모발 탈색제의 입자와 모발손상과의 상관성 연구 (Analysis of Hair Damage from Bleach particles)

  • 임한솔;임순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357-364
    • /
    • 2019
  • 본 연구는 모발 탈색 시 사용되어지는 탈색제 입자에 따른 모발 손상도를 비교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세 가지의 탈색제 입자크기를 관찰하였다. 탈색제의 주성분은 과황산암모늄과 과황산칼륨이 주성분인 분말형 탈색제로 각 제품 입자크기는 $131{\mu}m$, $72{\mu}m$, $48.8{\mu}m$로 나타났다. 손상도 실험에서 입자가 큰 탈색제보다는 입자가 작은 시술 제품에서 큐티클 층이 일어나거나 박리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모발의 색상 측정에서 입자 큰 탈색제의 모발시료는 가장 어둡게 나왔으며, 가장 작은 입자의 탈색 결과가 가장 밝게 나왔다. 연구 결과 모발의 손상도 완화에 더 효과적인 탈색제는 작은 입자를 가진 탈색제를 이용하여 시술하고, 탈색 정도에 따라 입자를 선택하는 것이 탈색력은 높이고 손상도를 낮출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탈색제 선택에 대해서 우수한 결과를 만들기 위한 방안이며,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탈색 시술시 모발 손상에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밤 가공시(加工時) 열처리(熱處理) 방법(方法)이 과육성분(果肉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Flesh in Chestnut Processing)

  • 신두호;오만진;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17-125
    • /
    • 1981
  • 밤의 가공시(加工時) 열처리방법(熱處理方法)이 밤의 과육(果肉)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자(水煮), 증자(蒸煮), 배초처리(焙焦處理)에 따른 밤의 화학성분(化學成分) 변화(變化)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원료(原料)밤의 화학성분(化學成分)은 수분(水分) 59~61%, 총당(總糖) 24~27%, 환원당(還元糖) 0.3%내외(內外), 조단백질(粗蛋白質) 3% 내외(內外), 조지방(粗脂肪) 0.3~0.4%, 조섬유(粗纖維) 0.6~0.9%, 회분(灰分) 1%, amino 태질소(態窒素) 0.3%, vitamin C 20~22mg%, tannin 40~48mg%이었다. 2. 생(生)밤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59.41%,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은 63.80%, 박피(剝皮)하여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은 70.27%로 증가하였고 배초처리(焙焦處理)한 빔은 54.11%로 감소하였다. 3.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에 있어서 생(生)밤은 8.72%, 박피(剝皮)하여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은 8.04%로 감소하였고 amino태질소(態窒素) 함량(含量)은 모든 처리(處理)에 있어서 감소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조지방(粗脂肪) 함량은 별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총당함량(總糖含量) 변화(變化)는 박피(剝皮)하여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과 배초처리(焙焦處理) 밤은 생(生)밤보다 3% 정도 감소하였고 환원당(還元糖) 함량에 있어서는 모든 처리에 있어서 2~3배 정도 증가하였다. 5. Vitamin C 함량의 변화(變化)에 있어서는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은 생(生)밤에 비하여 72~78%, 증자(蒸煮) 처리(處理)한 밤은 64.2%, 배초처리(焙焦處理)한 밤은 51.6% 감소하였으며 tannin 함량에 있어서는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이 11.0%, 배초처리(焙焦處理)한 밤은 46.0% 정도 증가하였고 박피(剝皮)하여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에 있어서는 22.0% 정도 감소하였다. 6. 배초(焙焦), 증자(蒸煮),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의 색도(色度)는 심한 갈변(褐變)현상을 나타냈으며 0.1% $K_2Al_2(SO_4){_4}{\cdot}24H_2O$ 용액중(溶液中)에서 수자처리(水煮處理)한 밤은 색도(色度)의 변화(變化)가 없었다.

  • PDF

고온에 노출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폭렬해석 (Spalling Analysis of 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High Temperature)

  • 신성우;유석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93-200
    • /
    • 2007
  • 고온을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온도해석, 열응력해석 및 수분이동 해석과 더불어 콘크리트 피복의 박리여부까지 고려하여야 하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해석과정이 요구되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증기 압력을 온도와 피복두께의 함수로서 정의하고 또한 적합조건을 이용함으로써 피복콘크리트의 박리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실용적인 폭렬해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폭렬해석결과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 할수록 PP섬유량이 적을수록 폭렬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향후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설계를 위한 폭렬해석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볼밀처리에 의한 구리세선의 응집 (Aggregation of Thin Copper Wire by Ball Milling Treatment)

  • 황지수;조성수;성창준;유경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4호
    • /
    • pp.67-72
    • /
    • 2020
  • 폐구리전선의 재활용 공정은 여러 단계의 절단공정으로 피복재로부터 구리선을 분리 후 비중선별공정으로 구리선을 회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구리세선은 이후의 재활용 공정에서 손실 등의 우려가 있어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볼밀처리를 통해 구리세선의 응집체를 구성하여 손실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구리선의 응집은 구리선이 휘어져 서로 얽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볼밀처리 후 구리전선의 굴곡도를 측정하였다. 0.5 cm와 3 cm의 구리세선을 사용하였을 때 볼의 투입과 상관없이 0.5 cm 구리세선은 휘지 않았고, 3 cm의 구리세선은 모두 응집되었다. 1 cm와 2 cm의 구리선을 사용하였을 때는 볼을 투입하였을 때 구리선의 휨 현상이 현저하였다. 2 cm의 구리세선을 사용한 실험에서 20 mm 알루미나 볼의 투입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구리선의 응집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30 mm 알루미나 볼을 사용하였을 때 200 ml 투입한 경우 응집율이 89.29 %로 증가한 후 볼 투입량을 증가시키면 응집율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구리세선을 볼밀 처리하면 구리세선의 응집체 형성이 가능하여 구리세선의 손실이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페인트 도장공사의 색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controlled of painter's work)

  • 심명섭;이현정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7-114
    • /
    • 2003
  •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that prevents aging of buildings paint coating and that limits defects in construction. Defects in painting can occur in four stages: pure paint, during painting, after the paint coating has dried, and after some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coating. Paint may become bad due to precipitation of pigments, formation of membranes, and seeding during manufactur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paint is well mixed and kept airtight at a cool, dark place. Indents, paint brush strokes, orange peel, separation of colors, and paint running and spreading during the paint work process can be prevented by using high quality materials and applying a high-level of 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paint coating has dried, boiling, yellowing, poor drying, poor bonding, and/or glen deficiency may occur. These are influenced by the levels of cleanness of the dried product, drying temperature and hydration. Then, when the coating has been left dried for some period of time, cracking, peeling, scaling, swelling, discoloring, and/or rusting may develop due to the ultraviolet and contaminants in the air. Since these defects occur due to inappropriate construction schedule and/or hot and humid condition, one must use weatherproof materials. Furthermore, poor paint color may be caused by contamination in the sample plate, discoloration, and/or discrepancies in colors which are due to material differences, level of glossiness, degree of dispersion, dual color property of metallic colors, precipitation of pigments, etc. One should achieve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 and effectiveness in paint work by limiting contaminations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strictly observing to construction reg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