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ling Machin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8초

陰影寫眞의 畵像解析에 의한 디이젤 噴霧의 硏究 (A Study on the Diesel Spray by Means of Image Analysis of Shadow Photographs)

  • 장영준;신본무정;동경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319-327
    • /
    • 1988
  • 본 논문에서는 비증발 디이젤 분무의 고속도음영사진을 화상해석 함으로서, 분무선단지달거리와 분무용 이외에 어떤 연문의 분무속 전체 액적군의 평균입자경(sauter mean diameter)과 분무내 연료농도분포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법을 제시한다.

알타리무의 삭피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I) - 알타리무의 물리적 특성 - (Development of a Peeling Machine for Altari Radish(I) - Physical Properties of the Altari Radish -)

  • 김성태;민영봉;정효석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1호
    • /
    • pp.29-36
    • /
    • 2004
  •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Altari radish were measured for the purpose of mechanization of the kimchi processing. In this study, geometr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ctional area and volume of the radishes(pyeong-gang and sa-chul) were calculated us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cutting force of the radish and the torsional moment of the radish leaf-stems were measured by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 case of the radish(pyeong-gang), the weight was ranged 215.0∼465.0 g, the length of the radishes(body) was 86.3∼129.2 mm, the diameters were 43.3∼58.1 mm, and the length of the leaves was 261.3-368.2 mm. And the vertic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ranged 83.8∼171.7 N/$\textrm{cm}^2$, the horizont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113.0∼176.3 N/$\textrm{cm}^2$, the shearing forces were 86.0∼114.6 N, and the surface hardness was ranged 51.1∼52.1 N/$\textrm{cm}^2$. In case of the radish(sa-chul), the weight was ranged 203.5∼412.2 g, the length of the bodies was 67.5∼127.0 mm, the diameters were 22.3∼59.8 mm and the length of the leaves was 245.6∼312.6 mm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ranged 91.3∼168.3 N/mm, the horizont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132.6∼186.9 N/$\textrm{cm}^2$, the shearing forces were 89.4∼116.5 N, and the surface hardness was ranged 52.4∼67.8 N/$\textrm{cm}^2$, respectively.

식초절임 무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Vinegared Pickle Radishes)

  • 권상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4
    • /
    • 2013
  • 본 연구는 식초절임 무의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2년 2월 1일~6월 31일까지 약 150일 동안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식초절임 무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하여 공정도를 작성하였으며, 식초절임 무의 원료 농산물(무), 용수, 첨가물과 포장재료에 입고, 보관, 정선, 세척, 표피제거, 절단, 선별, 충진,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원료 무의 세척 전, 세척 후의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Clostridium perfringens, Yeast 와 Mold를 측정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세척 전 $5.00{\times}10$ CFU/g이었으나, 세척 후 검출되지 않았으며, Yeast 와 Mold 는 세척 전 $3.80{\times}10^2$ CFU/g, 세척 후 10 CFU/g로 감소되었으며 나머지 병원성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조미액의 pH(2~5)별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모든 균이 검출되지 않은 pH 3~4를 조미액의 pH로 결정하였다. 작업장별 공중낙하균 (일반세균수, 대장균, 진균수) 시험결과 내포장실, 조미액가공실, 세척실, 보관실의 미생물수는 10 CFU/Plate, 2 CFU/Plate, 60 CFU/Plate 그리고 20 CFU/Plate 가 검출되었다. 종사자 손바닥 시험결과 일반세균수 346 $CFU/Cm^2$, 대장균군 23 $CFU/Cm^2$로 높게 나타나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요구 되었다. 제조설비 및 기구의 표면오염도를 검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세균은 PP Packing machin과 Siuping machine (PE Bulk)에서 가장 많은 $4.2{\times}10^3CFU/Cm^2$, $2.6{\times}10^3CFU/Cm^2$ 검출되었다. 위의 위해분석 결과 병원성미생물을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조미액 가공 공정이 CCP-B (Biological)로 관리되어야 하고, 한계기준은 pH 3~4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전통한과생산에의 HACCP 모델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에서와 같이 조미액 가공 공정의 관리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관리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