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ococcus halophilu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Pediococcus halophilus로부터 생성한 $\alpha$-Glucosid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lpha$-Glucosidase from Mococcus halophilus)

  • 민해기;이호근;문지웅;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49
    • /
    • 1992
  • 호화전분이 포함된 김치로부터 유산을 생성하는 6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는 soluble starch가 포함된 APT 액체배지에서 분리균주의 생육과 $\alpha$-glucosidase 활력이 우수한 No.2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분리균은 Pediococcus halophilu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되었다. 효소의 정제는 protamine sulfate에 의한 핵산의제거, ammonium sulfate 분획, gel filtration 및 ion exchange 등의 4단계 정제과정을 거친 결과 20.17배 정제되어 단일 band 효소로 분리되었다.

  • PDF

김치의 Pediococci에 존재하는 Plasmid DNA 분리 (Isolation of Plasmid DNA in Pediococci from Kimchi)

  • 박연희;류욱상;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33-37
    • /
    • 1988
  • 김치에서 분리한 Pediococci를 동정한 결과 Pediococcus pentosaceus, Pediococcus acidilactici 및 Pediococcus halophilus의 세종으로 밝혀졌다. 이 Pediococci의 미생물 생육저해 작용을 조사한 결과 P. pentosaceus는 모두 Streptococcus faecalis와 Pseudomonas sp., P20에 대하여 생육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P. acidilatici는 S. faeca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나 P. halophilus는 4종의 test organism에 대하여 저해작용이 없었다. 이들 Pedicocci는 균주에 따라 한개로 부터 일곱개의 plasmid DNA를 가지고 있으며 그 분자량은 약 1 Mdal에서부터 약 60 Mdal 사이의 여러 크기의 plasmid DNA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 PDF

고정화 효모를 충진한 column형 reactor에 의한 정어리 어간장의 속성 연속발효 (Continuous Rapid Fermentation of Sardine Soy Sauce by Using Column Type Reactor Packed Immobilized Yeast Cells)

  • 김성준;신동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4-159
    • /
    • 1993
  • 본 연구는 간장의 속성발효를 하기 위하여 Pediococcus halophilus R-22, Saccharomyces rouxii R-60과 Candida etchellsii H-50의 균체를 고정화하여 충진한 column형 reactor에 정어리 분해액을 주입하면서 연속적으로 속성발효를 시도하였다. Column형 reactor에서 P. halophilus R-22의 고정화 균체의 연속적 속성 발효시 유산의 생성은 발효 25일까지는 $0.62{\sim}0.64%$이었고 30일 이후부터는 약간 감소하였다. S. rouxii R-60 고정화 체의 연속적 속성 발효시 시작일부터 35일까지는 ethylalcohol이 $2.1{\sim}2.5%$로 거의 일정하게 생성되었고 40일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C. etchellsii H-50 고정화 균체의 발효에서는 35일까지는 4-ethylguaiacol의 함량이 $14{\sim}16\;mg/l$로 거의 일정하게 생성되었으나 발효 40일 이후 약간 감소하였다. Column형 reactor의 발효에서 얻은 어간장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질소는 1,721.6 mg%, 아미노태 실소는 1,584.1 mg%, 유산은 0.75%, ethylalcohol은 2.7%, 4-ethylguaiacol은 18.2 mg/l이었다.

  • PDF

고정화균체를 이용하여 속성 발효시킨 정어리 어간장의 젖산, 알코올 및 4-ethylguaiacol의 함량 (Lactic Acid, Ethylalcohol and 4-Ethylguaiacol Contents of Rapid Fermentation of Sardine Soy Sauce Prepared by Using Immobilized Whole Cells)

  • 류병호;김성준;신동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6-462
    • /
    • 1992
  • 본 연구는 간장의 속성발효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어리육을 효소에 의하여 분해하고, 분해액을 유산균과 효모의 균체를 고정화하여 이를 column형 reactor를 이용하여 속성발효를 시도하였다. 이때 사용된 column 반응조는 유리제$(30{\times}50cm)$의 칼럼 3개에 Pediococcus halophilus R-22, Saccharomyces rouxii R-60과 Candida etchellsii H-50을 colloidal silic와 sodium alginate(1 : 5)의 혼합액으로 고정화하여 각각의 column에 충전시켰다. 이때의 최적조건은 pH5.2, 온도 $30^{\circ}C$, 식염농도 10%이었다. 발효 최적조건에서 96시간 경과시 P. halophilus R-22는 유산을 0.75%, S. rouxii R-60은 ethylalcohol을 2.5%, C. etchellsii H-50은 4-ethylguaiacol을 18 mg/l 생성하였다.

  • PDF

유산균 강화 자리젓 제조 (Enrichment of Lactic Acid Bacteria in Salted Fish, Chromis notatus)

  • 고영환;김창용;강동섭;하진환;김수현;강영주;송대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0-207
    • /
    • 1991
  • Jariieot is a local food prepared by fermentation of salted fish, Chromis notatus. Since its NaC' content is around 20% like other fermented seafoods, reduction NaCl concentration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risk of health hazard. Addition of KCl and enrich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wer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low salt concentration. NaCl and KCl were added to a fish, Chromis notatus simultaneously at concentrations of 10 to 4% and 5 to 2%,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and glucose at final concentration of 2% were also mixed with the above-salt treated fish to prepare jarijeot. The jarijeot was examined periodically for chemical changes during aging and compared with reference jarijeot containing only 20% of NaCl to find out an appropriate method for quality improvement. The content of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was not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NaCl or the presence of lactic acid bacteria. Nearly no difference in contents of free amino nitrogen,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was observed between the jarijeot containing 20% of NaCl only and that containing 10% of NaCl, 5% of KCl, 2% of glucose and cells of Pediococcus halophilus. Moreover, sensory evaluation of both kinds of jarijeots revealed almost the same scores. The number of cells of P. halophilus was maintained at concentration of $10^5$cell/ml for 60days' fermentation in the above mentioned jarijeot containing 10% of NaCl. Its pH was dropped down to 4.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pare jarijeot enrich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f KCl and glucose are added at concentration of 5% and 2%, respectively, in addition to NaCl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 PDF

멸치 젓갈로부터 분리된 젖산세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 및 안전성 평가 (Probiotic properties and safety assessmen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alt-fermented anchovy)

  • 임은서;김영목;이은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6-316
    • /
    • 2016
  • 멸치 젓갈로부터 분리한 젖산세균을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서의 기능적 특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당 발효능 및 염기순서 분석을 통해 Enterococcus faecium AJ06, Leuconostoc mesenteroides AJ13, Pediococcus halophilus AJ22, Lactobacillus sakei AJ29 및 Pediococcus pentosaceus AJ35로 동정되었다. AJ06, AJ22 및 AJ29 균주들은 펩신이 첨가된 인공 위액 및 쓸개즙액에서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taurocholic acid 혹은 taurodeoxycholic acid가 첨가된 MRS 한천 평판 배지 상에서 쓸개즙분해효소를 생산하였다. 특히, Caco-2 세포에 대한 높은 부착능과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 AJ22와 AJ29 균주는 항균물질 생산으로 인해 식중독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들 균주는 혈액 한천 평판배지 상에서 알파 및 베타용혈독을 나타내지 않았고, 아미노산 전구체가 함유된 MRS 액상배지 내에서 생체 아민을 생산하지 않았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균주에 대한 돌연변이도 유발하지 않았다.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히스타민 생산균의 제어 (Control of histamine-forming bacteria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ish intestine)

  • 임은서;이남걸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52-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과 아민 산화효소(diamine oxidase, DAO) 및 박테리오신 생산을 통한 히스타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조기, 가자미, 명태 및 우럭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총 97종의 유산균 중에서 CIL08, CIL16, FIL20, FIL31, PIL45, PIL49, PIL52 및 RIL60 균주는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HT-29 상피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부착력을 보였으며, 항생제(amox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에 대한 내성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 균주들은 히스티딘이 함유된 탈카르복시화 액체배지 내에서 히스타민을 생산하지 않았다. 특히 DAO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CIL08, FIL20, PIL52 및 RIL60 등의 4균주는 히스타민 분해능이 유의하게 높았다. FIL20, FIL31 및 PIL52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해선 Enterococcus aerogenes CIH05, Serratia marcescens CIH09, Enterococcus faecalis FIH11, Pediococcus halophilus FIH15, Lactobacillus sakei PIH16, Enterococcus faecium PIH19, Leuconostoc mesenteroides RIH25 혹은 Aeromonas hydrophilia RIH28의 증식과 히스타민 생성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생선 내장에서 분리된 히스타민 생성균과 히스타민 분해능 혹은 박테리오신 생산능을 가진 CIL08, FIL20, PIL52 및 RIL60 유산균과 혼합 배양에 의해 히스타민 축적량이 감소되었다.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배양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pentosaceus CIL08,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Lactobacillus sakei PIL5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RIL60으로 동정되었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제조한 사워도우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urdough fermented with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4-97
    • /
    • 2016
  •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은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과 당 발효능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Enterococcus faecium SBP12, Pediococcus halophilus SBP20, Lactobacillus fermentum SBP33, Leuconostoc mesenteroides SBP37, Pediococcus pentosaceus SBP41, Lactobacillus brevis SBP49, Lactobacillus acidophilus SBP55 및 Enterococcus faecalis SBP58로 동정되었다. SBP20, SBP33, SBP49와 SBP55 균주는 인공 위액과 담즙액 내에서 6 log cycle 이상 생균수를 유지하였으나, SBP12와 SBP58은 낮은 pH 하에서 2시간만에 균수가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SBP49와 SBP55는 HT-29 세포에 대한 부착능이 높고,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Bacillus cereus ATCC 11778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 두 균주는 프로바이오틱 선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SBP49와 SBP55를 이용하여 사워도우를 제조한 결과, 발효 직후 도우 내 pH, 산도 및 유산균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BP49는 많은 양의 유산을 생산한 반면, SBP55는 과산화수소를 더 많이 생산하였다. SBP49와 SBP55 유산균은 유산과 과산화수소뿐만 아니라 박테리오신 등의 항균물질을 생산하므로 사워도우 내 존재하는 식중독균 저해에 효과적이었다.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Galchi- and Myeolchi-Jeotgal by 16S rRNA Gene Sequenc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and PCR-DGGE

  • Lee, Yoonju;Cho, Youngjae;Kim, Eiseul;Kim, Hyun-Joong;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112-1121
    • /
    • 2018
  • Jeotgal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alt. In this study, w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galchi (Trichiurus lepturus, hairtail) and myeolchi (Engraulis japonicas, anchovy) jeotgal on MRS agar and MRS agar containing 5% NaCl (MRS agar+5% NaCl), and identified them by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as culture-dependent methods. We also performed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as a culture-independent method to identify bacterial communities. Five samples of galchi-jeotgal and seven samples of myeolchi-jeotgal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A total of 327 and 395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galchi- and myeolchi-jeotgal samples, respectively.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ALDI-TOF MS revealed that the genus Pediococcus was predominant on MRS agar,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on MRS agar+5% NaCl. PCR-DGGE revealed that T. halophilus, Tetragenococcus muriaticus, and Lactobacillus sakei were predominant in both types of jeotgal. T. halophilus was detected in all samples. Even though the same species were identified by both cul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methods, many species identified by the culture-dependent methods were not in the bacterial list identified by the culture-independent methods.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galchi-jeotgal was more diverse than in myeolchi-jeotgal. The diverse LAB in galchi- and myeolchi-jeotgals can be further studied as candidates for starter cultures to produce fermented foods.

Aflatoxin B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과 물리화학적 인자 (Incubation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Aflatoxin B1 Binding of Lactic Acid Bacteria)

  • 임성미;안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에 의한 aflatoxin $B_1$의 결합 정도를 배양조건에 따라 측정하였고, 물리화학적 처리조건이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Enterococcus faecium DJ22, Lactobacillus fermentum DJ35, Lactobacillus rhamnosus DJ42 및 Lactobacillus pentosus DJ47는 19.3-52.1% 정도의 aflatoxin $B_1$ 결합 효과를 나타내어 균종에 따라 결합력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E. faecalis DJ14, Lactobacillus panis DJ29 및 Pediococcus halophilus DJ50 균주는 aflatoxin $B_1$에 대한 결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과 결합속도는 독소의 농도, 반응시간 및 온도와 초기 세포수 등의 배양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flatoxin $B_1$의 결합력은 세척 횟수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살아있는 세포와 가열 처리한 세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열, 산성 pH, ${\alpha}$-amylase, protease, lysozyme 혹은 sodium metaperiodate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아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에 aflatoxin $B_1$이 결합되며, urea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에 낮아지는 것은 이들 사이에는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