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cervical growth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른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 평가 (Evaluation of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Types and the Sex of Growing Children)

  • 조선경;김병화;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4-424
    • /
    • 2021
  •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인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라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184명의 8 - 14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성별 간 비교를 위해 3개의 군을 각각 남아와 여아의 하위 군으로 나누었다.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는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하였다. 수직적 성장군은 수평적 성장군보다 경추골 및 수완부 골의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치아 성숙도는 수직적 성장군에서 가장 높았다. 남아보다 여아에서 골격적 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치아 성숙도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의 수직적 안모 형태 분석은 교정치료 시작 시기 결정에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직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Gastric Pull-up in a Premature Infant with Type B Esophageal Atresia

  • Han, Young Mi;Lee, Narae;Byun, Shin Yun;Kim, Soo-Hong;Cho, Yong-Hoon;Kim, Hae-You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86-190
    • /
    • 2018
  • Esophageal atresia (EA) with proximal tracheoesophageal fistula (TEF; gross type B) is a rare defect. Although most patients have long-gap EA, there are still no established surgical guidelines. A premature male infant with symmetric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birth weight, 1,616 g) was born at 35 weeks and 5 days of gestation. The initial diagnosis was pure EA (gross type A) based on failure to pass an orogastric tube and the absence of stomach gas. A "feed and grow" approach was implemented, with gastrostomy performed on postnatal day 2. A fistula was detected during bronchoscopy for recurrent pneumonia; thus, we confirmed type B EA and performed TEF excision and cervical end esophagostomy. As the infant's stomach volume was insufficient for bolus feeding after reaching a body weight of 2.5 kg, continuous tube feeding was provided through a gastrojejunal tub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gastric pull-up was performed on postnatal day 141 (infant weight, 4.7 kg), and he was discharged 21 days postoperatively. At 12 months after birth, there was no catch-up growth; however, he is currently receiving a baby food diet without any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EA, bronchoscopy is useful for confirming TEF, whereas for those with long-gap EA with a small stomach volume, esophageal reconstruction with gastric pull-up after continuous feeding through a gastrojejunal tube is worth considering.

Quantification of Pediatric Cervical Spine Growth at the Cranio-Vertebral Junction

  • Lee, Ho Jin;Kim, Jong Tae;Shin, Myoung Hoon;Choi, Doo Yong;Hong, Jae Tae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4호
    • /
    • pp.276-282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 at the craniovertebral junction (CVJ) reg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Methods : A total of 23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mean age was $47.8{\pm}21.3months$. Spinal canal diameter, Power's ratio, McRae line, antero-posterior C1 ring height, atlantoaxial joint space, C2 growth, epidural space from the dens (M-PB-C2) and longitudinal distance (basion to C2 lower margin, B-C2) were measured. The mean value of each parameter was assessed for individual age groups. The cohort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larger age groups : infancy (I) (${\leq}2years$), very early (VE) childhood (2-5 years) and early (E) childhood ($5{\geq}years$). Results : Spinal canal diameter increased with age; however, this value did not increas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VE age. A significant age-related difference was found for all C2 body and odontoid parameters (p<0.05). Mean McRae line was 8.5, 8, and 7.5 mm in the I, VE, and E groups, respectively. The M-PB-C2 line showed up-and-down dynamic change during early pediatric periods. Conclusion : Expansion of the spinal canal was restricted to the very early childhood period (less than 5 years) in the CVJ region; however, the C2 body and odontoid proces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age. The above results induced a dynamic change in the M-PB-C2 line. Although C2 longitudinal growth continued with age, the McRae line showed relatively little change.

부적절하게 수복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야기된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TREATMENT OF ECTOPIC ERUPTING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CAUSED BY IMPROPERLY RESTORED STAINLESS STEEL CROWN : CASE REPORT)

  • 박주석;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8-102
    • /
    • 2000
  • 이소맹출이란 영구치열의 발육 과정중에 국소적 맹출장애로 인하여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치아의 맹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소맹출은 $2\sim6%$정도의 이환율을 보이고, 제1대구치에서 호발하며 주로 상악에서 많이 나타나고 하악에서는 드물다. 이소맹출의 원인은 국소적 원인으로 부적절한 치열궁 길이, 상악 후방부의 성장 부족, 제1대구치의 근심 맹출, 비정상적으로 큰 제 1대구치 등이 있고, 유전적인 원민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소맹출된 치아중 66%는 가역성이므로 $3\sim6$개월 정도의 관찰 기간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비가역성 이소맹출인 경우에는 brass wire나 elastic separator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치료 방법, 제2유구치의 distal discing, Humphrey appliance 등과 같이 제2유구치를 유지하면서 치료하는 방법 및 제2유구치 발거후 가철식 장치나 cervical traction headgea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된 남환아로 구강 검사 및 방사선 사진 검사 결과, 4년전 개인 치과의원에서 수복된 우측 하악 제2유구치의 stainless steel crown에 우측 하악 제 1대구치가 고착되어 근심으로 심하게 경사된 양상을 보였다 원인이 stainless steel crown을 제거하고, Humphrey appliance를 제작하여 장착하였으며, 약 10주 후에 고착 상태가 해소되었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이소맹출은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의 수복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크기의 선택, trimming 및 contouring 등이 매우 중요하다.

  • PDF

Most Reliable Time in Predicting Residual Kyphosis and Stability: Pediatric Spinal Tuberculosis

  • Moon, Myung-Sang;Kim, Sang-Jae;Kim, Min-Su;Kim, Dong-Suk
    • Asian Spin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1069-1077
    • /
    • 2018
  • Study Design: A case study. Purpose: To assess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disease-related kyphosis after chemotherapy alone, secondly to clarify the role of growth cartilage in the healed lesion on kyphosis change, and to define the accurate prediction time in assessing residual kyphosis. Overview of Literature: None of the previous papers up to now dealt with the residual kyphosis, stability and remodeling processes of the affected segments. Methods: One hundred and one spinal tuberculosis children with various stages of disease processes, age 2 to 15 years, were the subject materials, between 1971 to 2010. They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chemotherapy formula: before 1975, 18 months of triple chemotherapy (isoniazid [INH], para-aminosalicylic acid, streptomycin); and since 1976, 12 months triple chemotherapy (INH, rifampicin, ethambutol, or pyrazinamide). The first assessment at post-chemotherapy one year and at the final discharge time from the follow-up (36 months at minimum and 20 years at maximum)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images effect of the remaining growth plate cartilage on chronological changes of kyphosis after initiation of chemotherapy. Results: Complete disc destruction at the initial examination were observed in two (5.0%) out of 40 cervical spine, eight (26.7%) out of 30 dorsal spine, and six (19.4%) out of 31 lumbosacral spine. In all those cases residual kyphosis developed inevitably. In the remainders the discs were partially preserved or remained intact. Among 101 children kyphosis was maintained without change in 20 (19.8%), while kyphosis decreased in 14 children (13.7%), and increased in 67 children (66.3%) with non-recoverably damaged growth plate, respectively. Conclusions: It could tentatively be possible to predict the deformity progress or non-progress and spontaneous correction at the time of initial treatment, but it predictive accuracy was low. Therefore, assessment of the trend of kyphotic change is recommended at the end of chemotherapy. In children with progressive curve change, the deformity assessment should be continued till the maturity.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 증례보고 (DENS INVAGINATUS AND TALON CUSP CO-OCCURING: REPORT OF THREE CASES)

  • 임성옥;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8-496
    • /
    • 2010
  • 치외치는 교합면에 법랑질이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결절을 형성한 치아로서, 치아발육 중 법랑기의 내측법랑상피가 외부로 과증식되거나 치수 간엽조직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 또는 마모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로 인하여 치수노출에 의한 감염이 야기될 수 있다. 상악 전치부 설면에도 원추형으로 돌출된 결절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탈론 교두(talon cusp)라 한다. 치내치는 치아 발육 중 설측의 법랑상피가 일부 함입되어 설측에 깊은 소와가 형성된 형태로서 크기나 전체적인 모양은 정상이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경부의 법랑질 일부가 함입되어 함입강을 형성하고 그 기저부는 치수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치수와 개통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탈론 교두(talon cusp)와 치내치는 비교적 흔한 형태 이상이지만, 한 치아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환자에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되거나, 교두 사이 열구가 우식에 이환되어 치수치료가 시행 될 때, 치내치의 복잡한 근관 형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합조정, 치면열구전색술 등의 예방적 처치와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고, 치수치료시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통한 치내치의 근관 형태 파악이 필요하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0세 남아(하악 좌측 중절치)와 8세 여아(상악 우측 중절치) 그리고 7세 남아(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관찰되어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9세 남아와 8세 여아는 치수 병변으로 인해 치수 치료 중이고, 7세 남아는 병적 소견 없이 교합조정 후 관찰 중이다.

맹출 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을 이용한 치험례 (CASE REPORTS OF TREATMENT OF ERUPTION-DISTURBED MX.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석충기;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8
    • /
    • 2004
  • 치아의 맹출이란 구강내로 치아가 출현하기 전의 악골 내에서의 이동, 구강에 출현하여 교합면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그리고 교합면 도달이후의 추가적인 이동 등 모두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이다. 맹출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치아가 성장 발육 과정에 따라 구강내로 맹출되는 과정은 preeruptive alveolar bone stage, alveolar bone stage와 mucosal stage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도 장애가 발생하면 치아가 맹출하지 않는다. 맹출 장애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부정위, 정상 맹출로의 방해, 치낭 혹은 치주인대의 손상 등이 있다. 맹출 장애의 치료에는 유치발거 및 맹출 공간확보, 외과적 노출, 외과적 정위, 외과적 노출 후 견인이 있고, 이 중 외과적 노출이 가장 기본적인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은 영구치를 둘러싸는 점막, 골, 병소, 경우에 따라 치낭 등을 제거하여 개방된 맹출로를 확보하는 것이고, 형성된 맹출로는 레진관(celluloid crown)의 접착, 거타 퍼챠 혹은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 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하여 개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시에는 치경부 치근의 백악질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인접치아의 치주 조직이나 치근의 손상도 피해야 한다. 또한 노출 후 치아는 각화된 치은에 위치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 중에 가해진 손상의 정도는 치아의 병리 생리학적 이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본 증례들은 상악 제1대구치가 맹출 장애를 가진 증례들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외과적 노출을 시행하였고, 맹출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이지 않았다(p>0.05). 5. DIFOTI 이미지의 광투과율과 CLMS의 병소 깊이에 대한 상관 계수는 -0.688이었으나(p<0.05), LFD의 측정값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현항 내측수괴는 동계에 가조도와 칠천도 사이의 중앙 수역까지 확장되어 나타났다.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 PDF

Group A-beta Hemolytic Streptococci에 의한 소아 인두편도염에 있어서 Cefprozil의 항균력과 임상적 및 세균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Clinical and Bacteriologic Efficacy of Cefprozil on Pharyngitis and Pharyngotonsilitis caused by Group A Beta Hemolytic Streptococci in Children)

  • 김민우;안영민;장성희;마상혁;안병문;김종덕;이종국;김미란;장진근;박진영;배종우;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206-212
    • /
    • 2001
  • 최근 소아의 인두염 및 인두편도염에서 EM-resistant group A streptococci가 15~40%까지 보고가 되고 있으며, 같은 계통의 macrolide제제들의 대한 내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세균성 인두편도염이 의심되는 환아의 치료에 있어서 경구용 항생제를 선택할 때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경제성 및 환아의 순응도를 고려하여 항생제를 선택하여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