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Dentistry

검색결과 2,520건 처리시간 0.042초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11-YEAR-OLD MALE PATIENT WITH ADRENOLEUKODYSTROPHY UNDER GENER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장준혁;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7-110
    • /
    • 2013
  • Adrenoleukodystrophy (ALD) is a rare, inherited disorder that leads to progressive brain damage and failure of the adrenal glands. It is passed down from parents to their children as an X-linked genetic trait. Therefore, it affects primarily males especially under the age of 10. People with ALD have excessive accumul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s) in their brain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enzyme which break down these fatty acids. Special method for treatment of ALD is not available. Eating a diet low in VLCFAs and taking special oils, called Lorenzo's oil, can lower the blood levels of VLCFAs. But this oil cannot stop the destruction of nerve cell.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report: Dental treatment of a 11-year-old male patient with ALD under general anesthesia. Careful management must be required during treatment procedure because of difficulty in cooperation, seizure disorders, gastroesophageal reflux, pulmonary aspiration and airway complications.

Crouzon 증후군 환자의 증례보고 (CROUZON SYNDROME : CASE REPORT)

  • 이수진;김영재;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3-138
    • /
    • 2009
  • Crouzon 증후군은 1912년 프랑스의 신경학자 Crouzon에 의해 처음 알려진 질환으로 10q25-10q26 염색체에 위치한 FGFR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되며 발생률은 25,000명당 1명 꼴로 상염색체 우성 유전 경향을 보이는 유전적 질환이다. 본 증례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9세의 Crouzon 증후군 환아에 대한 것으로 특징적으로 두개봉합이 조기에 폐쇄되는 두개골유합증(craniosynostosis)으로 인한 두개안면골 이상, 안구돌출증, 상악골 저성장 및 상대적인 하악전 돌증을 나타내었다. 이에 Crouzon 증후군의 의과 및 치과적 소견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과거의 문헌을 고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morphometric study on stainless steel crowns of the primary first molar using a three dimensional scanner

  • Lee, Jihyun;Shin, Teo Jeo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Lee, Sang-Hoon;Kim, Chong-Chul;Hyun, Hong-Keu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6호
    • /
    • pp.414-42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stainless steel crowns (SSCs) for the first primary molar using a 3D scanner. Study design: Two types of SSCs, KIDS CROWN (KC) and 3M ESPE ND-96 (ND), for the first primary molars were scanned using a 3D scanner.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at the height of the contour and the cervical margin, occlusocervical diameters on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aspects were measured, and the crown shape ratio,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and the cervical convergence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crown shape ratio of the mandibular SSC, KC was larger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ND. In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ND was larger than KC in all of the maxilla and mesial, distal, and lingual aspects of the mandible. ND was more convergent to the cervical mesiodistally and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KC. Conclusion: In the superimposed images of the maxillary SSC, the mesiolingual and distolingual line angles of KC were more prominent compared with ND. In the mandible, ND demonstrated higher cusps and more obvious buccal developmental lobes than KC. ND showed a larger cervical undercut than KC.

  • PDF

Pendulum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증례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A PENDULUM APPLIANCE)

  • 이현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1
    • /
    • 2008
  • 상악골과 치조골 전돌을 가진 II급 부정교합 증례 중 상악 치아 발치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와 하악 구치의 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Pendulum 장치는 환자의 협조도 없이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 소구치를 안정화시키며, 구개측 고정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치부 정출로 하안면 고경이 증가할 수 있고, 전치부 전방 이동이 동반되며, 추벽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과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pendulum 장치를 사용하여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대구치 관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Haddad syndrome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아우식 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HADDAD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CASE REPORT)

  • 서희원;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7-51
    • /
    • 2017
  • Haddad 증후군은 Congenital central hypoventilation syndrome과 Hirschsprung's disease가 함께 나타나는 질환으로 수면 시 호흡 저하를 특징으로 하나, 증상이 심할 경우 깨어있을 때에도 호흡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전신 마취 시, 중추성 억제 약물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적절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술 후에도 호흡 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방사선치료 후 영구치 치배 발육장애 증례보고 (DEVELOPMENTAL DISTURBANCE OF PERMANENT TOOTH GERMS AFTER RADIOTHERAPY : REPORT OF CASE)

  • 강명봉;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1-255
    • /
    • 2005
  • 두경부 악성 종양에 대한 방사선치료는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으로 다양한 구강내 합병증을 동반한다. 이 글에서 치열 발육 단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첫 번째 증례는 생후 19개월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 받아 방사선치료를 받은 7세 여자 환아로 영구치 치배의 선천적 결손과 왜소치 소견을 보였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생후 13개월에 양측성 망막아세포종으로 진단 받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영구치 치배의 선천적 결손, 왜소치, 치근의 저형성 그리고 법랑질 저형성증 소견을 보였다.

  • PDF

전치부 반대교합아동의 발음장애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 (AN ACOUSTIC ANALYSIS OF ABNORMAL PRONUNCIATION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 박정삼;장기택;이상훈;김종철;손동수;김진태;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5-388
    • /
    • 1996
  • It has widely known for speech problem in patients with malocclusion, but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degrees of severity. Patients with openbite and Cl III malocclusion usually have speech problem. It has widely known that fricative /s/is pronunciated most abnormally in Cl III malocclusion than any other consonant. Therefore 20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were selected for study groups and 40 children with normal anterior occlusion were selected for control group. 7 sounds such as / 사(sa), 서($s{\delta}$), 소(so), 수(su), 스($s{\omega}$), 시(si), 세(se) / were recorded, and the formants and formants ratios were measured by using Sensimetric Speech Station, which is speech analyzing program in IBM 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anterior crossbite group, F1 of all 7 soun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anterior relationship group(p<0.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2 between two groups except / 소(so), 수(su)/(p>0.05). 3. In anterior crossbite group, F2/F1 ratio of all 7 sounds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normal anterior relationship group(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ongue position(p>0.05).

  • PDF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Down syndrome 환자의 치과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Down syndrome patient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a case report)

  • 김정우;김종철;이상훈;장기택;김정욱;김영재;신터전;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3-106
    • /
    • 2011
  •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Trisomy 21)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대략 1/1000의 확률로 태어난다. 세 개의 유전적 유형이 있지만, 95% 정도가 3개의 21번 염색체를 갖는 비분리 염색체 유형이다. 주된 구강 증상으로는 거대설, 균열설,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 유치와 영구치의 맹출지연 그리고 이에 따른 부정교합 등이 있다. 75%의 환자에서는 어린 나이에 치주질환에 이환되기 쉬우며, 치아우식증에는 낮은 이환율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은 주로 어린이에서 나타나며, 특히 다운 증후군 환자에서의 발병율은 정상인에 비해 20배 높다. 치은비대와 출혈의 양상이 주로 나타나며, 간혹 상악골과 구개골에 종괴가 관찰 되기도 한다. 본 증례에서는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다운 증후군 환아가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외과적 재위치술에 의한 매복된 만곡절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AN IMPACTED DILACERATED INCISOR BY SURGICAL REPOITION)

  • 서윤진;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금기석;이상봉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6-173
    • /
    • 2012
  • 만곡치는 치관과 치근 사이의 경계부에서 굽어 있는 형태적 특징이 있다. 만곡치는 영구치열에서 3% 유병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확실한 원인은 아직 정립된 바 없으나 유치의 외상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만곡과 외상과 관계없는 치배의 특발성 발육장애가 2가지 주요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특히 만곡된 상악 절치는 흔히 맹출지연으로 인한 매복이 유발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정중선 불일치, 인접 치아의 이동에 의한 공간부족과 치조골 높이의 불일치가 발생된다. 본 증례는 상악 중절치의 매복을 주소로 한 8세 남아로 CT상 매복된 상태에서 치관부가 전비극에 근접하여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치근부에서 만곡이 관찰되어 교정적 견인을 시도하였으나 이동이 되지 않아 외과적 재위치술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Beckwith-Wiedemann syndrome 환아의 치아우식 치료 : 증례보고 (DENTAL CARIES TREATMENT OF A PATIENT WITH BECKWITH-WIEDEMANN SYNDROME : A CASE REPORT)

  • 허선재;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2-95
    • /
    • 2016
  • Beckwith-Wiedemann syndrome은 다양한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 질환이다. 거대설은 BWS 환아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특징으로 그로 인한 섭식 문제와 호흡곤란이 야기될 수 있어 치과 치료 시, 주의를 요하게 된다. 또한 거대설로 야기될 수 있는 골격적인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