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oralis muscle turnover flap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Therapeutic Outcomes of Pectoralis Major Muscle Turnover Flap in Mediastinitis

  • Bagheri, Reza;Tashnizi, Mohammad Abbasi;Haghi, Seyed Ziaollah;Salehi, Maryam;Rajabnejad, Ata'ollah;Safa, Mohsen Hatami Ghale;Vejdani, Mohammad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258-264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results and safety of pectoralis major muscle turnover flaps in the treatment of mediastiniti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procedures. Methods: Data regarding 33 patients with post-CABG deep sternal wound infections (DSWIs) who underwent pectoralis major muscle turnover flap procedures in the Emam Reza and Ghaem Hospitals of Mashhad, Iran were reviewed in this study. For each patient, age, sex, hospital stay duration, remission, recurrence, and associated morbidity and mortality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2,447 CABG procedures that were carried out during the time period encompassed by our study, DSWIs occurred in 61 patients (2.5%). Of these 61 patients, 33 patients (nine females [27.3%] and 24 males [72.7%]) with an average age of $63{\pm}4.54$ years underwent pectoralis major muscle turnover flap placement. Symptoms of infection mainly occurred within the first 10 days after surgery (mean, $10.24{\pm}13.62days$). The most common risk factor for DSWIs was obesity (n=16, 48.4%) followed by diabetes mellitus (n=13, 39.4%). Bilateral and unilateral pectoralis major muscle turnover flaps were performed in 20 patients (60.6%) and 13 patients (39.4%), respectively. Complete remission was achieved in 25 patients (75.7%), with no recurrence in the follow-up period. Four patients (12.1%) needed reoperation. The mean hospitalization time was $11.69{\pm}6.516days$. Four patients (12.1%) died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three due to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of respiratory failure and one due to pulmonary thromboembolism. Conclusion: Pectoralis major muscle turnover flaps are an optimal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post-CABG mediastinitis. In addition to leading to favorable therapeutic results, this flap is associated with minimal morbidity and mortality, as well as a short hospitalization time.

근육편을 이용한 흉골열개 및 감염의 치료 (Treament of Sternal Dehiscence or Infection Using Muscle Flaps)

  • 최종범;이삼윤;박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48-853
    • /
    • 2001
  • 배경 및 목적: 정중 흉골 절개 후 발생한 흉골 감염과 열개(dehiscence)는 드물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그 사망률은 높다. 본 교실은 개심술 후 발생한 12예의 흉골 감염 및 열개 환자에서 광범위한 괴사조직 제거와 근육편 이식술로 치료하고 그 수술 결과를 보호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개심술 후 흉골 감염과 열개가 발생한 13예 중 흉골감염의 치료 전에 뇌경색으로 사망했던 1예를 제외하고 12예를 치료대상으로 하였다. 6예가 판막치환술 환자였고, 다른 6예가 관상동맥우회로술 환자였다. 1991년 이후에 수술한 7예에서는 짧은 기간의 배액(배농)과 세척으로 발열이 없어지면 바로 수술하였다. 감염 및 괴사된 연부조직 및 뼈를 절제하고 흉골의 사장을 우측 대흉근편 (회전편), 좌측 대흉근편 (회전편 또는 전진편), 우복직근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보강하였다. 결과: 12예의 흉골 감염 및 별개의 수술 치료 후 사망은 없었다 흉골 감염 및 열개가 발견된 후 평균 6.6$\pm$3.9일에 근육편의 이식수술을 하였다. 4예에서 우측 대흉근편을, 8예에서 양측 대흉근편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1예와 2예에서는 우복직근도 사용하였다. 1예에서 좌측 대흉근의 전진편이 괴사되고 흉벽농양이 발생하여 우복직근을 이용하여 재수술하였다. 근래에 수술한 3예에서는 우측 대흉근의 전진편만을 넓게 펴서 흉골사강을 보강하여 한 근육 편으로 흉골열개를 치료하였으며 3주 이상 개방성 배액관의 거치가 필요했다. 결론: 개심술 후 합병된 흉골절개부위의 열개 및 감염에서 짧은 기간의 세척 후 조기 수술에 의한 괴사조직의 제거와 주위 근육편 이식으로 쉽게 치료할 수 있으며, 우측의 대흉근만으로도 흉골 열개의 수술치료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