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runoff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5초

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시 유역의 유출 및 NPS 오염물 배출 모의 (A Simulation of the Runoff and the NPS Pollutants Discharge using SWMM Model)

  • 신현석;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6권3호
    • /
    • pp.125-135
    • /
    • 199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유역에 적합한 유량 및 수질 모형을 선택하고 그 모형을 임의의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합성을 판정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택된 모형은 EPA의 SWMM 모형으로, 이 모형은 도시유역의 유량 및 수질, 특히 NPS(non-point source) 오염물의 배출의 모의에 적합한 모형이며,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지표면유출을 위해서는 Runoff Block을, 관거 추적을 위해서는 Transport Block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대상유역은 전형적인 도시유역인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유수지 유역이며, 이 유역을 위한 기존의 4개의 연속유량 측정치와 2개의 연속수질 측정치를 가지고 모의를 수행하였다. 유량 및 수질, 특히 NPS 부하량의 검정을 첨두치, 첨두시간, 유출 및 배출 용적과 그들의 상대오차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SWMM 모형은 유출 및 NPS 오염물 배출 모두를 모의하는데 적합한 모형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도시유역의 유출과 NPS 오염물 배출간의 상관관계의 분석 및 그를 통한 유역의 오염물의 년, 월, 부하량의 산정을 통한 물질수지계산 방법의 연구에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역(流域)의 지형학적(地形學的) 인자(因子)에 기초한 운체시간(運滯時間)의 산정(算定)과 유출예측(流出豫測) (Lag Time Estimation and Runoff Prediction Based on the Gemorphologic Parameters)

  • 전민우;조원철;이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93-102
    • /
    • 1989
  • 유역(流域)의 저축효과(貯蓄效果)와 하도(河道)에서의 평행이동효과(平行移動效果)를 고려하여 유역(流域)에서의 연체시간(運滯時間)을 결정하였으며, 평행이동효과(平行移動效果)는 유역 비선형성(非線型性)을 나타내기 위하여 흐름단면적과 유출량의 관계를 지수함수(指數函數)로 표시하였고, 수로(水路)길이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흐름단면과 하도거리와의 관계를 1차식(次式)으로 표시하였다. 운체시간(運滯時間)에 관한 매개변수(媒介變數)들을 수로망(水路網)크기로 부터 결정하였으며, 수로선분(水路線分)에 의하여 형성되는 소류역내(小流域內)의 유효강우(有效降雨)를 본류하도(本流河道)를 통하여 저수지(貯水池) 추적(追跡)을 실시함으로써 금강수계내(錦江水系內)의 지류(支流)인 보청천유역(報靑川流域)의 산역(山域)과 기대지점(其大地點)에서의 직접유출(直接流出)을 예측(豫測)하였다.

  • PDF

도시유출모형확립을 위한 ILLUDAS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The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of ILLUDAS for Eastiblishment of Urban Runoff Model)

  • 서규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1-98
    • /
    • 1998
  • In this study, the hydrological changes due to urbanization were investigated and fundamental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typical urban runoff model such as ILLUDAS was studied. Above model was applied for urbanizing Dongsucheon basin, Incheon. The main parameters (II, IA, IS) which are included in model depending on runoff results were determined, and dimensionless values such as total runoff ratio($Q_{TR}$), peak runoff ratio($Q_{PR}$), and runoff sensitivity ratio ($Q_{SR}=Q_{TR}/Q_{PR}$) were estimated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odel based on relative sensitivity analysis.

  • PDF

논의 배수물꼬의 유량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Outlet Drain Discharge from Paddy Field)

  • 최진규;김현영;손재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4-142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rain runoff characteristics from one paddy field,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od discharge and unit drainage water for drainage improvement and farmland consolidation. For this purpose, under the assumption that drain discharge from paddy field was similar to outflow of reservoir, runoff model based on storage equa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field, and simulated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measured discharge at weir point. To estimate effective storage volume of paddy field with water depth, 4 regression formula were examined such as linear, exponential, power, and combined. From the observed runoff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o be 3.3~16.3${\ell}$/sec in weir discharge, 57.2~98% in runoff ratio, and relative error of simulated result was 3.0~39.4%, 8.5 ~56.0 % for peak flow and runoff ratio, respectively. Curve number by SCS method was calculated as mean value of 96.4 using measured rainfall and runoff data, it was considered relatively high because paddy field has generally flooding depth contrary to the upland watershed area.

  • PDF

유역면적과 강우특성변화에 따른 CHICAGO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CHICAGO Model Parameters due to Watershed Area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 서규우;송일준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4-81
    • /
    • 1999
  • In this study, the hydrological changes due to urbanization were investigated and fundamental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typical urban runoff model such as CHICAGO Model was studied. Above model was applied for urbanizing Dongsucheon basin, Incheon. The main parameters(CI, CP, CS) which are included in this model depending on runoff results were determined, and dimensionless values such as total runoff ratio($Q_{TR}$), peak runoff ratio($Q_{PR}$), and runoff sensitivity ratio($Q_{SR}=Q_{TR}/Q_{PR}$) were estimated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odel based on relative sensitivity analysis. Finally, applied model was proposed based on understanding of work types and established urban runoff models which can simulate well for areal development patterns and urban river basin.

  • PDF

소규모 단지의 유출모의와 도시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unoff Simulation and the Urbanization Effect on Small Watersheds)

  • 이병호
    • 물과 미래
    • /
    • 제24권2호
    • /
    • pp.59-70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유역에서의 유출 해석을 위해 기존의 모의 모형중 ILLUDAS 모형과 ILSD 모형을 선택하였다. 이들 모형을 실제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 수문곡선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서 모형의 적응성과 유의 해야할 사항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도시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첨두 유량과 유출계수 및 유출용적 등이 증가하는 현상을 알아 보기 위해 도시화 정도에 따른 분석도 실시 하였다.

  • PDF

HEC-HMS를 활용한 무심천 유역내 도시화에 의한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by Urbanization in the Mushim Stream Watershed using HEC-BMS)

  • 윤석환;이종형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43-54
    • /
    • 2004
  • For a given watershed that consists of urbanized areas, it was essential to predict how the runoff characteristics, such as runoff peak and volume, and travel time, change with time far planning and designing various kinds of hydraulic facilities with given recurrence interval. In this study, Mushim stream watershed was simulated using HEC-HMS model to get runoff characteristics of an urbanization basin. The results was showed that runoff was increased $1794.20{\sim}2104.65\;m^{3}/s$> and $1751.90{\sim}1961.30\;m^{3}/s$ according to the increased of rainfall and CN value recurrence interval in years. Observed storm was increased $497.91{\sim}581.71\;m^{3}/s$ and $506.57{\sim}537.01\;m^{3}/s$ for increased of CN value and impervious area. This paper is also possible to evaluate the effect of urbanization quantitatively.

수원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Source in Suwon City)

  • 지홍진;이상은;이재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3-505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source at the urban area in Suwon city. The highest T-N and T-P concentration of rainfall runoff observed in agricultural area. In residential area, the highest $BOD_5$ and SS concentration of rainfall runoff was investigated. During rainfall events,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and $BOD_5$ were observed after 1~2 hours of rainfall in urban area.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1~2 hours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SS and $BOD_5$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urban area. The EMC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value of T-N and T-P in agricultural area was observed. While residential area was shown the lowest EMC value as T-N and T-P. Non-point pollutant loads on the land use types in urban area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residential>industrial>agricultural>highway. $BOD_5$ and SS loads on urban watershed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Suwon>Hwangguji>Seoho>Wonchunri. Whereas, T-N and T-P loads on urban watershed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Hwangguji>Suwon>Wonchunri>Seho.

공간적 포화면적의 공간적 연결을 고려한 TOPMODEL의 개선과 적용 (Modification of TOPMODEL Considering Spatial Connectivity of Saturated Area)

  • 김상현;김경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515-524
    • /
    • 1999
  • 본 연구는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는 과정에서 TOPMODEL이 가지고 있는 구조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포화초과유출을 모의하는 기존 TOPMODEL은 유출모의시 유역내 포화부분의 공간적인 정보를 반영하는 과정에 있어 포화면적의 연결성을 고려한 유출 알고리즘의 개발로 발전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TOPMODEL의 매개변수를 증기시키지 않고 개선된 유출경로 추적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합리성과 적용성을 제고시켰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화면적 연결모형과 기본적인 통계적 입력모형형태의 TOPMODEL을 국제수문개발계획 대상유역인 위천유역내의 동곡소유역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화면적 연결모형이 다른 두 모형에서 발생하는 모의시 과도첨두유량계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PDF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의 개선(II) - 적용 및 분석 -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 정인균;신형진;박진혁;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B호
    • /
    • pp.709-7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개선한 ModKIMSTORM을 유역면적 $2,293km^2$의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공간해상도 500 m의 GIS 입력자료(DEM,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종류도 등)를 구축하였으며, 5개 태풍(2000년 사오마이,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 2004년 메기, 2006년 에위니아) 및 2개 강우사상 (2003년 5월, 2004년 7월)을 적용하여 모형을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자동평가 기능을 이용하여 모의유량을 실측유량과 비교하였으며, 유역의 출구지점에 대한 매개변수 보정결과 결정계수($R^2$), 모형효율(E), 유출용적편차($D_v$), 첨두유량의 상대오차 ($EQ_p$), 첨두시간의 절대오차($ET_p$)의 평균은 각각 0.984, 0.981, 3.63%, 0.003, 0.48 hr로, 검정에서는 $R^2$, E, $D_v$, $EQ_p$, $ET_p$의 평균이 각각 0.937, 0.895, 8.08%, 0.138, 0.73 hr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와 관련하여 초기토양수분함량이 유출용적에 민감하였고, 하천조도계수가 첨두유량에 가장 민감한 변수로 나타났다. 호우기간동안의 공간적인 결과로부터 수문학적 요소의 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호우시 유역관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