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

Search Result 2,41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동해안 울진해역 원통형 고둥 통발의 재질별 어획 성능 (Catching efficiency of the whelk pot in accordance with the pot materials in the Uljin waters, East sea)

  • 안희춘;배재현;박창두;박종명;홍성익;윤병선;김병관;김성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1호
    • /
    • pp.1-11
    • /
    • 2017
  • Fishing pots are one of the important fishing gears in our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In terms of a sustainable use of marine resources,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ghost fishing by lost pots. It is reported that 10 to 70% of the pots are abandoned or lost annuall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tching efficiency of drum type whelk pots that are made of biodegradable nets to those made of the ordinary net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Five types of drum pots were used with combination of biodegradable nets and ordinary (PA, PE) nets applied to the main and funnel parts of the pots: pots with biodegradable nets (Bio+Bio); pots with PE net (PE+PE); pots with body and funnel made of biodegradable nets and PE nets respectively (Bio+PE); pots with body and funnel made of PE nets and PA nets respectively (PE+PA); pots with body and funnel made of PE nets and biodegradable net respectively (PE+Bio).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une $18^{th}$, 2015 to August $7^{th}$, 2015 using a commercial fishing vessel in the Uljin water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wo fleets of pots with one hundred in each, 20 pots of each type, were casted for 8 to 15 days to analyze their catching efficiency. The catch of target species, whelks, was 202,563.0 g with catch rate of 38.7% of the total catch, while the bycatch was 320,709.7 g with the rate of 61.3% of the total catch. The catch of whelks was the highest in the Bio+PE pots (46,020.3 g), followed by the Bio+Bio pots (42,027.5 g), the PE+Bio pots (41,849.9 g) and the lowest being PE+PE pots (38,054.2 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ts, the pots with biodegradable nets on the body or entrance part had slightly higher catch rate for both the target species and the bycatch. The PE+PE had the lowest catch rat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tch between the pots with biodegradable nets and the ordinary nets for the target species such as Buccinum opisthoplectum, Neptunea eulimata, Buccinum striatissimum. Consequently, using biodegradable nets for the conventional whelk pots can reduce ghost fishing by lost gears while keeping the performance of the pots.

PE 이종강관의 소방용 배관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iping Feasibility of PE Compound Pipe for Fire Protection Service)

  • 박정화;오천영;곽지현;손봉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55-61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방용 배관의 부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계소화설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Polyethylene (PE) 이종강관을 수계소화설비배관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실제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이종배관에 대한 관련시험기준이 없어 국내외 기술자료 및 시험기준을 비교분석하여 적합한 화재시험기준을 선정하여 PE 이종강관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배관의 성능시험에 채택한 화재시험기준은 합성수지배관과 금속배관의 두 가지의 화재시험기준을 적용하였고 총 6차례의 화재실험을 실시하여 배관성능을 평가하였다. 소방용합성수지배관의 시험기준을 적용한 1, 2차의 화재시험결과 이음쇠와 배관에서 파손이나 변형이 없었으며 5분간 내압시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누수가 없었다. 금속배관시험기준을 적용한 화재실험은 총 4회를 실시하였으며 1, 2차 실험은 습식설비를 모사한 것으로 화재시험결과는 PE 이종강관에서 누설이나 파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또한 PE 재질의 이탈 등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단, 건식설비를 모사한 3, 4차의 화재시험결과 소화수가 방출되기 이전에 PE 이종강관에서 파열,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험결과 습식설비를 모사한 화재시험의 경우 PE 이종강관의 융착성, 변형, 파손 등 배관의 성능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블렌드의 상분리 구조 및 발포 특성 (Phase Morphology and Foaming of Polypropylene/Ethylene-octene Copolymer Blends)

  • 서관호;임정철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707-718
    • /
    • 2001
  • 폴리프로필렌 (PP)은 낮은 밀도,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가공성과 더불어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이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의 발포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 폴리프로필렌을 만들고자 하였다. 폴리프로필렌의 가공온도에서 유동성과 발포체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mPE)를 폴리프로필렌에 용융 블렌드하였다. 발포에 앞서 발포체의 발포배율과 셀구조에 미치는 상분리 거동의 영향을 알기 위해 PP/mPE 블렌드 상분리 거동을 조사하였다. PP/mPE 블렌드의 강 거동은 블렌드 조성과 mixing torque ratio, 그리고 mixing rpm에 영향을 받았다. PP 기질에 mPE가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블렌드를 발포시켰을 때 높은 배율과 안정한 셀 구조를 가지는 발포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Purslane Extract on Obesity and Diabete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Kang, Kwang-S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66
    • /
    • 2016
  • The frequency of obesity has risen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but only few safe and effective drugs are currently available. In addition, obesity can induce type 2 diabetes (T2DM),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disease. Recently, protective effect of purslane extract (PE) on obesity has been reported,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and mechanism of PE in obes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E on obesity and diabetes in obese mice. In addition, the effect of PE was compared with anti-obesity and diabetes drugs.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were treated for 8 weeks with drugs as follows: PE, orlistat, metformin, voglibose or pioglitazone. While PE mixed with normal diet did not have any effects on BW in non-obese mice, PE mixed with HFD significantly reduced BW gain, insulin resistance, and glucose intolerance, without affecting food intake and appetite in obese mice. The effect was comparable to the effects of anti-obesity and diabetes drugs. Furthermore, P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y of hepatocellular anti-oxidant enzymes, leading to protection of liver from oxidative stress in obese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 treatment may be a useful tool for preventing obesity and complication of obesity.

MOEPE: 스테레오 정합 하드웨어를 위한 Merged Odd-Even PE구조 (MOEPE: Merged Odd-Even PE Architecture for Stereo Matching Hardware)

  • 한필우;양영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0호
    • /
    • pp.57-6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동적 프로그래밍에 기반한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듬을 구현하는 새로운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MOEPE(Merged Odd-Even PE) 구조는 시스톨릭 방법으로 동작하고, 극상선상의 화소의 밝기 값으로부터 변이를 찾는다. MOEPE구조에서 사용된 PE 수는 변이제약조건의 수와 일치하는데, 이는 극상선상의 화소 수만큼의 PE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훨씬 적은 수의 PE를 사용한다. MOEPE 구조에서 사용된 PE 수는 일반적 크기의 영상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약 25배 적은 수의 PE를 사용한다. 제안된 구조는 VHDL로 기술하였고, Synopsys 설계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ABS-Polyethylene 혼합물의 저온 열분해 특성평가 (Liquefaction Characteristics of ABS-polyethylene Mixture by a Low-Temperature Pyrolysis)

  • 최홍준;정상문;이봉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23-228
    • /
    • 2012
  • ABS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및 ABS-PE 혼합물의 저온열분해를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압 및 $450^{\circ}C$에서 실행하였다. 열분해 시간은 20~80분까지 하였고 열분해로 생성된 성분은 지식경제부에서 고시한 증류성상온도에 따라 가스,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였다. ABS와 PE의 혼합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전환율은 P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분해생성물의 수율은 PE의 함량이 높을수록 중유 > 가스 > 가솔린 > 경유 > 등유 순으로 회수되었다.

Poly(meta-phenylene isophthalamide)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PE 분리막의 고내열화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Thermal Stability of PE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 Using Poly(meta-phenylene isophthalamide))

  • 박민아;라병호;배진영;김병현;최원근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22-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차전지용 폴리에틸렌(PE) 분리막에 poly(meta-phenylene isophthalamide) (Nomex)를 코팅함으로써 뛰어난 내열성을 가진 coated PE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다양한 Nomex 용액 조성과 PE 분리막 코팅 조건에 따라 제조한 분리막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을 열 노출 테스트와 TM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제조된 코팅 분리막은 기존의 PE 분리막보다 향상된 열 수축률 및 기계적 성질을 보였다. 코팅 분리막의 전기화학적 성질은 이온전도도, 순환 전위-전류법,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등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귤쥬스 중 pectinesterase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Pectinesterase in Citrus Juic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좌미경;임상빈;고정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90-795
    • /
    • 1996
  • 종래의 가열처리 방법에서 발생하는 감귤쥬스의 향기, 색 및 성분파괴 등 품질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감귤쥬스를 가열하는 대신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하여 처리시간, 온도, 압력 등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처리조건들이 감귤쥬스 중 PE의 불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40^{\circ}C$에서 온도 만으로 감귤쥬스를 처리하였을 때는 처리시간에 따라 PE 불활성도가 $15{\sim}55{\%}$인 반면 압력을 138 bar로 증가시켰을 때는 불활성도가 $31{\sim}83{\%}$로 증가하였다. 138 bar에서 $40^{\circ}C$로 처리하였을 때 원료 중의 PE의 83%를 불활성화시키는데 130분이 소요된 반면 $50^{\circ}C$로는 88%가 불활성화되는데 20분이, $60^{\circ}C$로는 87%가 불활성화되는데 10분밖에 소요되지 않았다. $40^{\circ}C$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PE 불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50,\;60^{\circ}C)$에서는 압력보다는 온도의 영향이 켰다. 압력과 온도에 따른 PE 불활성화 반응속도 상수인 k값과 D값을 계산한 결과 처리조건에 따라 PE 불활성화 반응형태가 다른 것으로 보아 온주밀감쥬스에는 안정성이 다른 2가지 형태 이상의 PE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배관용 보온재의 난연 성능 시험방법에 따른 최대 발열량 분석 (Analysis of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Accordance with the Test Method of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for Pipe Insulation)

  • 유우준;박정욱;신연제;박형규;임옥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18-2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보온재의 설치 상태를 고려한 ISO 20632와 NFPA 274 시험 기준에 따른 발열량 산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보온재 총 6종(은박 발포폴리에틸렌(PE(S)), 무은박 발포폴리에틸렌폼(PE(N)), 고무발포(Rubber), 일본-폴리에틸렌폼(PE(J)), 일본-폴리우레탄폼(PU(J)) 그리고 일본-스티로폼(ST(J)))에 대해서 EN 13501-1과 화재성장곡선에 따른 난연 등급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PU(J), PE(J) 그리고 PE(N)는 Class E 및 Ultra-fast, NFPA 274 시험기준에 의한 PE(S)는 Class D 및 Fast, ISO 20632에 의한 PE(S)는 Class C 및 Slow, 그리고 Rubber와 ST(J)는 Class B 및 Slow로 나타났다. 하지만, 난연 등급 평가 기준인 최대 발열량에 대한 시간평균 기울기는 시험 방법에 따라서 동일 보온재에 대하여 다르게 나타났으며, 보다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연성 플라스틱 포장재를 이용한 흑미 쌀 과자의 저장 (Storage of Rice Cake made of Black Rice and Brown Rice using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 이진철;김종대;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81-285
    • /
    • 1999
  • 플라스틱 포장재는 PE(polyethylene: 두께 0.1mm)와 PP (polypropylene; 두께 0.1mm)를 이용하였다. 포장재각각에 흑미 쌀 과자를 각각 5개씩 밀봉하여 온도 2$0^{\circ}C$, 습도 65%가 유지되는 저장고에 5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1개월 간격으로 무게변화율, 색도, 경도, 수분 활성도, 산패도 등 물리ㆍ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활성도와 무게 변화율 이외에 색도, 경도, 산패도 등은 저장기간 동안 두 포장재 처리구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쌀 과자의 저장 중 무게변화는 PE(polyethylene) 필름과 PP(polypropylene) 필름에 포장한 쌀 과자 모두 무게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저장 기간 중 외부의 수분이 포장재를 투과하여 흡수된 걸로 생각된다. 흑미 쌀 과자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은 매우 미약했으며 두 포장재간의 차이는 많지 않았으나 PP가 수분 투과를 약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활성도는 무게 변화율과 비례적인 관계를 보여 주어서 무게의 증가가 수분의 증가임을 알 수 있었다. 저장 기간 중 PE에 포장된 흑미 쌀 과자의 수분 활성도가 PP에 포장된 흑미 쌀 과자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PE의 경우 저장 4개월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수분 활성도와 무게증가율에 있어서는 PP가 PE보다 좀더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여 65% RH에서 저장시에는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성이 더 우수한 PE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