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Mg1/3Nb2/3)O3-PbTiO3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Pb($Mg_{1/3}Nb_{2/3}$)$O_3$-$PbTiO_3$-Pb($Ni_\frac{1}{2}W_\frac{1}{2}$)$O_3$세라믹의 유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Pb($Mg_{1/3}Nb_{2/3}$)$O_3$-$PbTiO_3$-Pb($Ni_\frac{1}{2}W_\frac{1}{2}$)$O_3$ Ceramics)

  • 유남산;류기원;이성갑;이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67
    • /
    • 1990
  • In this study, (0.80-x)Pb($Mg_{1/3}Nb_{2/3}$)$O_3$-$PbTiO_3$-Pb($Ni_\frac{1}{2}W_\frac{1}{2}$)$O_3$ 0.05$\leq$x$\leq$0.20) ceramics were fabricated by the mixed oxide method,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950∼1200[$^{\circ}C$], 2[hr], respectively. The dielectric and structural properties with composition and sintering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for the application a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Dielectric constant of 0.70PMN-0.2PT-0.10PNW composition with repeated calcination was increased rapidly. Increasing the Pb($Mg_{1/3}Nb_{2/3}$)$O_3$-$PbTiO_3$-Pb($Ni_\frac{1}{2}W_\frac{1}{2}$)$O_3$ contents from 0.05 to 0.20 [mol],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was shifted from 68 to 2[$^{\circ}C$] and dielectric constant was decreased while sintered density was increased. In the specimens containing 0.10, 0.15[mol] of PNW, dielectri constants at room temperature were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11199, 10114, respectively. Resistivity of specimens were $10^{10}$$10^{12}$($\Omega$.m) and there was no dependence on sintering temperature and composition.

$Pb(Mg_{1/3}Nb_{2/3})O_3-PbTiO_3$ 계 완화형 강유전체의 특성에 미치는 $PbTiO_3$ 첨가량의 변화 -I.유전특성 및 초전특성- (Effect of $PbTiO_3$ Concentration on the Properties of $Pb(Mg_{1/3}Nb_{2/3})O_3-PbTiO_3$ Relaxor Ferroelectrics)

  • 박재환;흥국선;박순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1-398
    • /
    • 1996
  • PMN계에서 유전적 성질에 관한 연구들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전계인가 변위특성에 관한 폭넓은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완화형 강유전체의 가장 대표적인 PMN계에서 PT의 함량 및 측정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전적 성질 및 전계인가 변위특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형적인 columbite precur-sor법에 의해 분말을 준비하고 고상소결방법에 의하여 모든 시편을 제조하였다. PT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직선적으로 (T$\varepsilon$max)가 증가하였으며 유전율은 13000~22000 사이의 값을 보였다. 유전율의 온도 의존성은 PMN의 경우 전형적인 완화형 강유전체의 유전 특성을 보이지만 PT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보통 강유전체의 sharp한 거동을 보였다. 전계인가 변위특성에서는 단순히 유전율이 최대가 되는 온도에서 발생 strain이 최대가 되는 것은 아니며 tetragonal-cubic의 phase transition에서는 strain의 증가가 없고 rhombohedral에서 tetragonal 혹은 rhombohed-ral에서 cubic으로의 상전이에서만 strain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CuO의 첨가가 PMN-PT 세라믹스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O Addi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b(Mg_{1/3}Nb_{2/3})O_3-PbTiO_3$ Ceramics)

  • 김효태;변재동;김인태;김윤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056-1064
    • /
    • 1995
  • 95Pb(Mg1/3Nb2/3)O3-5PbTiO3 (hereinafter designated as 95PMN-5PT) system was prepared by the columbite-precursor method with 2 mol% excess PbO to compensate the PbO loss during thermal process. The amount of CuO was 1~10 mol%, and the effects of CuO addi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is system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microstructures, XRD analysis and dielectric measurements, the solubility limit of CuO in 95PMN-5PT was found to be around 3 mol%. Lattice parameter and Curie temperature were found to be decreased as the amount of CuO increased up to the solubility limit.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Cu2+-ions substituted the Pb2+-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CuO on 95PMN-5PT promoted the sinterability and properties. The room temperature dielectric constant, the loss factor and the specific resistivity of the specimens processed with optimum conditions were 23000, 1%, and 8$\times$1011Ω.cm, respectively.

  • PDF

Pb(Zr, Ti)$O_3$-Pb(Mg, Nb)$O_3$$MnO_2$첨가가 전기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nO_2$on the electrical properties in Pb(Zr, Ti)$O_3$/-Pb(Mg, Nb)$O_3$)

  • 김현재;조봉희;정형진;박창엽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권2호
    • /
    • pp.152-161
    • /
    • 1988
  • Pb(Zr, Ti)O$^{3}$-Pb(Mg, Nb)O$^{3}$계에 MnO$_{2}$첨가량을 변화시켜 소결성, 미세구조, 유전상수, 비저항 및 압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XRD, EDAX 및 SEM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실험을 통하여 전기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비저항의 변화없이 그레인 성장이 억제되는 $MnO_{2}$의 첨가량은 0.4wt%이었으며 이때 분말의 합성이 촉진되어 소성된 시편의 밀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상반응의 범위를 벗어나는 과잉 $MnO_{2}$는 편석이 되어 그레인 경계상에 모임이 확인되었고 또한 기공을 형성하여 밀도를 낮추었다. $Mn^{+4}$$Mg^{+2}$ 와 치환되어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A" 결핍을 유발하였으며 이것이 비저강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밝혀졌다.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