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ron-Driven Acquisi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대학도서관 희망도서의 신청 패턴과 이용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and Efficiency of Patron-Driven Acquisition in Academic Libraries)

  • 권소담;남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3-284
    • /
    • 2018
  • 대학도서관은 구성원이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수적인 자료를 선정하여 구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장서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희망도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년간의 장기적 관점에서 희망도서 신청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희망도서는 단행본에 대한 강력한 정보 요구이기 때문에 주제 분야별 이용자의 정보 요구 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학 구성원으로서 이용자는 전공하는 학문 분야에 대해서는 전공 도서를 선정하면서도 다른 주제 분야의 교양 도서를 적절히 선정하여 장서 구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희망도서는 소수의 이용자에 의해 선정이 이루어지지만 도서관 전체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어 효율적인 장서 개발 정책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DA(Patron-Driven Acquisitions) 방식 전자책 수서 모형에 관한 연구 (Study on eBook Acquisition Model based on Patron-Driven Acquisitions)

  • 조재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5-121
    • /
    • 2015
  • 이용자의 수요를 표현하는 트리거가 누적되어 임계치에 다다를 때 사서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전자책이 구입되는 PDA 모델은 이용자의 수요에 부합하는 장서를 구성하면서도 도서관의 수서 예산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장서 개발 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우리에게 아직 생소한 PDA의 개념, 작동 원리, 운영 현황 등을 살펴보고, 컨소시엄 기반의 한국 대학도서관 해외 전자책 수서 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에서는 다양한 해외 전자책 수서 모형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종 이용자의 수요에 기반한 PDA 일반 모델이나 증거기반선정 모델을 컨소시엄 단위로 응용함으로써 비용 효율성과 이용 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 요구 기반 장서개발을 위한 대학도서관 희망도서 주제 분석 (A Topic Analysis of Requested Books by User Types at a University Library for Patron-Driven Acquisition)

  • 최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95-415
    • /
    • 2024
  •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에 있어 희망도서는 이용자의 직접적인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수서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장서개발을 위해 희망도서를 신청하는 이용자 집단간의 주제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대학도서관의 10년치 희망도서를 분석하였다. 장서개발에 있어 이용자의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한 영역을 파악하는 것은 사서가 장서개발의 핵심 영역을 파악하고 균현있는 장서개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사항이다. 이용자별 주요 주제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KDC 주제분류를 매핑한 분석결과 모든 신청자 집단에서 '사회과학'이 주요 대주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주제 분석에서는 대학원생의 주요 주제 분야로 '의학'과 '심리학'이 나타나 다른 신청자 집단과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의 희망도서 영역이 다른 집단과 차별화된 요인은 A대학에서 대학원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지만 여가용으로는 희망도서 신청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긴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학부생은 공무원, 취업과 진로 등 다른 신청자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주제들이 주요 주제 클러스터로 나타났고 대학원생은 소수 전공 주제에 집중되어 주제 클러스터가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