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tient Positioning System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8초

전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양측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후 안정성에 관한 임상적 분석 (CLINCAL ANALYSIS OF SKELETAL STABILITY AFTER BSSRO FOR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ANTERIR OPEN BITE)

  • 김현수;권대근;이상한;김진수;강동화;장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52-16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atients visited oral maxillo-facial surgery, KNUH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skeletal and dento-alveolar stability after surgical-orthodontic correction treated b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open bite versus non-open bit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40 patient,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a mean age 22.3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open bite and non-open bit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cephalometric records of 40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open bite: n = 18, non-open bite: n = 22) were examined at different time point, i.e. before surgery(T1), immediately after surgery(T2), one year after surgery(T3).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as performed in 40 patients. Rigid internal fixation was standard method used in all patient.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ephalometric records, we were able to achieve following results of post-surgical stability and relapse. 1.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of pre-operative stage(p>0.05). 2. Mean vertical relap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open bite were $0.02{\pm}1.43mm$ at B point and $0.42{\pm}1.56mm$ at Pogonion poi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non-open bite, $0.12{\pm}1.55mm$ at B point and $0.08{\pm}1.57mm$ at Pogonion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vertical relapse(p>0.05). 3. Mean horizontal relap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open bite were $1.22{\pm}2.21mm$ at B point and $0.74{\pm}2.25mm$ at Pogonion poi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non-open bite, $0.92{\pm}1.81mm$ at B point and $0.83{\pm}2.11mm$ at Pogonion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horizontal relapse(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post-surgical mandibular stability(p>0.05). and we believe this is due to minimized mandibular condylar positional change using mandibular condylar positioning system and also rigid fixation using miniplate 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pse tendency observed at chin points,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mandibular relapse w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of mandibular set-back(p=0.05, r>0.304).

유방암 방사선치료에 있어 치료도중 및 분할치료 간 위치오차에 대한 전자포탈영상의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분석 (Computer Assisted EPID Analysis of Breast Intrafractional and Interfractional Positioning Error)

  • ;;;;진호상;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1호
    • /
    • pp.24-31
    • /
    • 2006
  •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치료도중(intrafractional) 및 분할 치료 간(intefractional)에 발생되는 오차를 측정하는 자동분석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오차 분석 결과는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임상에 적용하기에 앞서 적절한 치료계획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을 설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포탈영상장치(Electrical Portal imaging Device, EPID)로써 Portal Vision LC250 액체 충전형 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하였다(fast frame-averaging 모드, 초당 1.4 프레임, 256X256 픽셀). 12명의 환자에 대해 최소 7일 이상씩 영상을 획득하였다. 매 치료마다 평균 8 내지 9개의 영상을 각 빔에 대해 얻었다(분당 400 MU 선량률). 총 2,931 (720 측정을 포함하는)개의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자동화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료도중 오차와 분할 치료간 발생하는 분할치료오차의 표준편차($\sigma$)들을 계산하였다. 신뢰 구간 95%로 임상표적체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을 포함할 수 있는 PTV 마진은 $2\;(1.96\;{\sigma})$으로 계산되었다. 주로 호흡으로 인해 유발되는 치료도중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PTV 마진은 2 mm에서 4 mm이었다. 반면에 분할 치료간 오차를 보상하기위해 필요한 PTV 마진은 7 mm에서 31 mm이었다. 12명의 환자에 대한 전체 평균오차는 17 mm이었다. 분할치료 간 오차는 호흡에 의해 유발되는 치료도중 오차에 비해 2배에서 15배까지 더 크게 나타났다. 유방암 치료에 있어 3차원 입체정형조사나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를 적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셋업 오차의 크기를 측정하여 PTV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한다. 유방에 대한 3차원 입체정형조사나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큰 PTV 마진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IGRT)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자포탈영상장치 들은 본 보고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자동분석소프트웨어를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수많은 EPID 영상들을 자동화 처리하고 오차분석을 시행함으로써 각 병원의 임상적용 방법 및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오차의 크기를 감안한 적절한 PTV마진을 구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또한 최소의 노력으로 환자 치료를 관찰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