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physiolg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지연성 운동장애(Tardive Dyskinesia)의 최근 견해 (Recent Views of Tardive Dyskinesia)

  • 김용식;강웅구;주연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30-36
    • /
    • 1996
  • Tardive dyskinesia is a syndrome of involuntary hyperkinetic abnormal movements that occurs during or shortly after the cessation of neuroleptic drug treatment. Typically, the movements are choreoatheoid. Other movements such as tics and dystonia may be present. Nonetheless, any dyskinesia seen in a neuroleptic-treated patient is not always neuroleptic-induced tardive dyskinesia. The prevalence of tardive dyskinesia varies widely, which reflects many methodological problems, such as differential diagnosis. symptom fluctuation, masking effect of neuroleptics, validated diagnostic criteria. Of suggested risk factors, only old age has been consistently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frequency of tardive dyskinesia. Many hypotheses about the pathophysiolgy of tardive kinesia are proposeed, but time-honored ones are not present. No consistently safe and effective treatments are found.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signifies the general ineffectiveness of these agents for most patients. In general, reduction or cessation of neuroleptics, if possible, is recommended. Remission or improvemets of tardive dyskinesia after neuroleptics withdrawal usually occurs among most patients within three months.

  • PDF

Hirschsprung's Diseas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 이명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8권1호
    • /
    • pp.41-47
    • /
    • 2002
  • 장 운동은 장근 및 점막하 신경총으로 구성된 내인성 신경계와 외인성 신경계가 합세하여 균형을 이루면서 장관이 팽창하면 상부는 수축하고 하부는 이완되어 장 내용물이 하방으로 이 동하는 운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신경절 세포가 없으면 내인성 신경계 억제작용 매체인 NO의 결손으로 평활근이 이완되지 않을 뿐더러 외인성 신경계 작용이 장벽에 현저히 증가되어 평소의 2-3배가 되는데 특히 adrenergic 계가 더 작용이 강하여 장벽 긴장도가 증가된 것이 무신경절 장관에서 나타나는 장 운동장애 현상의 병태생리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총의 부재는 NCC의 이동, 정착 및 성숙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들의 복합적인 병적 작용 발현으로 일어나는 발생학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각종 인자들의 결함은 이와 관련된 염색체 혹은 유전자들의 변이 현상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유전적인 요인들이 깊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하나씩 증명되어가고 있는 단계라고 말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HD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이러한 현상들을 밝혀 나가고 있는 단계에 불과하며, 이러한 분자생물학적인 지식을 기초로 한다고 하여도 아직은 발병 예방이나 유전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