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logic fractur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8초

다발성 골수증 (REPORT OF A CASE OF MULTIPLE MYELOMA)

  • 최은숙;고광준
    • 치과방사선
    • /
    • 제23권2호
    • /
    • pp.389-397
    • /
    • 1993
  • This is a report of multiple myeloma occurred in the left mandibular body and skull. 66-year-old patient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a complaint of painful swelling on the left mandibular body area. The author diagnosed it as a multiple myeloma by the clinical examination, radiographic findings, laboratory findings and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aid in the diagnosis of multiple myeloma and to aid to differentiate it from malignant tumour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re as follows: 1. In clinical examination, painful swelling was observed in left mandibular body area. 2. In radiographic findings, radiograms showed relatively ill-defined radiolucency without sclerotic border in left mandibular body area. And also represented multiple punched-out radiolucency in the skull and pathologic fracture of vertebral body on lumbar 3 level. 3. In histopathologic findings, infiltration of abnormal plasma cells was observed. 4. In laboratory findings, decreasing of albumin/globulin ratio, hypercalcemia, renal impairment was observed, but we could not find the Bence-Jones protein in urin.

  • PDF

Sinus Tract Formation with Chronic Inflammatory Cystic Mass after Beta Tricalcium Phosphate Insertion

  • Kim, Hong Jin;Na, Woong Gyu;Jung, Sung Won;Koh, Sung Hoon;Lim, Hyoseob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2-286
    • /
    • 2017
  • Beta tricalcium phosphate (${\beta}-TCP$) is one of allogenic bone substitute which is known to have interconnected pores that draws cell and nutrients for bone generation. It has been resulted in good outcomes for bone defect coverage or augmentation. However, several studies have also reported negative outcomes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including unexpected formation of cystic mass, continuous pain and secretion. We present the case of a 36-year-old man with a right cheek cystic mass who had a history of right zygomaticomaxillary (ZM) complex fracture and surgical correction with ${\beta}-TCP$ powder insertion to ZM bone defect. Excision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revealed calcified mass in a sinus tract which was found to be connected to the ZM bone defect site in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image. Further excision under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to remove the sinus tract and fine granules which filled the original defect site. Pathologic report revealed bony spicules and calcification materials with chronic foreign body reac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were not reported.

악하선에 발생한 호산성 세포암종 1예 (A Case of Oncocytic Carcinoma Arising in the Submandibular Gland)

  • 신승국;이영옥;이병주;임윤성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55권3호
    • /
    • pp.173-176
    • /
    • 2012
  • Oncocytic neoplasm of the head and neck region accounts for approximately 1%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but only 5% of oncocytic neoplasm is malignant. Oncocytic carcinoma arising in the submandibular gland is exceedingly rare. We encountered a sixty seven-year-old 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multiple mass in the right neck.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revealed a salivary gland tumor of predominantly oncocytic form, and a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d oncocytic adenoma or mucoepidermoid carcinoma. A right submandibular gland resection and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were performed. Histologically, the tumor cells showed nuclear pleomorphism, and stromal invasion, which were compatible with oncocytic carcinoma. After surgery, the entire neck region was irradiated. Seventeen months after the initial surgery, multiple metastases to the bone and lung were detected from the incidental pathologic bone fracture of the right humerus; palliative chemotherapy was performed to resolve this. We report a case of oncocytic carcinoma in the submandibular gland with a review of literature.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치료 결과 (Treatment Outcome of Langerhans Cell Histocytosis)

  • 정소학;김재도;조현익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1
    • /
    • 2014
  • 목적: 본 교실에서 경험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치료방법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 교실에서 수술 후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확진 된 총 28례를 대상으로 발병 당시부터 최근까지의 진찰소견, 의무기록, 방사선 사진, 병리소견을 토대로 임상소견과 진단 및 치료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8례로 소아 22례 성인 6례였다. 발병나이는 0.6세에서 51세 사이에서 발생하였으며 평균연령은 14.8세였다. 추시 기간은 6개월에서 134개월까지 평균 44.6개월 이었다. 환자의 구성은 남자 20명 여자 8명으로 남녀성비는 2.5:1이었다. 초기증상은 동통 18례, 병적 골절 5례, 종괴 3례, 방사선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경우 1례, 사경 1례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에서는 모든 증례에서 골 용해 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13례에서는 골막 반응이 동반되었으며 1례에서는 연부조직 침범이 관찰되었다. 임상적 분류로 28례 모두 호산구성 육아종 이었으며 조직구 협회가 제시한 분류법으로는 단일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 3례, 단일 병소 질환 25례였다. 전례에서 조직 생검술이 시행되었으며 6례에서는 생검술 이후 특별한 치료 없이 골 유합을 얻었으며 11례에서는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11례는 조직생검과 동시에 소파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거나 추가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기간 중 환자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병변이 국소 재발한 경우는 없었으나 신체 다른 부위에 골병변이 생긴 경우가 3례 있었다. 합병증은 총 2례가 있었으며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한 이후 감염소견을 보여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환자에서 급격한 전신적 발병을 가져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초기 진단 시에 어린 환아에게 과도한 방사선 노출을 가져오는 검사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환의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생검이 필요하며 조직학적 확진 이후에는 경과 관찰만으로도 대부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 전 병적 골절이 있거나 골 파괴 병변의 범위가 넓은 경우 소파술 및 골 이식술과 내고정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3-6개월간의 경과관찰에도 병변의 호전이 느리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법이 좋은 치료가 될 수 있다.

역분화 연골육종의 임상 결과 (The Clinical Outcome of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 공창배;이승용;송원석;조완형;고재수;전대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4-171
    • /
    • 2019
  • 목적: 역분화 연골육종은 저 악성도의 연골육종과 골육종, 섬유육종 등 고 등급의 육종이 같이 관찰되는 매우 드문 악성 골종양이다.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역분화 연골육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병기, 자기공명영상, 수술적 절제연,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발생 시간, 추시 기간 및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7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4세(33-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이 6예, 골반골이 4예, 중족골이 1예였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2.7 cm (6.0-26.1 cm)였다. 진단 당시 증상은 8예에서 동통, 2예에서 종괴였으며, 나머지 1예는 방사선에서 우연히 발견된 골병변이었다. 진단 시 병적 골절이 동반된 환자는 2명이었으며, 병기는 1예에서 IIA기, 9예에서 IIB기, 1예에서 III기였다. 8예가 원발성, 3예가 속발성 역분화 연골육종이었으며, 원발성 중 1예는 방사선적으로 저 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오인되어 소파술을 시행받은 후 진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5-56개월)이었고, 국소 재발이 8예, 원격 전이가 10예에서 발생했다. 국소 재발은 평균 8개월(2-23개월), 원격 전이는 평균 7개월(1-32개월)에서 관찰되었다.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의 Kaplan-Meier 3년 생존율은 18%였으며, 10명의 환자가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론: 역분화 연골육종은 조기에 폐 전이가 발생하여 매우 좋지 않은 예후를 갖는 치사율이 높은 악성 골종양으로 확인되었다.

거골의 골연골 병변의 원주형 생검에서 관절 연골과 연골하 골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Histopathologic Changes of Articular Cartilage and Subchondral Bone in Cylindrical Biopsy Specimen from Talar Osteochondral Lesions)

  • 이호승;장재석;이종석;조경자;이상훈;정홍근;김용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7-124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elucidating the pathogenesis of talar osteochondral lesion by analyzing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pecimens from 20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talus osteochondral lesions were studied. Preoperative MRI images including T1, T2, and stir images were taken and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odification of the Anderson's classification. There were 5 cases of MRI group 1, 6 cases of group 2, 7 cases of group 3 and 2 cases of group 4. A full thickness osteochondral plug including the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was harvested from each patient and reviewed histopathologic changes of osteochondral fragment using H-E staining. Mean diameter of specimens was 8.5 mm and mean depth was 10.3 mm. Pathologic changes of articular cartilage and subchondral bone were observed. Subchondral bone was divided into superficial, middle and deep zones according to depth. Cartilage formation, trabecular thickening and marrow fibrosis were observed in each zone. Results: There were detachment of the joint cartilage at the tidemark in 16 cases of 20 cases and the separated cartilages were almost necrotic on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Cartilage formation within subchondral bone was discovered beneath the tidemark in 12 cases. Trabeculae were increased and thickened in 17 cases. These pathologic changes were similar to fracture healing process and these findings were more conspicuous near the tidemark and showed transition to normal bone marrow tissue with depth. No correlation between the pathological progression and MRI stages was found. A large cyst shown on MRI's was microscopically turned out to be multiple micro-cysts accompanied by fibrovascular structure and newly formed cartilage tissue. Conclusion: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of osteochondral lesions are detachment of overlying cartilage at the tidemark and subsequent changes of subchondral bone. Subchondral bone changes are summarized as cartilage formation, marrow fibrosis and trabecular thickening that mean healing process following repeated micro fractures of trabecular. These osteochondral lesions should have differed from osteochondral fractures.

  • PDF

낭종성 병변을 동반한 상완골의 섬유성 골이형성증에서 steroid의 효과 - 증례 보고 - (The effect of steroid for fibrous dysplasia of the humerus combined with multiple cystic lesion)

  • 한수봉;신규호;김보현;원정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26
    • /
    • 2002
  • 섬유성 골이형성증은 골의 발육 이상으로 해면골이 섬유성 조직으로 대치되어 나타나는 양성 병변으로 대퇴골, 경골, 두개골, 늑골, 상완골 등에 호발하며 동통, 진행하는 병변, 병적 골절 등을 일으키기 쉬워 여러 가지 치료법이 시도되어 왔으나 그 중 골 소파 및 골 이식술이 현재까지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17세 여자 환자로 우측 상완골 전장에 걸친 다발성 골 낭종을 동반한 섬유성 골이형성증 환자에 steroid 주입법을 약 3개월 간격으로 총 2차례 시행하였고 처음 주입 후 약 11개월 후에 시행한 추시 단순 방사선 촬영상 병변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골음영 및 피질골의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상 병변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하였고, T2 강조 영상에서 정상 골수의 신호강도와 비슷하게 변화 하였으며, 처음 주입 후 약 2년 8개월 후의 외래 추시상 통증 호소하지 않고 무리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큰 불편 없이 지내고 있어 섬유성 골이형성증의 호전 소견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대퇴골 골종양의 치료에 있어서의 Angled Blade Plate의 역할 (The Role of Angled Blade Plate in Treatment of Bone Tumor Occurred in Femur)

  • 강창남;김태승;정웅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5-182
    • /
    • 2005
  • 목적: 대퇴골에서 골 종양은 주로 근위 전자부와 원위 간단부에 발생한다. 그러나 대퇴골은 체중부하와 연관하여 종양의 크기에 따라서는 병적 골절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양제거후 대퇴골의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한 angled blade plate로 보완해 준다면 생역학적 측면에서 그 예후를 훨씬 개선할 수 있을 것 여겨진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0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대퇴골에 발생한 골 종양을 제거하고 Blade Plate로 보완해준 환자 16명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종양제거 후 11예에서 골 이식으로, 6예에서 골 세멘트로 채워 넣었으며, 모든 예에서 angled blade plate를 사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16명 환자(17예)에서 55.5개월 이었다. 시술 후 금속에 관련된 실패는 없었다. 종양의 재발로 인하여 재수술이 4예에서 있었으며 재수술전까지 내고정은 유지되었다. 결론: angled blade plate는 종양수술 후 이식 골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그 부위를 골절로부터 보호하며, 골 세멘트를 사용한 경우는 골 세멘트와 골조직과의 취약한 이음새를 골절로부터 보호하였다.

  • PDF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a review of 25 cases

  • Kim, Hong-Joon;Park, Tae-Jun;Ahn, Kang-M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6.1-6.8
    • /
    • 2016
  • Background: Intravenous bisphosphonates have been used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to reduce pathologic bone fracture and bone pain. However, necrosis of the jaw has been reported in those who received intravenous bisphosphonates.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is caused by dental extraction, dental implant surgery, and denture wearing; however, it occurs spontane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BRONJ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Consecutive 25 female patients were referred from the Department of Oncology from 2008 to 2014 for jaw bone discomfort. Staging of breast cancer, history of bisphosphonate infusion, etiology of BRONJ, and treatment results were reviewed.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5.4 years old (38-74). Twelve maxillae and 16 mandibles were involved.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irrigation, antibiotic medication, analgesics, and oral gargle were applied for all patients for the initial treatment. Patients who had sequestrum underwent debridement and primary closure. Results: The etiologies of BRONJ were dental extraction (19 cases), dental implant (2 cases), and endodontic treatment (1 case). However, three patients did not have any risk factors to cause BRONJ. Three patients died of progression of metastasis during follow-up periods. Surgical debridement was performed in 21 patients with success in 18 patients. Three patients showed recurred bone exposure and infection after operation. Conclusions: Prevention of the BRONJ is critical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Conservative treatment to reduce pain, discomfort, and infection is recommended for the initial therapy. However, if there is a sequestrum, surgical debridement and primary closure is the key to treat the BRONJ.

대퇴골에 발생한 역분화성 방골성 골육종 - 증례보고 - (Dedifferentiated Parosteal Osteosarcoma of the Femur - A Case Report -)

  • 박혜림;박용구;장준동;남은숙;손진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0-75
    • /
    • 1999
  • 57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원위부에 발생한 방골성 골육종이 이차적 역분화를 일으킨 예를 치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57세 여자 환자가 1987년 방사선 소견상 대퇴골 방골성 골육종으로 진단되었고, 1992년 절제 생검을 시행한 결과 통상적인 방골성 골육종이었고, 이배수성의 DNA를 나타내었다. 1998년 환자는 병적 골절이 동반된 재발성 종양으로 재입원 하였다. 절제된 종양은 통상적인 방골성 골육종의 부위뿐만 아니라, 고등급의 방추성 세포 육종의 특정을 보이는 역분화 부위가 흔재하여 있었다. 이러한 역분화 부위는 유세포 측정을 이용한 DNA 검사상 이수배수성을 나타내었다. 본 증례를 통하여 모든 방골성 골육종이 저등급 병변은 아니고, 일부의 저등급 병변이 불충분한 절제 후에 고등급의 종양으로 역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