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finding algorithm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2초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한 게임 레벨 난이도 평가 (Difficulty Evaluation of Game Levels using A Path-Finding Algorithm)

  • 전영재;오경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57-168
    • /
    • 2015
  • 게임의 난이도는 게임의 재미와 깊은 연관이 있다. 하지만 게임 레벨의 난이도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의 실제 게임 플레이를 통한 테스트가 요구한다. 또한 정량적인 평가도 어렵다. 따라서 게임 레벨 난이도의 정량적 평가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은 게임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게임 레벨의 길 찾기 난이도를 평가하였다. 길을 찾는 것은 많은 게임들의 기본 속성으로 게임 레벨의 전반적인 난이도를 대표한다. 그리고 우리는 게임 레벨의 탐색 가능 영역이 동적으로 확장되고 다시금 탐색이 요구되는 경우 이전 경로 탐색 결과를 재사용하여 난이도 평가 알고리즘의 성능을 최적화하였다.

A Border Line-Based Pruning Scheme for Shortest Path Computations

  • Park, Jin-Kyu;Moon, Dae-Jin;Hwang, Een-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5호
    • /
    • pp.939-955
    • /
    • 2010
  • With the progress of IT and mobile positioning technologies, various types of location-based services (LBS) have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Finding a shortest path between two nodes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tasks in many LBS related applications. So far,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efforts on the shortest path finding problem. For instance, $A^*$ algorithm estimates neighboring nodes using a heuristic function and selects minimum cost node as the closest one to the destination. Pruning method, which is known to outperform the A* algorithm, improves its routing performance by avoiding unnecessary exploration in the search space. For pruning, shortest paths for all node pairs in a map need to be pre-computed, from which a shortest path container is generated for each edge. The container for an edge consists of all the destination nodes whose shortest path passes through the edge and possibly some unnecessary nodes. These containers are used during routing to prune unnecessary node visits. However, this method shows poor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unnecessary nodes included in the container increase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is problem and propose a new border line-based pruning scheme for path routing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unnecessary node visits significantly.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on randomly-generated, various complexity of maps, we empirically find out optimal number of border lines for clipping containers and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other methods.

가중치 학습과 결합된 전술적 경로 찾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actical Path-finding Integrated with Weight Learning)

  • 유견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1-98
    • /
    • 2010
  • 기존의 경로 찾기는 장애물을 피하는 짧은 경로를 찾는 것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컴퓨터 게임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경로 찾기에 매복지점이나 적으로부터의 가시성과 같은 전술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경로 찾기에 반영하는 한 가지 방법은 탐색 알고리즘의 휴리스틱 함수를 전술들의 가중치 합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전술적 정보에 대해 경로 찾기를 최적화하도록 휴리스틱을 학습하는 문제를 다룬다. 여기서 학습이란 휴리스틱 함수를 위한 좋은 가중치 벡터를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용 훈련 예제는 게임 레벨 설계자가 제공하며 매 탐색 레벨마다 실제 탐색결과와 비교되어 가중치를 갱신하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적 경로 찾기를 위해 탐색과 결합된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가중치를 갱신하는데 사용된 퍼셉트론 유사 방법을 설명하며 이를 구현한 시뮬레이션 도구를 소개한다. 시뮬레이션 도구에서는 레벨 설계자가 캐릭터의 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이동경로를 제시할 수 있고, 이를 훈련 예제로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며 훈련에 따라 변화하는 경로의 자취를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가변적인 턴 휴리스틱을 이용한 경로탐색 알고리즘의 설계 (Design of path-finding algorithm using dynamic turn heuristic)

  • 이지완;문대진;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179-182
    • /
    • 2008
  • 실제 도로 교통망에서 경로를 탐색할 때 방향전환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차량이 이동할 때 교차로나 진입도로 등과 같이 방향전환이 있을 경우 교통신호 또는 속력감속으로 인한 운행시간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경로의 직진성을 높일 경우 실제 이동시간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턴 휴리스틱을 적용한 알고리즘은 이와 같은 경우를 고려한 경로탐색 기법이다. 방향전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이 기법은 경로의 직진성을 높였으나, 탐색 비용이 증가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개선된 턴 휴리스틱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가변적인 턴 휴리스틱을 사용한다. 즉, 경로탐색 중 일부 구간에 대해서만 턴 휴리스틱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연구에 비해 탐색 비용을 줄일 가능성을 높였다.

  • PDF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계층 경로 알고리즘의 탐색 영역 결정 기법 (A Method to determine Search Space of Hierarchical Path Algorithm for Finding Optimal Path)

  • 이현섭;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65-569
    • /
    • 2007
  • 최적경로 탐색은 텔레매틱스에서 효용가치가 높은 기술이다. 그렇지만 기존 시스템의 최단 경로가 항상 최적 경로라고 볼 수 없다. 즉 도로위에서는 이동시간이 최소인 경로를 최적경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최적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기술 및 알고리즘들이 존재한다. 계층 경로 알고리즘은 로드 네트워크를 주, 부 레이어로 나누어 경로를 탐색한다. 2단계로 나누어 경로를 탐색하기 때문에 경로 탐색 연산시간의 성능은 뛰어나다. 탐색되는 경로 또한 최적 경로에 가까운 결과를 가진다. 2단계로 계층을 분할 할 때, 부 도로를 포함하는 주요도로 영역의 할당 방법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경로 알고리즘에서의 주요도로 선정을 위한 탐색 영역 결정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기법을 계층 경로 탐색에 적용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 PDF

경로 정보를 이용한 길찾기 알고리즘 (A Pathfinding Algorithm Using Path Information)

  • 조성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1-40
    • /
    • 2013
  • A* 알고리즘은 잘 알려진 길찾기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많은 상호 작용이 있거나 많은 장애물들이 있는 맵에서 A* 알고리즘을 실시간에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게임에서는 최단의 경로를 찾는 대신에 게임 플레이어에게 자연스럽게 보이는 경로를 빠르게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로 정보를 사용하는 새로운 휴리스틱 함수를 제안하고, 제안한 휴리스틱 함수를 이용한 길찾기 알고리즘이 다양한 그리드 맵에서 A* 알고리즘보다 상당히 빠르게 경로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4족보행 로봇 TITAN-VIII의 Dijkstra's Algorithm을 이용한 최적경로 탐색 (Optimizing Path Finding based on Dijkstra's Algorithm for a Quadruped Walking Robot TITAN-VIII)

  • ;안병원;배철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74-58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보행로봇의 일종인 TITAN-VIII라 불리는 로봇을 이용하여 가장 짧은 경로를 탐색하여 이동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나타낸다. 보행로봇의 경우 바퀴구동 로봇에 비해 불규칙한 지면 위를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장점 등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이동속도는 바퀴구동 로봇에 비해 느린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적경로 탐색 제어방법을 제시하였다.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Dijkstra's algorithm라 불리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로봇이 항상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로봇의 다양한 자세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로봇의 자세제어와 알고리즘을 통하여 로봇의 관절각 결정에 필요한 여러 수학방정식을 제시하였다. 그 후 원하는 궤적으로 로봇이 이동하고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결과를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The shortest path finding algorithm using neural network

  • Hong, Sung-Gi;Ohm, Taeduck;Jeong, Il-Kwon;Lee, Ju-Ja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4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9th (KACC) ; Taejeon, Korea; 17-20 Oct. 1994
    • /
    • pp.434-439
    • /
    • 1994
  • Recently neural networks leave been proposed as new computational tools for solving 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s because of its computational power. In this paper, the shortest path finding algorithm is proposed by rising a Hopfield type neural network. In order to design a Hopfield type neural network, an energy function must be defined at first. To obtain this energy function, the concept of a vector-represented network is introduced to describe the connected path.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it will b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very well in many cases. The local minima problem of a Hopfield type neural network is discussed.

  • PDF

트리에서 길이 제한이 있는 가장 무거운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Algorithm for finding a length-constrained heaviest path of a tree)

  • 김성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6호
    • /
    • pp.541-544
    • /
    • 2006
  • 에지마다 길이와 무게(둘 다 양수, 음수, 0 가능)가 주어진 트리에서, 길이의 합이 주어진 값 이하이면서 무게의 합이 가장 큰 경로를 찾는 O(nlognloglogn) 시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전의 결과 O($nlog^2n$) 보다 향상된 것이다. 여기서, n은 트리가 가지는 노드의 수이다.

물류량을 고려한 마감공사 자재운반의 실시간 경로탐색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real-time path finding for material handling of finishing work considering the logistics flow)

  • 김완섭;이동민;김태훈;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0-171
    • /
    • 2015
  • Resource procurement and material handling are considered as a significant part of construction project especially in large or tall building construction site. There are multiple variables that must be considered in a construction site during finishing work such as movement of materials, equipments, and worker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construction workers to find the material handling path solely by intu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al-time path finding model suitable for complicated logistics flow in the field. The model explores the optimal transport path of finishing material with its basis on optimization algorithm, and 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Smart Sign.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lanning of efficient finishing material hand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