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word Based Authentication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9초

패스워드 인증된 Joux의 키 교환 프로토콜 (Password Authenticated Joux's Key Exchange Protocol)

  • 이상곤;;박영호;문상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3-92
    • /
    • 2005
  • Joux의 3자 키 교환 프로토콜은 키 합의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Joux 프로토콜은 인증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man-in-the-middle 공격에 취약하다. 비록 Joux 프로토콜에 대하여 인증서 기반 그리고 ID 기반 인증기법이 제안되었지만, 아직 1 라운드에 실행되는 안전성이 증명 가능한 패스워드 기반 3자 키 교환 프로토콜은 제안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Joux 프로토콜에 EC-PAK의 패스워드 인증 기법을 적용하여 안전성이 증명 가능한 1 라운드 3자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렌덤 오라클 모델을 사용하여 프로토콜의 안전성도 증명하였다.

대규모 조직에서의 패스워드 관리에 관한 권고 고찰 (A Study On Enterprise Password Management Recommendations)

  • 박진섭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8호
    • /
    • pp.421-465
    • /
    • 2010
  • Passwords are used in many ways to protect data, systems, and networks. Passwords are also used to protect files and other stored information. In addition, passwords are often used in less visible ways for authentication. In this article, We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password management, which is the process of defining,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password policies throughout an enterprise. Effective password management reduces the risk of compromise of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systems. Organizations need to protect the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of passwords so that all authorized users - and no unauthorized users - can use passwords successfully as needed. Integrity and availability should be ensured by typical data security controls, such as using access control lists to prevent attackers from overwriting passwords and having secured backups of password files. Ensuring the confidentiality of passwords is considerably more challenging and involves a number of security controls along with decisions invol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swords themselves.

  • PDF

피싱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패스워드 기반의 상호 인증 프로토콜 (Password-Base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Against Phishing Attacks)

  • 김익수;최종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2호
    • /
    • pp.41-48
    • /
    • 2018
  • 지금까지 피싱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가장 대표적인 안티 피싱 방법은 피싱 사이트의 URL 정보를 미리 수집한 뒤, 사용자가 방문하는 사이트의 URL과 미리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피싱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블랙리스트 기반의 안티피싱 방법은 새로운 피싱 사이트를 탐지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다양한 안티 피싱 인증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왔지만 대부분 인증과정에서 공개키와 비밀키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피싱 공격에 안전한 패스워드 기반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상호 인증은 패스워드 정보가 포함된 인증 메시지를 통해 수행된다. 인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증 메시지에는 패스워드 원본이 아닌 패스워드의 해시 값이 포함되며, 인증 시 매번 다른 메시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재생공격, 도청 공격에 안전하다. 또한,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간자 공격에 안전하며, 인증을 위한 별도의 키 발급 과정이 필요없다.

다중서버 인증을 위한 스마트카드 기반 중재 인증 기법 연구 (A Brokered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Smart-Card for Multi-Server Authentication)

  • 김명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3호
    • /
    • pp.190-198
    • /
    • 2013
  •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여러 개의 서버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서버가 존재하는 다중서버 환경을 위한 인증기법은 웹서비스를 이용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Password를 사용하는 방법이 적용되나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하고 서버마다 다른 Identity(ID)와 Password를 사용하는 것은 불편하다. 그래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여러 서버에 접속할 때 항상 동일한 ID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나, 다양한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가 여러 개 존재하는 환경에서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는 하나의 스마트카드만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추가로 제안한 기법의 안전성을 공격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기존 방법과 성능비교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효율적임을 보인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안전한 원격 사용자 인증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

  • 고성종;이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11호
    • /
    • pp.503-510
    • /
    • 2013
  • 최근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식은 패스워드 테이블이 요구되기 때문에 내부자에 의한 패스워드 테이블 노출 등과 같은 보안 위협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패스워드 테이블이 요구되지 않는 인증 방법으로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 중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은 계산 비용이나 효율성,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위장 공격 위협과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한 패스워드 추측 공격 위협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기존 방식들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기존 사용자 아이디/패스워드기반의 스마트카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위장 공격과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대해 안전한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을 제안하였다.

소유권 확인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강력한 패스워드 생성 및 관리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Strong Passwords using an Ownership Verified Smartphone)

  • 박준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1호
    • /
    • pp.30-37
    • /
    • 2020
  • 패스워드 자체의 보안성을 높이는 시도와 함께,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에 추가적 인증을 강제하는 것은 패스워드 인증 방식의 보안성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강력한 패스워드를 사이트마다 달리 사용하려는 잘 알려진 문제에 대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추가적 인증을 내재한 패스워드의 생성 및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패스워드 매니저라 알려진 기술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다수의 패스워드를 기억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요구가 있을 때마다, 강력한 사이트별 패스워드를 생성해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기존 기법들과 다른 점은, 제안 기법은 패스워드 추출을 위해 스마트폰 소유권 검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패스워드 추출 과정 진행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중 인증을 강제하지 않거나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에 대해서도, 제안 기법 적용 시 이중 인증을 적용해 로그온을 하는 것과 같은 보안성 향상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제안 기법은 패스워드 추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사용자 스마트폰의 저장 정보 유출 시에도, 공격자가 사용자로 위장하거나 비밀 정보를 탈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Remote Login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Bilinear Pairing and Fingerprint

  • Kumari, Shipra;Om, Har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2호
    • /
    • pp.4987-5014
    • /
    • 2015
  • The bilinear pairing, also known as Weil pairing or Tate pairing, is widely used in cryptography and its properties help to construct cryptographic schemes for different applications in which the security of the transmitted data is a major concern. In remote login authentication schemes, there are two major requirements: i) proving the identity of a user and the server for legitimacy without exposing their private keys and ii) freedom for a user to choose and change his password (private key) efficiently.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based on the bilinear property have some security breaches due to the lack of features and the design issu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scheme using the bilinear property of an elliptic point and the biometric characteristics. Our method provides many features along with three major goals. a) Checking the correctness of the password before sending the authentication message, which prevents the wastage of communication cost; b) Efficient password change phase in which the user is asked to give a new password after checking the correctness of the current password without involving the server; c) User anonymity - enforcing the suitability of our scheme for applications in which a user does not want to disclose his identity. We use BAN logic to ensure the mutual authentication and session key agreement properties. The paper provides informal security analysis to illustrate that our scheme resists all the security attacks. Furthermore, we use the AVISPA tool for formal security verification of our scheme.

세션 키 동의를 제공하는 상호인증 패스워드 인증 스킴에 대한 취약점 공격 (Vulnerability Attack for Mutual Password Authentication Scheme with Session Key agreement)

  • 서한나;최윤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79-188
    • /
    • 2022
  • 패스워드 인증 체계 (PAS)는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이다. 인수분해와 이산 로그 등의 수학적 기반의 암호 인증 체계가 제안되고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였으나, 암호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계산 및 메시지 전송 비용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Fairuz et al.은 스마트 카드 체계를 이용한 세션 키 동의와 관련하여 인수분해 및 이산 로그 문제를 기반으로 한 개선된 암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Fairuz et al.의 프로토콜이 Privileged Insider Attack, Lack of Perfect Forward Secrecy, Lack of User Anonymity, DoS Attack,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에 관한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ryptanalysis of Multiple-Server Password-Authenticated Key Agreement Schemes Using Smart Cards

  • Lee, Sang-G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431-434
    • /
    • 2011
  • Password-based user-authentication schemes have been widely used when users access a server to avail internet services. Multiserver password-authentication schemes enable remote users to obtain service from multiple servers without separately registering with each server. In 2008, Jia-Lun Tsai proposed an improved and efficient password-authenticated key agreement scheme for a multiserver architecture based on Chang-Lee's scheme proposed in 2004. However, we found that Tsai's scheme does not provide forward secrecy and is weak to insider impersonation and denial of service attacks. In this article, we describe the drawbacks of Tsai's scheme and provide a countermeasure to satisfy the forward secrecy property.

Practical Password-Authenticated Three-Party Key Exchange

  • Kwon, Jeong-Ok;Jeong, Ik-Rae;Lee, Dong-Ho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2권6호
    • /
    • pp.312-332
    • /
    • 2008
  •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key exchange (PAKE) protocols in the literature typically assume a password that is shared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PAKE has been applied in various environments, especially in the “client-server” applications of remotely accessed systems, such as e-bank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s in modern 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ad-hoc networks and ubiquitous computing, it is customary to construct a secure peer-to-peer channel, which is quite a different paradigm from existing paradigms. In such a peer-to-peer channel, it would be much more common for users to not share a password with others. In this paper, we consider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key exchange in the three-party setting, where two users do not share a password between themselves but only with one server. The users make a session-key by using their different passwords with the help of the server. We propose an efficient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key exchange protocol with different passwords that achieves forward secrecy in the standard model. The protocol requires parties to only memorize human-memorable passwords; all other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to run the protocol is made public. The protocol is also light-weighted, i.e., it requires only three rounds and four modular exponentiations per user. In fact, this amount of computation and the number of rounds are comparable to the most efficient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key exchange protocol in the random-oracle model. The dispensation of random oracles in the protocol does not require the security of any expensive signature schemes or zero-knowlegde proo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