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alor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VI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VI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47-157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여덟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Passalora 1종, Pseudocercospora 4종, 그리고 Stenell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스토크와 무우에서 Cercospora bassicicola, 자리공에서 C. flagellaris,참깨에서 C. sesami, 백일홍에서 C. zinniae, 개회나무에서 Passalora amurensis, 봉선화와 물봉선에서 Pseudocercospora balsaminae, 환삼덩굴에서 P. humuli, 찔레꽃에서 P. puderi, 버드나무류에서 P. salicina, 그리고 패랭이꽃에서 Stenella dianthi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V)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V))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44-53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다섯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Passalora 1종, Pseudocercospora 3종, Pseudocercosporella 1종 및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왕쥐똥나무에서 Cercospora adusta, 쑥갓에서 C. chrysanthemi, 여뀌바늘에서 C. ludwigiana, 토끼풀에서 C. zebrina, 참당귀에서 Passalora depressa, 사철나무에서 Pseudocercospora destructive, 인동에서 P. lonicericola, 봉선화와 물봉선에서 P. nojimai, 말나리에서 Pseudocercosporella inconspicua, 그리고 머위에서 Ramularia majar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42-353
    • /
    • 1998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두 번째 보고이다. 이번에는 Cercospora 3종, Distocercospora 1종, Mycovellosiella 2종, Passalora 1종, Phaeoisariopsis 1종 및 Pseudocercospora 2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근대에서 Cercospora beticola,상추에서 C. lactucae-sativae, 구기자나무에서 C. lycii, 도꼬로마에서 Distocercospora pachyderma, 족제비싸리에서 Mycovellosiella passaloroides, 좀명아주에서 Passalora dubia, 돌콩에서 P. sojina, 강낭콩에서 Phaeoisariopsis griseola, 까마중에서 Pseudocercospora atromarginalis, 그리고 붉나무에서 P. rhoina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27-341
    • /
    • 1998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여러 식물병리학자들이 산발적으로 보고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된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재검토하고 monograph를 작성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각 시료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5종, Mycovellosiella 1종, Passalora 1종 및 Pseudocercospora 3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접시꽃에서 Cercospora althaeina, 땅콩에서 C. arachidicola, 겨자무에서 C. armoraciae, 당근에서 C. carotae, 나팔꽃에서 C. ipomoeae, 뺑쑥과 황해쑥 및 율무쑥에서 Mycovellosiella ferruginea, 박주가리에서 Passalora miurae, 두릅나무에서 Pseudocercospora araliae, 삼에서 P. cannabina, 그리고 왕머루와 포도에서 P. vitis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무화과나무의 모무늬잎마름 증상에 관여하는 Pseudocercospora bolleana 동정 (Identification of Pseudocercospora bolleana Associated with Angular Leaf Spot on Common Fig in Korea)

  • 최인영;최영준;이총규;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9-545
    • /
    • 2021
  • 한국의 무화과나무 모무늬잎마름 증상에 관여하는 한 균주의 Cercospora류 곰팡이가 형태적으로는 Passalora속에 속하지만 계통학적으로는 Pseudocercospora속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6점의 시료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두 균주를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 시료의 곰팡이는 형태적으로는Passalora bolleana와 일치하였다. ITS와 LSU 염기서열을 분자계통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두 균주가 Pseudocercospora속 집락에 위치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 유래의 세 균주(본 연구의 두 균주와 이전의 한 균주)와 루마니아 유래의 한 균주는 모두 Pseucocercospora bolleana로 동정되었다. 추가적으로, 대만과 한국에서 무화과나무 점무늬병균으로 알려진 Pseudocercospora fici-caricae와도 비교하고 토의하였다.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I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0-131
    • /
    • 1995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용 자원식물에 발생하는 진균성 미기록 병해에 대한 두 번째 보고이다. 10가지 병해에 대한 각각의 병징, 병 발생환경, 병원균, 그리고 몇 가지 병리학적 소견을 기록하였다. 동자꽃 갈색 무늬병은 장마철부터 발생하여 심한 잎마름을 일으켰으며, 병원균은 Septoria lychnidis로 동정되었다. 산박하 모무늬병은 장마철에 심하게 발생하고 작은 모무늬가 합쳐져 잎의 한쪽이 검게 고사하였는데, 병원균은 Septoria plectranthi로 동정되었다. 좀명아주 갈색 무늬병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흔히 발생하여 조기낙엽을 일으켰으며, 병원균은 Cercospora dubia로 동정되었다. 나팔꽃 점무늬병은 장마철부터 가을까지 흔히 발생하여 관상가치를 떨어뜨렸는데, 병원균은 Cercospora ipomoeae로 동정되었다. 돌콩 점무늬병은 장마철부터 가을까지 계속 발생하여 생육을 크게 저해하였는데, 병원균은 Pseudocercospora ligustri로 동정되었다. 박주가리 뒷면곰팡이병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흔히 발생하여 조기낙엽과 황화를 일으켰는데, 병원균은 Passalora miurae로 동정되었다. 고려엉겅퀴 흰가루병은 여름부터 발생하여 묵나물의 수향과 품질에 피해를 주었는데, 병원균은 Sphaerotheca fusca로 동정되었다. 왜당나귀흰가루병은 국지적으로 발생하여 생육을 저해하고 어린 묘는 고사시켰는데, 병원균은 Erysiphe heraclei로 동정되었다. 가래나무 점무늬병은 장마철에서 가을까지 발생하여 잎마름을 유발하였는데, 병원균은 Sphaerulina juglandis로 동정되었다.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V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V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3-483
    • /
    • 1998
  • This paper is the sixth report about the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observed newly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s,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identified as circular leaf spot of Ligustrum ovalifolium by Cercospora adusta, leaf spot of Viola spp. by c. violae, leaf spot of Trifolium repens by C. zebrina, hypophyllous leaf sot of Angelica gigas by Passalora depressa, brown leaf spot of Euonymus japonicus by Pseudocercospora destructiva, brown leaf spot of Lonicera japonica by P. lonicericola, brown leaf spot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by P. vitis, black spot of Echinops latifolius by Ramularia cynarae, leaf spot of Petasites japonicus by R. major, and leaf spot of Plantagoasiactica by R. plantaginis, respectively.

  • PDF

Suppression of melon powdery mildew and tomato leaf mold disease by the antifungal activity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 Lee, Mun Haeng;Oh, Sang-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1071-1081
    • /
    • 2020
  • Essential oils (EOs) have been shown to be plant-extracted antimicrobial agents.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EOs against pathogens. Among them, tea tree oil (TTO) is extracted from Melaleuca alternifolia, which is also used as an antifungal agen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TO was investigated on the suppression of melon powdery mildew caused by Podosphaera xanthii and tomato leaf mold disease caused by Passalora fulva. Both powdery mildew and leaf mold disease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a spray of TTO. Eighty percent of powdery mildew and 81% of leaf mold disease of the control value were suppressed by 0.5% TTO liquid, when sprayed 3 times every 7 days on the melon and tomato leaves.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was also greatly affec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TO against four different fungal pathogens. Ninety-eight percent of Pseudocercospora fuligena, 97% of P. fulva, 95% of Botrytis cinerea, and 94% of Phytophthora infestans mycelial growth were inhibited by 0.2% to 1.0% of TTO contained in plate media, respectively. However, phytotoxicity in plants by the TTO treatments was revealed when melon and tomato leaves were sprayed with a 1% and 2% concentration of TTO, respectively.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TTO has high antifungal effects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s that occur during crop cultivation. We also suggest that when applying TTO to plant leav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curate treatment concentration for different c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