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age number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1초

Vitamin C promotes the early reprogramming of fetal canine fibroblasts into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Sang Eun Kim;Jun Sung Lee;Keon Bong Oh;Jeong Ho Hwan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9-208
    • /
    • 2023
  • Background: Canin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are an attractive source for veterinary regenerative medicine, disease modeling, and drug development. Here we used vitamin C (Vc) to improve the reprogramming efficiency of canine iPSCs, and its functions in the reprogramming process were elucidated. Methods: Retroviral transduction of Oct4, Sox2, Klf4, c-Myc (OSKM), and GFP was employed to induce reprogramming in canine fetal fibroblasts. Following transduction, the culture medium was subsequently replaced with ESC medium containing Vc to determine the effect on reprogramming activity. Results: The number of AP-positive iPSC colonies dramatically increased in culture conditions supplemented with Vc. Vc enhanced the efficacy of retrovirus transduction, which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enhanced cell proliferation capacity.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c-treated iPSCs, the cells were cultured to passage 5, and pluripotency markers including Oct4, Sox2, Nanog, and Tra-1-60 were observed by immunocytochemistry. The expression of endogenous pluripotent genes (Oct4, Nanog, Rex1, and telomerase) were also verified by PCR. The complete silencing of exogenously transduced human OSKM factors was observed exclusively in canine iPSCs treated with Vc. Canine iPSCs treated with Vc are capable of forming embryoid bodies in vitro and have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into three germ layers. Conclusions: Our findings emphasize a straightforward metho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anine iPSC generation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Vc effect on the reprogramming process.

제초제(除草劑)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에 미치는 영향 - Butachlor 제(第)의 영향 - (The influence of herbicides on soil microflora -Influence of butachlor-)

  • 김정제;정현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1
    • /
    • 1976
  •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 여비(旅肥)한 토양(土壤)과 무비토양(無肥土壤)에 Butachlor 제(劑)를 250, 500, 1,000ppm으로 첨가(添加)했을 때에 미생물(微生物)의 변동(變動)과 무기양분(無機養分)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고저 Incubation 하면서 7일(日) 간격으로 72일간(日間)에 걸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가. 세균(細菌) : 무비토양(無肥土壤)에 Butachor 제(劑) 500 ppm과 1,000ppm 첨가구(添加區)에서는 배양(培養) 20일(日)째까지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기타(其他)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영향(影響)이 없었다. 시비(施肥)했을 경우(境遇)에는 Butachlor 제(劑) 250, 500ppm 첨가구(添加區)는 7일(日)째에 1,000ppm 구(區)는 배양(培養) 21일(日)째까지 감소(減少)의 경향(傾向)이었다. 나. 방총균(放總菌) : 무비시(無肥時)에는 Butachlor 제(劑) 첨가(添加)에 의(依)한 조해(阻害)는 없었으며 시비시(施肥時)에는 감소(減少)의 경향이었다. 대체(大體)로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에 따라 약간(若干)씩 증가(增加)를 보였다. 다. 사상균(絲狀菌) :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이나 무시비(無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依)하여 다소(多少)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고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와는 관계(關係)없이 완만하였다. 2. 무기양분(無機養分)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가. $NH_4-N$ : 무시비토양(無施肥土壤)이나 시비(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Butachlor 제(劑) 첨가(添加)로 $NH_4-N$이 감소(減少)되었고 고농도(高濃度)일수록 감소(減少)의 정도(程度)가 더욱 심(甚)하였다. 그리고 무시비구(無施肥區)에서는 배양(培養) 7~14일째에 제일(第一) 많았으나 점차 감소(減少)되었다.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에서는 배양일수(培養日數)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의 경향(傾向)이었다. 나. $NO_3-N$ : 무비토양(無肥土壤)이나 시비(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약제(藥劑) 첨가(添加)에 의(依)하여 $NO_3-N$가 감소(減少)하였고 배양(培養) 44일경(日傾)에는 양토양(兩土壤) 공(共)히 거의 측정(測定)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감소(減少)되었다. 다. $NO_2-N$ : 각처리구(各處理區) 공(共)히 배양(培養) 35일(日)경에 가장 많았고 44일(日) 경과후(經過後)는 급격히 저하(低下)된 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라. Eh :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에서는 심(甚)한 환원상태(還元狀態)가 지속(持續)되었으나 무비토양(無肥土壤)에서는 42일(日) 경(傾)까지는 환원상태(還元狀態)이었으나 그 이후는 산화상태(酸化狀態)로 지속(持續)되었다.

  • PDF

실험 어도에서 실뱀장어의 소상 행동 (Upstream Behavior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an Experimental Eel-ladder)

  • 황선도;이태원;황학빈;최일수;황선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2-272
    • /
    • 2009
  • 실뱀장어용 생태 어도를 설계하기 위하여 2008년 실뱀장어 소상 시기인 3~5월에 국립수산과학원 어군행동실험실에 실뱀장어가 소상하는 하구 및 하구둑과 어도를 재현하는 모형 어도를 제작하여 다양한 소상 환경과 어도 조건에서 실뱀장어의 소상행동을 관찰 분석하였다. 아래 해수조에 순치한 실뱀장어를 두고 위 담수조의 담수를 아래로 흐르게 하면서 해수조에서 어도를 통해 담수조로 소상한 실뱀장어의 개체수를 비교하고, 실뱀장어의 소상 행동을 관찰하여 최적 소상을 위한 적정 어도 조건을 추정하였다. 실뱀장어는 수돗물로는 소상하지 않았고, 저수지물보다 강물을 선호하였다. 실뱀장어 소상량은 소조기보다 대조기에 유의하게 많았고(p<0.05), 낮보다 밤에 유의하게 많았다(p<0.05). 실뱀장어 소상량은 저조위보다 고조위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실뱀장어는 어도 경사면 길이가 짧을수록 소상량이 많았고, 경사도는 $30^{\circ}$ 이하가 효율적이었다 (p<0.05). 유속은 0.4 m/sec 이하로 물이 약하게 흐를 때 소상량이 많았다(p<0.05). 어도의 바닥은 솔, 자갈 및 카펫 등과 같이 거친 재질에서 소상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05).

볏짚시용(施用)이 논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III.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상(微生物相)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 (Effects of Rice Straw on the Microflora in Submerged Soil -III. Microflora in Relation to Nitrogen Fixation and Acetylene Reducing Activity)

  • 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05
    • /
    • 1984
  • 논토양(土壤)에 볏짚을 시용(施用)하고 투수조건하(透水條件下)에서 수도재배중(水稻栽培中), 토양중(土壤中)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의 소장(消長)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zotobacter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약간 증가(增加)하고 볏짚시용(施用)으로 균수(菌數)가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Clostridia 는 경시적(經時的)으로 크게 증감(增減)되지 않았다. Blue green algae는 출수기(出穗期)까지 증가(增加)하다 감소(減少)했으며 볏짚시용(施用)으로 균수(菌數)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질소무황세균(窒素無黃細菌)은 재배기간중(栽培其間中)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았고 Yeast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의 균수(菌數)가 증가(增加)되면 acetylene환원력(還元力)도 증대(增大)되었으며 수도재배기간중(水稻栽培其間中)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0.2~0.4kg/10a이었다. 수도무재배구(水稻無栽培區)에서 질소(窒素)의 고정력(固定力)은 볏짚시용(施用)으로 약간 증가(增加)되었으나 투수(透水)의 효과(效果)는 뚜렷하지 않다.

  • PDF

Comparison of Developmental Competency of Porcine Embryos Clon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and Somatic Cells

  • Jin Hai-Feng;Kumar B. Mohana;Cho Sung-Keun;Ock Sun-A;Jeon Byeong-Gyun;Balasubramanian S.;Choe Sang-Yong;Rho Gyu-Ji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119-124
    • /
    • 2006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cloned porcine embryos with mesenchymal stem cells (MSCs), fetal fibroblasts (FFs) and cumulus cells (CCs) by assessing the cleavage and blastocyst rate, total cell number, inner cell mass (ICM) ratio and apoptosis. MSCs were isolated by ficoll gradients from femur of -6 month old female pig, and maintained for primary cultures. FFs from a female fetus at ${\sim}30$ day of gestation were established, and CCs were obtained from cumulus oocyte complexes (COCs) aspirated from $3{\sim}6$ mm follicles in diameter. Donor cells at $3{\sim}4$ passage were employed for nuclear transfer (NT). COCs were matured and fertilized in vitro(IVF) as control.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IVF than in NT embryos with MSCs, FFs and CCs ($82.7{\pm}8.9%\;vs\;70.6{\pm}5.4,\;68.7{\pm}5.1\;and\;63.4{\pm}5.6%$, respectively). However, blastocyst rates in IVF and NT embryos derived from MSCs ($24.5{\pm}2.8\;and\;20.4{\pm}8.3%$) did not differ, bu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NT derived from FFs and CCs ($10.6{\pm}2.7\;and\;9.8{\pm}2.1%$). Total cell number and the ratio of ICM to total cells among blastocysts cloned from MSCs ($35.4{\pm}5.2\;and\;0.40{\pm}0.09%$,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from FFs and CCs ($24.9{\pm}6.2%\;vs\;0.19{\pm}0.16,\;23.6{\pm}5.5\;and\;0.17{\pm}0.16%$, respectively). Proportions of TUNEL positive cells in NT embryos from FFs and CCs ($6.9{\pm}1.5\;and\;7.4{\pm}1.7%$,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MSCs ($4.8{\pm}1.4%$) and IVF ($2.3{\pm}0.9%$).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SCs have a greater potential as donor cells than FFs and CCs in achieving enhanced production of cloned porcine embryos.

죽산보의 어도에서 트랩 샘플링 기법을 이용한 하절기, 일주기별 어류 이동성 평가 (Summer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Using Fish Trap Sampling Technique in the Juksan Weir)

  • 한정호;고대근;임병진;박종환;안광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79-891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asonal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in the Juksan Weir which was constructed in 2010 at the down-stream of Yeongsan-River watershed. For this study, we monitored day-and-night movement(24 Hr cycle) and seasonal fish migration(June ~ August) patterns in 2011 along with species compositions and abunda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s of the traps within the fishway.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4 and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was 1,263 with only the size-fractions(as total length) of the fish < 20 cm during the study. Seasonal analysis of fish movement in the fish way showed that highest frequency in the movement occurred in June - July,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spawning peak season. The most dominant species using the fishway wa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and this species turned out to be 26.9% of the total in the use rate of fishway. Daily monitoring of fish movements showed that most frequent movements occurred between 18:00 PM and 21:00 PM when the fish have a feeding time generally. The migratory fish were not found in the fishway during the study. Mean current velocity during the study $0.42{\pm}0.02ms^{-1}$(n = 42),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p > 0.05) among the daily and monthly velocities in the fishway. The use rate of fish passage, in terms of fish species, was 48%, compared with total sampling of fish species(29 species) at the down-river regions during the same period, indicating a low use rate. Further continuous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e weir construction in the river.

2차로 마제형 터널 내 폭발 시 동적 거동 시뮬레이션 (Dynamic behavior Simulation for Explosion in Two-lane Horseshoe Shaped Tunnel)

  • 심재원;김낙영;이현승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23-33
    • /
    • 2020
  • 경제규모가 확장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 폭발성 인화물질과 같은 위험물질 운송차량 사고로 터널과 같이 폐쇄적인 공간에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로터널의 경우, 장대화 추세와 도심부 환경를 보호측면에서 도심부 통과사례가 증가하고 터널통과 중 폭발과 같은 예상치 못한 극한 재난에 대한 구조물의 안전 확보는 매우 시급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선진국에서는 이미 내폭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폭발 위험도에 대한 평가 및 대응책이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의 폭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 가운데 폭발 하중이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LEVE)을 기준 폭발원으로 정하고, 폭발 시뮬레이션을 위해 등가TNT 폭발하중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폭발하중을 적용하여 터널에 대하여 다양한 변수를 가정하여 동적거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터널의 폭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대하천 보에 설치된 어도의 어류 이용 현황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Fish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Fishways Installed at Weirs in Large Rivers)

  • 김정희;박상현;백승호;이남주;장민호;윤주덕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348-36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하천에 건설된 16개 보의 어도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어도의 운영 및 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별 어도 이용률은 평균 64.9%로 확인되었으며, 본류와 어도 모니터링 결과의 우점종을 비교한 결과 총 9개(56.3%)의 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류에 다수 서식하는 종이 어도를 다수 이용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류의 하루 어도 이용 개체수는 평균 336개체로 확인되었다. 어도 이용 어종을 생태형으로 구분한 결과 92.3%가 일차담수어였으며, 회유성 어종은 5.6%로 높지 않다. 어도 이용 시기에 따른 분석에서 5월부터 10월까지 평균 이상의 어류가 어도를 이용하였으며, 그중 이용 개체수는 6월~8월이 가장 많았다. 5월~7월까지 어도 이용 어종의 80%가 산란시기에 포함되었으며, 이외 시기는 산란시기 포함 어종이 40% 이하로 나타났다. 산란시기와 어도 이용 시기가 크게 일치하는 어류는 밀어, 밀자개, 참몰개, 모래무지, 납지리, 돌고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강정고령보와 달성보의 어도 모니터링 결과를 보의 수위와 비교한 결과, 어도 이용 종수 및 개체수 모두 보의 상류 수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수위가 높을수록 어도 내 유입 유량이 증가하여 어도의 어류 이용(강정고령보 개체수, P<0.001; 달성보 종수, P<0.05)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에 건설된 16개 보의 어도 모니터링에 결과를 정리 및 분석하여, 어도의 효율, 어도 운영 및 모니터링 시기 제안, 어도 운영을 위한 수위 조절 등을 고찰하였다. 이는 대하천 어도의 어류 이용 현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향후 국내 어도의 설치, 운영, 모니터링 등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신경줄기세포(HB1.F3)에서 나트륨옥소 공동수송체 도입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Sodium/iodide Symporter Transgene in Neural Stem Cells)

  • 김윤희;이동수;강주현;이용진;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8
    • /
    • 2004
  • 목적: 생체 내로 이식한 신경 줄기 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비침습적으로 추적하는 것은 기초와 임상에서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줄기 세포주(F3)를 생체내로 이식 후, 비침습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사람의 hNIS 유전자를 F3 세포에 안정적으로 형질 도입하여 세포 배양 시간 및 조건에 따른 F3-NIS 세포 내에서 hNIS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법: HB1.F3는 태아 종뇌에서 신경 줄기 세포를 분리한 후 v-myc유전자로 불멸화한 신경줄기 세포주이다. CMV 프로모터 조절 받도록 hNIS와 하이그로마이신 저항 유전자를 IRES(internal ribosomal entry site)를 이용하여 재조합하였다(pIRES-NIS/Hyg). pIRES-NIS/Hyg를 리포좀을 이용하여 HB1.F3 세포를 형질전환 하였다. 탈메틸화시약(5-Azacytidine)와 히스톤탈아실화효소저해제(trichostatin; TSA)을 세포주에 24시간 처리한 후, hNIS 발현을 I-125 섭취율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으고 측정하였다. 결과: pIRES-NIS/Hyg 재조합 유전자를 HB1.F3에 형질도입 후, 2주 동안 하이그로마이신 B를 처리해 hNIS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HB1.F3 세포를 얻었다(F3-NIS III). I-125 섭취율은 HB1.F3에 비해 F3-NIS가 12.9배 높았으며, $KClO_4$를 처리 했을 때 F3-NIS의 I-125 섭취가 완전히 저해되었다. F3-NIS를 계대 배양하면 hNIS 유전자의 발현이 1.9배 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5-Azacytidine과 TSA를 F3-NIS에 24시간 처리한 결과, I-125 섭취율이 5-Azacytidine과 TSA 농도에 따라 증가되었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F3-NIS 세포에 5-Azacytidine과 TSA를 처리한 후 hNIS 프라이머로 RT-PCR을 수행한 결과 hNIS mRNA가 농도에 따라 증가 되었다. 결론: hNIS 유전자 이입된 F3 세포는 계대 배양하는 동안 생물학적인 특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줄기 세포에 이입된 외래 유전자의 발현이 DNA 탈메틸화나 히스혼아세틸화를 통한 에피지네틱 조율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독성미만성갑상선종환자에서 방사성옥소(放射性沃素)($^{131}I$)투여후(投與後) 발생(發生)하는 영구적갑상선기능저하증(永久的甲狀腺機能低下症) (Permanent Hypothyroidism after Radioactive Iodine($^{131}I$) Treatment in Diffuse Toxic Goiter)

  • 박선양;이정상;이홍규;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8
    • /
    • 1977
  • Radioactive iodine(RAI), principally $^{131}I$, effectively controls hyperthyroidism in the majority of patients.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hypothyroidism, however, has been of increasing concern since it was first pointed out by Chapman and Maloof in 1955. And the steady increase of late hypothyroidism during the passage of time was known with its relation with dosage of RAI. The authors hav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hypothyroidism in 935 patients with diffuse toxic goiter(DTG) who were treated with ($RAI^{131}I$)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60 to 1977 to reveal its relation with the number of RAI treatments, dosage of RAI, age of patients and exophthalmos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by year after RAI therapy among 631 patients with DTG who were treated with single RAI regimen was 7.4%(1 year), 11.8%(2 year), 16.2%(3 year), 22.1%(4 year) and 25.5%(5 year), and that among 163 patients given multiple RAI treatments was 8.6%(1 year), 10.4%(2 year), 13.3%(3 year), 29.1%(4 year), and 54.1%(5 year)respectively showing much higher year1y increments from 4 years after RAI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2) Among 550 patients in the lower dose group treated with single RAI regimen less than 5.0mCi ($Mean{\pm}S.D.:\;4.3{\pm}0.6mCi$),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by year after RAI treatment was 6.8%(1 year), 11.4%(2 year), 15.4%(3 year), while among 81 patients in the higher dose group given single RAI treatment not less than 5.5 mCi ($Mean{\pm}S.D.:\;6.3{\pm}0.5mCi$) it was 12.0%(1 year), 15.4%(2 year) and 20.4%(3 year) respectively. However, the duration till euthyroid state after RAI therapy in the two groups was $5.1{\pm}3.6$ months and $4.8{\pm}2.8$ months respectively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ficant difference (p>0.1). 4)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after RAI treatment in patients younger than 30 years of age was 4.3%(1 year) and 7.7%(2 year); in patients from 30 years to 49 years of age, 5.8%(1 year) and 11.1%(2 year); and in those older than 50 years, 11.0%(1 year) and 14.4%(2 year). The data revealed rising incidence of hypothyroidism with increase of patients' age. 4) Among 116 patients with exophthalmos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by year after RAI treatment was 7.1%(1 year) and 12.1%(2 year) while that among 184 patients without exophthalmos was 7.3%(1 year) and 12.2%(2 year) respectively. With the above data the authors could conclude that the hypothyroidism in patients with DTG who were treated by RAI developed more frequently than reported by others in Korea till now, and in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yearly increments from 4 years after RAI treatment increasing markedly in the multiple dose group, and the incidence could be reduced by decreasing the administered RAI doe not increasing the duration till euthyroid state after RAI thera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