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y preferenc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4초

연변지역 조선족의 가족생활 및 육아방식의 실태조사 (- A Survey of Child-Rearing Practive and Family Life of Korean-Chinese Families in Yanbin Area-)

  • 조복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4
    • /
    • 1993
  • Two hundred and fifty tow Korean-Chinese women were administere the Questionnaire regarding child-rearing practice and husband-wife relations, with an assumption that Korean-Chinese in Yanbian area would preserve the traditional value in family lief because of the cultureal frozen phenomena. The results of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y keep some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 such as the prenatal education and the first-year birthday party. However, the value of boy preference was not widely prevalent in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equality in husband-wife relation was not found to be attained even though in Communist society.

  • PDF

APPLICATION OF CONTRACTORS' RISK PREFERENCE ON THE EVALUATION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STANDARD CONTRACT

  • Visuth Chovichien;Joel Cesarius V. Reye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44-152
    • /
    • 2009
  • Construction contracts involve the allocation or distribution of the risks inherent to a construction project between or among contracting parties. However, it has been a common practice that only one party drafts the contract due to practical reasons and particular policies of various organiza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ome local contractors to gain their meaningful insights and standpoints on the allocation of each risk.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risk allocation using the Philippine government standard contract and risk principles from the literature to determine if their considered opinions provide a plausible alternative. A sample application of this evaluation is presented for construction-related risks and risk allocation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in the end.

  • PDF

CISG as a Governing Law to an Arbitration Agreement

  • Park, Eun-Ok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7호
    • /
    • pp.108-121
    • /
    • 2021
  • Purpose - This paper studies whether the CISG is applicable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when the validity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becomes an issue. To make the study clear, it limits the cases assuming that the governing law of the main contract is the CISG and the arbitration agreement is inserted in the main contract as a clause. Also, this paper discusses only substantive and formal validity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because the CISG does not cover the questions of the parties' capacity and arbitrability of the dispute. Design/methodology - This paper is based on scholarly writings and cases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formation of contract and the doctrine of separability to discuss characteristic of arbitration agreement. In analyzing the cases, it concentrates on the facts and reasonings that show how the relative regulations and rules are interpreted and applied. Findings -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regarding substantive validity of arbitration agreement, the courts and arbitral tribunals consider general principles of law for the contract and the governing law for the main contract. In relation to formal validity of arbitration agreement, the law at the seat of arbitration or the law of the enforcing country are considered as the governing law in preference to the CISG because of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issues. Originality/value -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ISG and the arbitration agreement. It studies scholars' writing and cases which have meaningful implication on this issue. By doing so, it can provide contracting parties and practitioners with some practical guidelines about the governing law for the arbitration agreement. Furthermore, it can help them to reduce unpredictability that they may confront regarding this issue in the future.

천안함·연평도 도발 이후 국민의식 변화와 대책 (Cheonan Frigate Incident and Yeonpyeongdo Shelling by North Korea: Changing Public Opinion; Strategic Consideration)

  • 손광주
    • Strategy21
    • /
    • 통권34호
    • /
    • pp.93-127
    • /
    • 2014
  • During the four years following the sinking of the Cheonan frigate in 2010, the South Korean public opinion has seen changes in four basic ways. First, public polls with respect to the cause of the sinking show that 70% of the people consider North Korea as the culprit, while 20% maintain that it was not an act carried out by North Korea. Second, the opinions relative to the cause of the incident seem to vary according to age difference, generational difference, and educational difference. From 2011, people in their 20s showed 10% increase in regarding North Korea as the responsible party. People in their 30s and 40s still have a tendency not to believ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carried out by the combined military and civilian group. Third, the most prominent issue that arose aftermath of the Cheonan incident is the fact that political inclination and policy preference are influencing the scientific determination of the cause. In other words, scientific and logical approach is lacking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factual basis for the cause. This process is compromised by the inability of the parties concerned in sorting out what is objective and what is personal opinion. This confused state of affairs makes it difficult to carry on a healthy, productive debate. Fourth, rumors, propaganda, and disinformation generated by pro-North Korea Labor Party groups in the internet and SNS are causing considerable impact in forming the public opinion. Proposed Strategy 1. The administration can ascertain public trust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nature of the provocation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cident. 2. Education in scientific, logical, rational methodologyis needed at home, school, and workplace in order toenhance the people's ability to seek factual truths. 3. In secondary education, the values of freedom, human rights,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must be reinforced. 4.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system to teach the facts of North Korea just as they are. 5. Fundamental strength of free democratic system must be reinforced. The conservative, mainstream powers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sacrifice and societal duties. The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must sever themselves from those groups that take instructions from North Korea's Labor Party. The progressives must pursue values that are based on fundamental human rights for all. 6. Korean unification led by South Korea is the genuine means to achieve peace in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The administration must recognize that this unification initiative is the beginning of the common peace and prosperity in the Far East Asia, and must actively pursu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is regard.

스탠드바이 신용장의 활성화를 위한 한.미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crease of Practical Use of Standby Letters of Credit in Korea and U.S.A.)

  • 박석재
    • 무역상무연구
    • /
    • 제39권
    • /
    • pp.87-103
    • /
    • 2008
  • Two kinds of security devices such as independent guarantees and standby letters of credit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international transactions. These devices design to protect one of the parties from a breach by its counter-party. Main uses of these guarantees and standby letters of credit are as follows : bid guarantee, performance guarantee, advance payment guarantee, payment guarantee, retention guarantee, etc. The standby letters of credit were first invented in the U.S.A. and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ntracts in the U.S.A. But the practical use of these credits is very unsatisfactor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the increase of practical use of the standby letters of credit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the credits between Korea and the U.S.A. Both devices are very similar in function, but they are very different in forms. The one has the form of letter of credits but the other has the form of guarantee. The letter of credit has the stability of governing rule, the legal certainty, and the preference in the field of the trade community comparing to the guarantee. I recommend to use standby letter of credit instead of bank guarantee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because of the merits of the credit aforesaid.

  • PDF

제 18대 국회 기명투표 분석: 베이즈(Bayesian) 방법론 적용 (The Analysis of Roll Call Data from the 18th Korean National Assembly: A Bayesian Approach)

  • 한규섭;김윤응;임종호;임요한;권수현;이경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4호
    • /
    • pp.523-541
    • /
    • 2014
  • 본 연구는 국회의 기명투표 분석에 적용될 수 있는 베이즈 방법론을 사용하여 지난 18대 국회에서 처리된 2,389개의 법안에 대한 표결기록을 분석하였다. 기명투표 분석은 의정연구에 관련된 이론적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정치학 연구 전반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명투표 분석에 있어 베이즈 방법론은 기존의 빈도주의적 방법론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통계적 문제들에 대한 훌륭한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Clinton 등 (2004)가 제안한 베이지언 방법론을 적용, 18대 국회에서 처리된 모든 법안에 대한 표결기록을 분석하여 개별 의원들의 최대선호점(ideal points)과 신뢰구간을 추정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유용성 을 보여주기 위해 시범적으로 두 가지 경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하나는 널리 알려진 세 개의 의원 소모임의 최대선호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의회 내에 유의미한 표결성향의 스펙트럼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제안된 방법론을 활용하여 어떻게 이론적 가설의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18대 국회의 '중간축'과 '몸싸움 방지축'의 위치와 두 중추적 위치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은 의원들이 누구인지를 살펴보았다.

CISG상 약관의 계약편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lusion of Standard Terms under the CISG)

  • 이병문;고상훈
    • 무역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57-281
    • /
    • 2017
  • 본 연구는 국제무역거래에 있어 빈번하게 사용되는 약관의 계약편입과 관련하여 CISG 자문위원회의 공식 의견인 Black Letter Rule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그 주요 내용으로 약관의 계약편입 관련 적용규정과 요건을 상세히 고찰하고, 약관의 계약편입을 의도한 청약상 참조표시 및 약관내용의 명확성 요건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약관의 계약편입 관련 기타 원칙으로서 계약체결 후 약관편입의 배제, 의외조항배제, 개별약정우선, 작성자 불이익 원칙 및 서식분쟁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약관의 계약편입 관련 기존 판례 및 학설을 검토한 후 이를 CISG 자문위원회의 공식의견과 상호 비교 검토함으로 약관의 계약편입 관련 원칙을 재정립하고 이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앱 추천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 (Blockchain Technology for Mobile Applications Recommendation Systems)

  • 제인오고우메쿠도;심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9-142
    • /
    • 2019
  • 블록체인기술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블록체인기술은 타인이 함부로 데이터와 거래를 제어할 수 없게 하는 분산 환경을 제공한다. 모바일앱 추천은 모바일 사용자에게 적당한 앱을 추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도 및 모바일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모바일앱을 추천하는 복수의 안드로이드기반 추천앱이 개발되어왔다. 앱 추천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경험을 참조하여 앱을 발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수집된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는 외부 공격에 대한 취약성과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내포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암호화 안전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서베이 논문에서는 모바일앱 추천 기술과 전자상거래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개인화된 앱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선호 중요성 측면에서, 블록체인기술과 협업필터링 기술의 접목이 사용자에게 안전한 데이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도 살펴본다.

한국 남녀 청년 게이머의 플레이 취향과 성차 및 성 고정관념 (Gender Differences and Gender Stereotype in Play Style among Young Korean Gamers)

  • 송두헌;박소진;양승원;양윤정;원교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2-81
    • /
    • 2017
  • 흔히 여성 게이머는 아기자기하고 쉬운 게임을 선호하고 게임의 숙련도가 낮아 파티 구성 등에서 승리를 원하면 여성 게이머를 기피해야 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이런 핑크 게임 이론은 요즘처럼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이 성행하기 전의 연구 결과들이라는 것이다. 최근의 외국 연구 결과들도 게임의 숙련 수준에서 성차가 전보다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보고도 있지만 한국의 남녀 게이머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2007년 이후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10대 후반부터 30대에 이르는 88명의 남성 게이머와 151명의 여성 게이머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바, 심각한 성 고정관념에 의한 행동과 인식의 괴리를 발견한다. 여전히 여러 부분에서 성차는 발견되지만 이전에 성차가 있던 부분이 약화되거나 없는 경우도 많았다. 게임 산업의 블루 오션인 여성 게이머의 증대를 위한 게임 기획은 이처럼 성별 게임 문화 차이를 제대로 인식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CFPR법을 활용한 국내 화주기업의 3PL 기업 선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Selecting 3PL Companies by Using CFPR Method in Korea)

  • 강래현;양태현;이해찬;박성훈;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169-178
    • /
    • 2020
  • 경쟁력 있는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화주기업에게 3PL 기업의 선택은 중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소비자인 화주기업의 관점에서 3PL 기업을 선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계량화할 수 있는 CFPR (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화주기업이 3PL 기업을 선정할 때 활용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별 가중치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대요인은 "운영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전략적 요인",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가중치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용절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업체의 전문성", "재고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화주사 측면에서 3PL 기업을 선정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핵심요소를 제시하였으며, 3PL 기업 측면에서는 화주사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을 강화하여 향후 화주사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산업적인 시사점이 있다. 향후연구에서는 화주를 산업별로 구분하고, 각 산업별 화주사가 3PL 기업 선정할 때 발생하는 요인의 차이점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