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le image analyz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초

범용 평판 스캐너를 이용한 해빈 모래의 입도분석 (Beach Sand Grain Size Analysis using Commercial Flat-bed Scanner)

  • 천세현;안경모;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301-310
    • /
    • 2013
  • 모래의 입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체진동기, 비디오카메라, 현미경, 레이저 회절분석기 등 비교적 고가의 장비들이 사용된다. 이 장비들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체진동기이며, 이는 체가름 시험법에 사용되는 체진동기의 가격이 다른 장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 아니라 그 정확도가 널리 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체가름 시험법은 분석에 필요한 시간이 길고 분석 시 소음과 먼지 등이 발생하며 사용 가능한 체의 크기가 한정되어 분석 급간의 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빈 모래에 대하여 체가름 시험법 수준의 정확도를 갖는 효율적인 입도분석 방법으로 범용 평판 스캐너와 암실상자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암실상자는 스캐너에서 얻어지는 모래 입자의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하며 모래 입자로부터 평판 스캐너의 상부 유리 덮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체가름 시험법과 비교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판 스캐너를 이용한 해빈 모래의 입도분석 방법을 체가름 시험법 수준의 정확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분석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Simultaneous Observation of FUV Aurora with Precipitating Electrons on STSAT-1

  • Lee, C.N.;Min, K.W.;Lee, J.J.;Kim, K.H.;Kim, Y.H.;Han, W.;Edelstein, J.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8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7권2호
    • /
    • pp.31.2-31.2
    • /
    • 2008
  • We present the results offar ultraviolet (FUV, 1350-1750 ${\AA}$) auroral observations made by the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 (FIMS) instrument on the Korean microsatellite STSAT-1. The instrument was capable of resolving spatial structures of a few kilometers with the spectral resolution of 2-3 ${\AA}$. The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the measurement of precipitating electrons using an electrostatic analyzer (ESA, 100 eV-20 keV) and a solid state telescope (SST, 170 keV-360 keV) on board the same satellite. With a careful mapping of the field lines, we were able to correlate the particle spectrum to the corresponding FUV spectrum of the footprints of the FIMS image that varied significantly in fine scales. We divided the FIMS spectral band into the LBH long (LBHL, 1640-1715 ${\AA}$) and LBH short (LBHS, 1380-1455 ${\AA}$) bands, and compared the electron energies with the intensities of LBHL and LBHS for the well-defined inverted-V structures. The result show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LBH intensity and the energy flux measured by ESAwhile the peak energy itself does not correlate well with the LBH intensity.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the ratio of the LBHL intensity to that of LBH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eak electron energy increased, primarily due to a smaller absorption by O2 at LBHL than at LBHS.

  • PDF

에리트로마이신을 함유한 생분해성 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varepsilon$-caprolactone)/ Poly(ethylene oxide) Microcapsules Containing Erythromycin)

  • 박수진;김승학;이재락;이해방;홍성권
    • 폴리머
    • /
    • 제27권5호
    • /
    • pp.449-457
    • /
    • 2003
  • 액중건조법을 사용하여 PCL/PEO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여 형태적 분석 및 제조 조건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고 거동을 통하여 약물 전달 체계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유화제의 종류 및 농도 그리고 교반 속도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입경과 형태의 변화에 대하여 광학 현미경과 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접촉각 측정을 통해 PCL/PEO와 약물간의 계면에서의 부착일을 살펴보았으며, 방출 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UV/vis. 흡광 광도법으로 흡광도를 측정 하여 용출된 약물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캡슐의 평균 입경이 170 nm∼68 $\mu$m인 구형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PE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친수성기가 증가하여 물에 대한 부착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약물 방출 실험을 통하여 PEO의 함량을 높게 하고 교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약물 방출이 상당히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E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친수성기가 증가하고 계면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석탄 화력 보일러에서의 응집제 이용에 따른 초미세먼지 거동 (Effect of Coagulants on the Behavior of Ultra Fine Dust in a Coal Firing Boiler)

  • 류환우;송병호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84-89
    • /
    • 2020
  • 초미세먼지로 분류되는 PM2.5 (particulate matter under 2.5 ㎛) 중에서도 특히 sub-micron 입자(0.1~1.0 ㎛)의 먼지는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으로 집진장치의 효율에 한계를 준다. 따라서 수산화나트륨으로 활성화된 알루미늄산나트륨(NaAlO2)을 응집제(coagulant)로 선택하여 석탄을 사용하는 유동층 보일러에서 석탄의 회분에 포함된 칼륨(K)과 PM2.5의 입도분포의 거동과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그리고 응집제를 석탄의 무게대비 1,200 : 1 비율로 석탄에 혼합 및 분사하면서 정상 운전하는 중에 보일러의 싸이클론에서의 미세먼지(FP)와 전기집진기에서의 미세먼지(EP)를 포집 및 고찰하였다. 포집한 미세먼지를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FP에서 평균 4.87%에서 0.51%로 변화를 보임으로써 89.53% 감소하였다. EP에서의 평균 3.46%에서 0.40%로 변화를 보임으로써 88.57% 감소하였다. 포집한 미세먼지를 XRP로 칼륨을 추적한 결과 칼륨의 변화율은 FP에서 평균 1.65%에서 1.87%로 13.33% 증가하고, EP에서 평균 1.65%에서 2.03%로 17.68% 증가하였다. TMS에 의해서 확인된 총 미세먼지 농도(mg/㎥)는 1차는 2.6 mg/㎥에서 1.7~1.9 mg/㎥로 26.9~34.6% 감소하였으며, 2차는 평균 2.9 mg/㎥에서 1.7~1.9 mg/㎥로 33.3~40.4%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응집제가 PM2.5 초미세먼지 입자의 크기와 그로 인한 집진장치효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