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nephrectom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Renal Artery Embolization Using a New Liquid Embolic Material Obtained by Partial Hydrolysis of Polyvinyl Acetate (Embol): Initial Experience in Six Patients

  • Sung Il Park;Do Yun Lee;Jong Yoon Won;Sangsoo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권3호
    • /
    • pp.121-126
    • /
    • 2000
  • Objectiv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a new liquid embolic material, Embol, in embolization of the renal artery. Materials and Methods: Embol is a new embolic material obtained by partial hydrolysis of polyvinyl acetate mixed in absolute ethanol and Iopromide 370 and manufactured by Schering Korea, Kyonggido, Korea. Six patients who underwent embolization of the renal artery using Embol were evaluated. Four were male and two were female and their ages ranged from 11 to 70 (mean, 53) years. Clinical and radiologic diagnoses referred for renal artery embolization were renal cell carcinoma (n = 3), renal angiomyolipoma (n = 2) and pseudoaneurysm of the renal artery (n = 1). After selective renal angiography, Embol was injected through various catheters, either with or without a balloon occlusion catheter. Changes in symptoms and blood chemistry which may have been related to renal artery embolization with Embol were analyzed. Results: The six patients showed immediate total occlusion of their renal vascular lesions. One of the three in whom renal cell carcinoma was embolized with Embol underwent radical nephrectomy, and the specimen thus obtained revealed 40% tumor necrosis. In the two patients with angiomyolipomas, the tumors decreased in size and abdominal pain subsided. Bleeding from pseudoaneurysm of the renal artery was successfully controlled. Four patients showed symptoms of post-embolization syndrome, and one of these also showed increased levels of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One patient experienced transient hypertension. Conclusion: Embol is easy to use, its radiopacity is adequate and it is a safe and effective embolic material which provides immediate and total occlusion of renal vascular lesions.

  • PDF

Profiling of Gene Expression According to Cancer Stage in Clear Cell Type of Renal Cell Carcinoma

  • Won, Nam-Hee;Ryu, Yeon-Mi;Kim, Ki-Nam;Kim, Meyoung-Ko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1호
    • /
    • pp.62-71
    • /
    • 2005
  • For toxicity model in the kidney, renal cell carcinoma (RC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del to asses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lterations. Most RCCs are sporadic, and environmental agents are suspected to play a role in the etiology of the disease. In this study, we discovered novel evidence for previously unknown gene expression patterns related to progression according to cancer stage in RCC. Four clear cell RCC tissue samples along with five corresponding patient-matched normal kidney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undergoing partial or radical nephrectomy.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gene expression profile in clear cell RCC, radioactive cDNA microarrays were used to evaluat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1,152 genes in a total. Using $^{33}P-labeled$ probes, this method provided highly sensitive gene expression profiles including drug metabolism, and cellular signaling. 29 genes were identified with expression levels that differed by more than 2.0 value of z-ratio,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Whereas expression of 38 genes were decreased by less than-2.0 value of z-ratio.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67 gene expression alterations in clear-cell type of RCC. Most notably, genes involved in cell growth were up-regulated in stage I more than stage III whereas genes involved in signal transduction were down-regulated in which both stage I and stage III. The identified alteraions of gene expression will likely give in sight in to clear cell RCC and tumor progression.

COX-2 Expression in Renal Cell Carcinoma and Correlations with Tumor Grade, Stage and Patient Prognosis

  • Tabriz, Hedieh Moradi;Mirzaalizadeh, Marzieh;Gooran, Shahram;Niki, Farzaneh;Jabri, Mary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535-538
    • /
    • 2016
  • Background: Cyclooxygenase 2 (COX-2) is important as an enzyme in the pathway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2 (PGE2) and arachidonic acid. This pathway is known to play a role in inflammation, tumor growth, invasiveness and metastasis, inhibition of apoptosis and angiogenesis. Inhibition of COX-2 has been shown to be a promising antitumor and antiangiogenic strategy in several tumor types, including renal cell carcinoma (RCC). Therefore, we decided to evaluate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this marker and its association with several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series of cases. Materials and Methods: COX-2 expression was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in tumor tissues obtained from 96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94 cases) or partial (2 cases) nephrectomy. Correlations between COX-2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findings including pathologic stage, nuclear grade and other indicator of prognosis were examined. Results: Of 96 tumors, 20.9% were positive for COX-2 expression.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X-2 expression and tumor histological subtype (P=0.03).The papillary subtype showed maximum expression of this marker (43.8%) and the clear subtype minimum (14.7%). There were also possible links between COX-2 expression and pathologic stage, nuclear grade and nodal involvement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8, P= 0.14 and P=0.06, respectively).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X2 expression and patient age, gender, tumor size, metastasis or survival. Conclusions: In our study, COX-2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histological subtype of RCC.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link between COX-2 expression and prognosis and also evaluation of probable effectiveness of COX-2 inhibitor drugs in treatment of RCC patients.

Risk Reducing Surgery in Carriers with Double Heterozygosity for BRCA1 and BRCA2 Mutations

  • Hong, Woo-Sung;Kim, Ku-Sang;Jung, Yong-Sik;Kang, Seok-Yun;Kang, Doo-Kyoung;Kim, Tae-Hee;Yim, Hyunee;Chun, Mi-Son;Park, Myong-Chul;Chang, Suk-Joo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25-30
    • /
    • 2012
  • Among the treatment options for BRCA mutation carriers, risk reducing surgery is the most effective. However, this procedure has been rarely performed in Korea. Interestingly, our case showed double heterozygosity for BRCA1 and BRCA2 mutation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left renal cancer and left breast cancer at 45-years-of-age, 4 years before risk reducing surgery. The patient received left radical nephrectomy and left partial mastectomy with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fter pretest counseling, the patient underwent genetic testing that identified BRCA1 and BRCA2 mutations. After post-test counseling, the patient decided on intensive surveillance. At 49-years-of-age, the patient was newly diagnosed with contralateral breast cancer. Treatment options were discussed once again. We performed bilateral total mastectomy with immediate reconstruction and prophylactic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fter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The patient has been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surgery. We think this procedure is a recommendable treatment option for BRCA mutation carriers.

다낭성 이형성 신 환아 46명의 예후와 관련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utcome of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in 46 Children)

  • 정일천;황유식;안선영;한상원;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27-32
    • /
    • 2006
  • 목적 : 소아의 다낭성 이형성 신은 신생아 4,300명당 1명 꼴로 보고되고 있는 선천성 기형이며, 최근 산전 초음파 검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출생 전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신절제술 시행해오던 것과 달리, 최근 연구보고에 의하면 보존적인 치료와 주기적인 추적관찰이면 충분하다 기술하고 있다. 그럼에도 다낭성 이형성 신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는 고혈압과 요로감염, 악성 변화 때문에 논란의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다낭성 이형성 신의 자연관해에 대해서도 보고자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낭성 이형성 신의 임상양상을 다년간 추적관찰하고 그 예후 관련 임상적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12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다낭성 이형성 신으로 진단된 환자 46명을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 46명 중 남녀비는 1.3:1이었으며 병변 부위는 좌측 25례, 우측 21례였다. 신 요로계통의 기형은 22례(44%)에서 확인되었으며 그 중 수신증은 13례(28%), 방광요관 역류가 5례(11%)에서 동반되었다. 1례(2%)에서 신기능 부전의 소견을 보였으며 17례(37%)에서 요로감염 병력이 있었다. 1례(2%)에서 이차성 고혈압이 발생하였으며, 악성 종양의 발생은 없었다. 추적관찰 결과 완전관해 11례(24%), 부분관해 19례(41%), 낭종 크기가 커지거나 그대로인 경우는 13례(28%)였다. 반복되는 요로감염이나 심한 복부팽만 등으로 신절제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3례(7%)가 있었다. 완전관해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37개월(12-84개월)이었다. 다낭성 이형성 신의 관해에 관련된 예후인자로서 신 요로 계통의 동반기형 유무(P=0.034)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그 외 성별, 병변 부위, 요로감염 병력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출생 후 4주 이내의 초음파상 병변부위 신장 길이도 다낭성 이형성 신의 예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106). 결론 : 본 연구에서 소아의 다낭성 이형성 신의 예후는 양호하며,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보존적인 치료로 추적관찰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며, 신 요로계통의 기형이 동반되어 있을 경우 다낭성 이형성 신의 관해율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복부 CT 영상에서 신장 로컬 가이드 맵을 활용한 평균-교사 모델 기반의 준지도학습을 통한 신장 종양 분할 (Kidney Tumor Segmentation through Semi-supervised Learning Based on Mean Teacher Using Kidney Local Guided Map in Abdominal CT Images)

  • 정희영;김현진;홍헬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21-30
    • /
    • 2023
  • 부분신장절제술 전 수술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신장 종양의 위치, 형태 및 수술 시 안전 마진 파악이 중요하므로 신장 종양을 정확히 분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신장 종양은 환자마다 위치 및 크기가 다양하며 소장과 비장 같은 주변 장기와 형태와 밝기값이 유사하여 신장 종양을 분할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블이 있는 데이터와 없는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는 준지도학습 방법 중 하나인 평균-교사모델을 활용하여 신장의 여러 위치에서 발생하는 작은 크기의 신장 종양을 분할하기 위해 신장 위치 정보를 가지는 신장 로컬 가이드 맵을 이용해 신장 종양에 집중하는 평균-교사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신장 종양의 크기에 따른 성능을 분석한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신장 주변에 존재하는 종양의 위치를 찾기 위해 신장 로컬 가이드 맵을 사용하여 신장의 국소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75.24%의 F1-score를 보였다. 특히 분할이 어려운 작은 크기의 종양에 대한 과소분할을 개선하였으며 nnU-Net보다 적은 양의 레이블 데이터를 사용하여도 13.9% 높은 F1-score를 보였다.

2세대와 3세대 이중 소스 단일 에너지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를 이용한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의 방사선량 및 영상 품질 비교 (Comparison of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between the 2nd Generation and 3rd Generation DualSource Single-Energy and Dual-Source Dual-Energy CT of the Abdomen)

  • 김창건;김시형;조승현;염현규;김원화;김혜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342-1353
    • /
    • 2022
  • 목적 2세대 및 3세대 이중 소스 단일 에너지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를 이용한 복부 CT의 방사선량과 영상 품질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부분 또는 근치적 신절제술 후 2019년 첫 10개월(2세대 이중 소스 CT)과 2020년 첫 10개월(3세대 이중 소스 CT)에 추적관찰 복부 CT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20명의 환자를 성별과 체질량지수에 따라 각각 80명씩 4개 그룹으로 나누었다(A, 2세대 이중 소스 단일 에너지 CT; B, 2세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 CT; C, 3세대 이중 소스 단일 에너지 CT 및 D, 3세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 CT). 각 그룹 간 방사선량과 영상 품질(객관적, 주관적 품질)을 비교하였다. 결과 3세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 CT의 평균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값은 2세대 이중 소스 단일 에너지 CT (42.5%, p = 0.013)와 2세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 CT (46.9%, p = 0.015) 보다 의미 있게 낮았다. 관찰자 간 일치는 전반적인 영상 품질(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이하 ICC]: 0.8867) 및 인공물(ICC: 0.9423)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3세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 CT는 2세대 이중 소스 이중 에너지 CT 및 이중 소스 단일 에너지 CT와 비교하여 높은 영상 품질을 유지하면서 방사선량을 상당히 감소시킨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