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extractio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5초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의 용출법 사용시 용출액의 pH의 변화가 토양 오염 평가에 미치는 문제점 (The controversial points for the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related to the change of pH of extraction solution in using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in Korea)

  • 오창환;유연희;이평구;이영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4-297
    • /
    • 2000
  •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Chonju stream sediment,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long Honam expressway,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partial ectraction in Standard Method, partial ec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N of extraction solution and acid digestion. In samples having buffer capacity against acid, 0.1N of extraction solution can not be maintained and pH of extraction solution increases up to 8.0 when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is used. The averages and ranges of (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HPE)/(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N of extraction solution, HPEM) values are 0.506 and 0.145~1.126 in Cd, 0.534~ and 0.078~0.928 in Zn, 0.461 and 0.041~1.715 in Mn, 0.359 and 0.011~0.874 in Cu, 0.195 and 0.018~1.785 in Cr, 0.710 and 0.003~3.075 in Pb, and 0.088 and 1.73$\times$10$^{-5}$ ~0.303 in Fe.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PE and HPEM is big in the order of Fe, Cr, Cu, Mn, Cd, Zn and Pb.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 partial extraction method in Standard Method of soil in Korea is not adequate for an assessment of contamination in area where buffer capacity of soil will be decreased or lost after a long term exposure of soils to environmental damage.

  • PDF

터널화재시 부분배연설비의 운영방안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the Operation of Partial Smoke Extraction System in Tunnel Fire)

  • 유용호;이의주;신현준;신한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2-7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부분배연설비의 배연효율을 분석하고, 화재시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선행된 실험을 통하여 얻었던 균일댐퍼의 배연효율 및 연기의 단면분포에 의한 성층화 결과는 서로 일치하는 경향을 얻을 수 있었다. 균일댐퍼의 운영방안은 화재시 화재 근방의 댐퍼만을 개방하였을 경우가 터널내 모든 댐퍼를 개방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약 7%의 배연효율이 증가됨을 보였다. 또한, 터널내 차량이 정체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부분배연설비의 정량적인 운전방안을 제안하였다.

Immediate fixed partial denture after tooth extraction i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A clinical report

  • Kang, Hyun Sun;Lee, Su Yo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6호
    • /
    • pp.511-514
    • /
    • 2016
  • For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who face difficulties visiting dental clinics, wearing fixed partial denture in the anterior region on the same day of tooth extraction can reduce the total period of treatment and the number of visits, as well as post-treatment psychological effect on the patient.

훈련병에게 처음 발생한 내향성발톱에서 부분 발톱 절제술의 단기 추시 결과: 기질 절제술이 꼭 필요한가? (Short-Term Surgical Outcome of the Partial Nail Extraction in Ingrown Nail of Military Trainee: Is Matrixectomy Necessary?)

  • 김재영;김윤석;이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2-57
    • /
    • 2019
  • Purpose: An ingrown nail is common in military trainees who are exposed to highly demanding activities. Although the matrixectomy procedure has been the main treatment modality, several drawbacks may follow after the procedure, such as infection, periostitis, and continued pain that causes a delayed return to duty. This study examined the outcomes of a simple partial nail extraction with the hypothesis that this procedure may bring an earlier return to duty, lower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produce a comparable recurrence rate.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surgical treatment for an ingrown nail in the authors' institution between April 2016 and December 201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Under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28 patients with a simple partial nail extraction (group A) and 29 patients with a partial nail extraction with matrixectomy (group B) were investigated. As the clinical outcome,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satisfaction score, time to return to duty,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rate were checked and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The VAS scores of group B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first (p<0.001) and second (p=0.026) follow-up week than group A. The time to return to duty was shorter in group A (7.8 days) than group B (10.1 days), and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01). Group B had five patients with complications, whereas group A had none (p=0.028). No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 (p=0.197) and patient satisfaction (p=0.764)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simple partial nail extraction in military trainees resulted in lower postoperative pain, lower complication rates, and earlier return to duty than the procedure with matrixectomy. Military trainees are temporarily exposed to highly demanding activities. Thus, a satisfactory outcome would be expected with simple partial nail extraction without performing a radical procedure, such as a matrixectomy.

터널화재시 부분배연설비에 의한 배연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Improvement by the Partial Smoke Extraction System in Tunnel Fire)

  • 유용호;이의주;신현준;신한철;윤영훈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3-63
    • /
    • 2006
  • 본 연구는 프라우드 상사와 등온기체모델을 적용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여, 터널화재시 연기의 거동과 부분배연설비의 배연효율을 분석함으로써 방재설비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터널 화재시 입계유속 이상의 제연 풍량이 유지 될 경우 부분 배연 갤러리의 배연효율은 그룹댐퍼와 균일댐퍼 모두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터널내 차량이 정체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초기에는 화원 앞 뒤에 위치해있는 부분 배연 갤러리만을 열어 연키의 성총회률유지하면서 연층을 배연시키고 제트팬은 가동시키지 않고 이후 승객이 모두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제트팬을 함께 가동시켜 터널 내의 연기를 배출하도록 하며 교통 소통이 원활한 경우에는 터널의 제연설비를 가몽하여 연기의 후방전파를 차단하고 통시에 부분배연 설비를 가동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풀화재를 이용한 터널화재 부분배연 모델실험 (Reduced-Scale Experiments of the Partial Smoke Extraction System in Tunnel Fires)

  • 이의주;유용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8-64
    • /
    • 2006
  • 부분배연설비를 가지고 있는 침매터널에서 화재시 배연효율을 분석하기위해 풀화재를 이용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주위 유동이 없는 경우인 자연배연과 임계속도로 제트팬을 가동하는 강제배연의 경우에 터널내의 온도와 연소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자연배연에 비해 강제배연은 화재발생 초기에 화원과 터널 내 기류와의 급격한 혼합에 의해 성층화 정도가 미미해지고 보다 낮은 온도를 화원주위에서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급격한 혼합은 터널 상부에 위치한 부분제연 갤러리의 효율을 변화시키는데, 자연배연인 경우에 약 30%의 배연효율이 증가되었다. 일산화탄소 농도계측으로 얻어진 배연효율은 등온기체모델을 사용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침매터널 화재시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부분배연설비의 최적 운전방안으로 제시된다.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중 중금속 관련 오염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책 (The controversial points and a remedy on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soil in Korea.)

  • 오창환;유연희;이평구;박성원;이영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8-301
    • /
    • 2000
  •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stream sediments,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nd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partial extraction, acid digestion and HF-digestion. Compared to amounts of 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those extracted using acid digestion are higher by 2.0∼220.9 times in Cu, 2.4∼2806.1 times in Pb, 1.3∼121 times in Cd, 14.1∼1300885 times in Fe, 1.2∼271.5 times in Mn, 1.3∼372.5 times in Zn, 2.2∼1734.5 times in Cr. Although partial extraction, which extracts less amounts of heavy metals from soil compared to acid digestion, is used in domestic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soil, domestic soil standard for heavy metals in non-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s higher than soil standard in foreign countries which use acid digestion, For improvement of the domestic standard method for assessment of soil, it is suggested to lower the domestic soil standard for heavy metals or to change pretreatment method for extracting heavy metals from partial extraction to acid digestion with modifying the soil standard.

  • PDF

이산웨이블렛 변환기법을 이용한 부분방전종류의 신호특징추출에 관한연구 (A Study on Signal Feature Extraction of Partial Discharge Types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Technique)

  • 박재준;전병훈;김진승;전현구;백관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전자세라믹 방전플라즈마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
    • /
    • pp.170-176
    • /
    • 2002
  • In this papers, we proposed the feature extraction method due to partial discharge type of transformers. For wavelet transform, Daubechie's filter is used, we can obtain wavelet coefficients which is used to extract feature of statistical parameters (maximum value, average value, dispersion, skewness, kurtosis) about acoustic emission signal generated from each partial discharge type. The defects which could occur in a transformer were simulated by using needle-plane electrode, IEC electrode and Void electrode. Also, these coefficients are used to identify signal of partial discharge type electrode fault in transformer. As a result, from compare of acoustic emission amplitude and acoustic average value, we are obtained results of IEC electrode> Void electrode> Needle-Plane electrode. otherwise, In case of skewness and kurtosis, we are obtained results of Needle-Plane electrode electrode> Void electrode> IEC electrode.

  • PDF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부분 방전 신호 분석 (An Analysis of Partial Discharge signal Using Wavelet Transforms)

  • 박재준;장진강;임윤석;심종탁;김재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2
    • /
    • 1999
  • Recently, the wavelet transform has been a new and powerful tool for signal processing. It is more suitable specially for the feature extraction and detection of non-stationary signals than traditional methods such as, the Fourier Transform(FT), the Fast Fourier Transform(FFT) and the Least Square Method etc.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multi-scale analysis and time-frequency domain localization. The wavelet transform has been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PD pulse signal to raise in the progress of insulation degradation. In this paper, the wavelet transform was applied to one foundational method for feature extraction. For the obtain experimental data, a computer-aided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with a single acoustic sensor was used. If we are applying to the neural network method the accumulated data through the extracted feature, it is expected that we can detect the PD pulse signal in the insulation materials on the on-line.

  • PDF

용출액의 pH 변화가 토양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국내 토양 오염 공정시험방법의 문제점 (The Effects of pH Change in Extraction Solution on the Heavy Metals Extraction from Soil and Controversial Points for Partial Extraction in Korean Standard Method)

  • 오창환;유연희;이평구;이영엽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159-170
    • /
    • 2003
  • 전주시 하천 퇴적물시료, 호남고속도로 주변의 토양과 퇴적물 시료, 광산주변 광미 및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0.1N 유지용출법, Tessir et al.(1979)의 연속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중금속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사용시 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있는 시료는 용출액의 pH 1(0.1N HCl)이 유지되지 못했고 용출액의 pH가 최고 8.0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HPE)/0.1 N 유지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HPEM) 값의 평균치와 범위는 Cd의 경우 0.479와 0.145~0.929, Zn의 경우 0.534와 0.078~0.928, Mn의 경우 0.432와 0.041~0.992, Cu의 경우 0,359와 0.011~0.874, Cr의 경우 0.150과 0.018~0.530, Pb의 경우 0.219와 0.003~0.853, 그리고 Fe의 경우 0.088과 1.73${\times}$$10^{-5}$~0.303이다. 이는 두 전처리 방법에 의해 추출된 중금속량의 차이가 Fe>Cr>Pb>Cu〉Mn>Cd>Zn 순임을 지시한다. HPE, HPEM과 연속추출법 비교시 Zn, Cd, Mn의 경우 추출량은 대체적으로 연속추출 3단계까지의 합$\geq$0.1N 유지용출법>연속추출 2단계까지의 합$\geq$용출법 순이었으며, Cr과 Fe의 경우 연속추출 3단계까지 합》0.1N 유지용출법>용출법 순이었으며 연속추출 2단계 까지 합은 Cr의 경우 0.1N 유지용출법의 추출량보다 낮았고 용출법의 추출량보다 높았다. Cu의 경우 연속추출 4단계까지의 합$\geq$0.1N 유지용출법>3단계까지의 합 용출법으로 나타났다. 0.1N유지위해 첨가된 염산의 양이 증가할수록, 즉 시료내의 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증가할수록 HPE/HPEM 값이 감소하며, 완충능력이 큰 시료의 경우 모든 원소에서 HPE/HPEM이 0.2보다 낮다. 완충능력이 낮은 시료의 경우 Zn, Cd, Mn, Cu는 연속추출 1,2단계의 합과 연속추출 3단계의 중금속 추출함량간의 차이가 적고, 다른 원소에 비해서 상대적인 유동도가 높기 때문에 HPE/HPEM이 대채적으로 0.2보다 높으며 0.6이상의 값을 갖는 시료가 많다. 그러나, Fe, Cr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Zn, Cd, Mn, Cu에 비해 유동도가 낮고, 연속추출 3단계의 함량이 1+2단계의 함량과 차이가 커 완충능력이 낮은 시료의 HPE/HPEM값도 전반적으로 0.2보다 낮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전처리 방법인 용출법이 장래에 장기적으로 산성비와 같은 환경피해에 노출되어 토양의 완충능력이 감소하거나 상실될 수 있는 지역의 오염평가에 적합치 않을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