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AFB positiv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cardia takedensis Isolated from Skin Lesion, in Korea

  • Kang, Hye-Sook;Park, Gyu-Nam;Kim, Hye-Ran;Chang, Kyung-S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6-103
    • /
    • 2017
  • Nocardia species (spp.) are opportunistic pathogen in immunocompromised hosts. The genus Nocardia contains more than 70 species. Nocardia takedensis has been recently reported as a new species of the genus Nocardia. In this study, we describes the first clinical isolate of N. takedensis from the skin lesion in Busan, Korea. For the identification of clinical isolate to the species level as N. takedensis, classical methods (colony morphology,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molecular method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S (mass spectrometry) analysis were conducted. Clinical isolates grew slowly on the culture media (5% sheep blood agar and chocolate agar) under 5% $CO_2$ condition. Especially, carotene pigmentation was detected well on the media. Using mass spectrometry, Nocardia isolate was not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However, molecular method based on 16S rRNA sequencing confirmed the isolate as N. takedensis correctly. N. takedensis isolate was partial positive for acid-fast bacilli on the Ziehl-Neelsen method. And it was observed to be resistanc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and ciprofloxacin. Our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optimal identification protocol of N. takedensis in clinical diagnostic laboratories.

폐결핵 환자의 편측 전폐 파괴에 대한 좌우 비교 (Left to Right Ratio of Autopneumonectomy State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 신철식;정재만;임영재;김영준;고석신;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43-347
    • /
    • 1992
  • 연구배경 : 한쪽폐의 전체가 파괴되는 경우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이중에서 폐결핵으로 인하여 만성적 염증과 섬유화등을 통하여 파괴된 경우 그 좌우 발생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 최근 4년간 국립 공주 결핵뱅원 흉부내과에 입원하였던 2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입원 당시의 흉부 방사선 소견을 4가지로 분류하고 성별, 연령, 질병기간, 세균학적 검사를 조사하였다. 결과 : 1) 남녀비는 2 : 1이고 연령은 31~40세가 67명 (30%)으로 가장 많았다. 2) 질병기간은 대부분(88%)이 3년 이상 장기간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6~10년 사이가 87명(39%)로 가장 많았다. 3) 객담 검사상 대부분(80%)이 양성이었다. 4) 흉부 방사선 소견상 좌측폐 전체가 파괴되고 우측에 부분적 병변을 가진 경우가 181명(81%)으로 가장 많았으며 우측폐 전체가 파괴되고 좌측에 부분적인 병변을 가진 경우 31명(14%), 좌측 전폐 파괴만 있는 경우 11명(5%) 그리고 우측 전폐 파괴만 있는 경우 1명 이었다. 5) 성별, 연령, 질병기간 그리고 객담 검사와 흉부 방사선 소견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조사결과 폐결핵 환자에서 한쪽폐의 전체가 파괴되는 경우 주로 좌측임을 알게 되었다. 이는 폐결핵 자체의 직접전파, 폐결핵 합병증과 그에 따른 2차적 변화, 기관지 결핵 등에 있어서 좌측폐의 파괴가 더 용이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질병 기간에 따른 소견 및 질병 초기부터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하라라 사료된다.

  • PDF

랫드에서 Fusarium moniliforme MRC 826 배양물질의 독성 및 발암성에 관한 연구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of the Fusarium moniliforme MRC 826 Culture Material in Rats)

  • 신동진;신광순;이영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53
    • /
    • 1993
  • 옥수수에 자연 발생하는 F. monliforme MRC 826을 옥수수에 배양하여 배양물에 존재하는 fumonisin $B_{1}$을 정성검사 한 후, 배양물질의 독성 및 발암성을 aflatoxin $B_{1}$과 비교하여 보았다. 독성 시험은 3주령의 Sprague-Dawley(SD) 암컷 랫드 10마리를 각 군당 5마리씩 2개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시험 군으로 배양물질을 분말사료와 1 : 1로 혼합하여 1주간 급여하였고, 제 2군은 대조군으로 분말사료만을 급여하면서 실험하였다. 시험군은 급여 3~4일경부터 침울해 보였으며, 랫드 1마리당 1주간 평균 사료 섭취량은 24 g이었고, 평균 체중은 18 g 감소하였다. 부검 시 신장의 피막박리가 곤란하였고 조직 검사 결과 간장의 공포변성에 신장 세뇨관 상피세포의 괴사등의 관찰되었다. 발암성 검사 6주령의 SD 수컷 랫드 70마리를 사용하여 중기 발암성 검색법인 diethylnitrosamine-partial hepatectomy (DEN-PH) 모델로 시험하였다. 시험군은 각 군당 14마리씩 총 5개군을 두었으며 실험 0일 때 DEN을 복상내로 투여하였고, 2주후에 제 1군(양성대조군)은 aflatoxin $B_{1}$을 2ppm 농도로 첨가한 사료를, 제4군 옥수수를 5% 농도로 첨가한 사료를, 제 5군은 옥수를 2.5% 농도로 첨가한 사료를 각각 6주간 급여하였다. 실험 3주간에 간 부분 절제술을 시술하였고, 8주간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음수량을 측정한 후 부검하여 간장은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고, 뇌, 뇌하수체, 융선, 폐, 부신, 신장, 심장, 비장, 정낭선, 고환 및 간장 등은 H&E 염색을 하여 병변을 관찰하였다. GST-P 염색결과 5% 배양물질 투여군은 aflatoxin $B_{1}$투여군과 유사하게 GST-P 양성병소의 발현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5% 배양물질 투여군 및 2.5% 배양물질 투여군은 옥수수 투여군에 비하여 증체율의 저하가 관찰되었고, 5% 배양물질 투여군에서 간, 신장, 고환 및 정낭선등의 체중에 대한 상대중량비, 혈액요소질소와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 등은 옥수수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F. monliforme MRC 826 배양물질은 랫드의 간과 신장에 독성을 나타내었고, aflatoxin $B_{1}$과 마찬가지로 간암 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