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ietal Cell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49초

Investigation of Neuroprotective Efficacy of Dexpanthenol in an Experimental Head Injury Model

  • Durmus E. Karatoprak;Recai Engin;Sarp Sahin;Ismail Iclek;Mehmet A. Dura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5호
    • /
    • pp.521-530
    • /
    • 2024
  • Objective : Dexpanthenol (DXP), which has known neuroprotective effects, has been shown to be beneficial in various experimental models and ischaemic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s of DXP in a traumatic brain injury (TBI) model. Methods : Thirty-six Wistar-Albino female rats, approximately 6 months old, weighing 220-285 g were used. All rats were subjected to closed head trauma by dropping a weight of 350 g on the parietal region from a height of 50 cm at an angle of 180 degrees in the prepared head trauma model setup.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control (group 1), trauma (group 2), trauma + DXP (group 3), and DXP (group 4). In group 3, DXP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t a dose of 500 mg/kg for six times at 30 minutes, 6, 12, 24, 36, and 48 hours. In group 4, DXP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simultaneously with group 3 without causing head trauma.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all rats 72 hours later for biochemical examination. After blood samples were taken, rats were decapitated under general anaesthesia. Cerebral tissue samples were taken from decapitated rats for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 Cytokine markers were found to be increased in posttraumatic brain tissue. Malondialdehyde and glutathione reductase levels were lower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In addition,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In histological evaluation, congestion in the piamater layer, cell infiltration, vascular congestion, hemorrhage and neuronal degene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DXP seems to be beneficial in neurological recovery in terms of histological and oxidative changes after head trauma in rats. Conclusion : DXP should be further evaluated for its possible therapeutic effect in TBI.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위치 및 크기와 주위 림프절 전이의 양상에 관한 연구 (Mode of regional and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of bronchogenic carcinoma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size and histology of primary tumor of the lung)

  • 김길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81-89
    • /
    • 1990
  • A total of 178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who had undergone complete resection of the tumor in combination with complete mediastinal lymphadenectomy were review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of Yonsei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80 through July 1989. Materials; 1. There were 45 men and 33 women ranging of age from 25 to 78 years with a mean age of 55.4 years. 2. Histological types were squamous carcinoma in 115 cases [64.6%] adenocarcinoma in 42 cases [23.6 %],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in 9 cases [5.1%], large cell carcinoma in 8 cases [4.5 %] and small cell carcinoma in 4 cases [2.2%]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ize of primary tumor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P =0.0567] 2. The histologic types of the primary tumor did not related to the incide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P >0.19] 3. The cha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the case with lung cancer located in right middle lobe[31.8%, N=22] and left lower lobe [31.4%, N=32] were the highest and the lowest was the one located in right lower lobe, while over all incide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this series was 25.4 % [N=55]. 4. The rate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without evidence of regional and hilar lymph node metastasis was 13%. [N=23] The chance of mediastinal lymph node involvement without N1 lymph node metastasis was 16.3 % [N=17] in both upper lobes and 8.2 % [N=6] in both lower lobe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tumors in the upper lobes had greater chance of the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without N1 than the tumors in the lower lobes. 5. In this series majority of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the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from the tumor in each pulmonary lobes usually occurs via ipsilateral tracheobronchial and paratracheal lymphatic pathway. Especially the lung cancer located in lower lobes can metastasize to subcarinal, paraesophageal and inferior pulmonary ligamental lymph node through the lymphatic pathway of inferior pulmonary ligament. It can be speculated that in some cases of this series otherwise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can also occur with direct invasion to the parietal pleura and to the mediastinal lymph node via direct subpleural lymphatic pathway .

  • PDF

현호색속(현호색과) 6종의 자성배우자체 발달과정 (Development of Female Gametophyte of Six Species of Corydalis (Fumariaceae))

  • 오병운;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7-480
    • /
    • 2002
  • 현호색속 6종의 대배우자체 발달과정이 공초점현미경(LSCM)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 관찰되었다; 흰현호색, 왜현호색, 섬현호색, Corydalis nobilis, C. solida, C. ophiocarpa. 포원세포는 돌출된 주심조직의 단층 표피 밑에 존재하는 측벽세포의 최외곽층 세포들에서 하나가 기원하였으며, 직접 대포자모세포로서 작용하였다. 대포자모세포는 대포자발생과정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2회 분열한 후 선상의 4분체가 되었으며, 이들 중 주공쪽의 3개는 퇴화하고 합점쪽의 1개만이 기능성 대포자로 발달하였다. 자성배우자체의 발달 유형은 단포자성, 마디풀형(Polygonum type)이었다. 개화 전 자성배우자체는 성숙하였고, 따라서 성숙된 배낭은 3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난장치, 거대한 핵이 있는 3개의 대형 반족세포 및 2차핵이 존재하는 1개의 중앙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족세포 흡기는 반족세포의 정단에서부터 각각 발달되었으며, 주공쪽으로 신장되어 난장치와 접촉하였다. 2개의 조세포는 보통 퇴화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이때 반족세포 흡기의 정단은 퇴화된 조세포와 연결되었다. 7-세포성 자성배우자체의 발달과정상 특징은 조사된 모든 종에서 공통적이었으나, 배낭의 형태는 흰현호색, 섬현호색, C. solida 및 C. ophiocarpa에서는 난형이었으며, 왜현호색에서는 반곡형인 반면 C. nobilis에서는 다소 납작한 난형이었다. 또한 대포자낭의 유형은 모든 종에서 도생배주였으나 왜현호색에서는 만곡배주였다.

폐암의 "Conlplex Pneuwlonectonly" ("Conlplex Pneuwlonectonly" in Lung Cancer)

  • 백효채;배기만;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14-620
    • /
    • 1996
  • 일반적인 전폐절제술과는 달리 전폐절제술시에 심막, 횡경막,흉벽 또는 척추의 일부를 함께 절제하 는 것을 "Complex Pneumonectomy" 라고 한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90년 )월부터 1994년 2월까 지 폐암환자에서 92례의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18명(19.56%)에서 "Complex Pneumonic- tomy"를 시행하였다. 이중 7명에서 흉벽, 10명에서 심막, 1명 에서 횡격막을 함께 절제하였다. 우측 전궤절제술이 8례, 좌측이 10례였으며 남자 17명, 여자 1명이었고 나이 분포는 40-70세로 평균 58세였다. 환자가 내원 당시 호소한 증상은 기 침이 13례로 가장 많았고 호흡곤란 11례, 흥통 10례, 체중 감소 9례, 전신적 피로 9례, 가래배출 4례 등이 었다. 수술후 조직진단은 편평상퍼세포암이 1)명, 선암이 )명, 선편평상피세포암과 소세포암이 각각 1명씩 있었다. 수술후 병기는 TINOMO 2명, TINIMO 4명, T)N2MO 6명, T4W2MO 5명이었으며 TINIMO도 1명 있었다. 수술사망은 1명(5.5 %)에서 있었으며 호흡 부전증으로 사망하였다. 1명의 수술사망과 1명의 추적 분실을 제외한 16명중 14명이 사망하였으며 평균 생존율은 9.07$\pm$4.82 개월이다. 현재 생 존자는 TIWO O 1명이 흉벽 절제후 35개 월째 생 존해 있으며 T3W2MO 1명 이 횡격 막절 제후 36개월째 생존해 있다. 따라서 선택된 73병기 폐암환자에서 "complex"전폐절제술을 함으로서 장 기 생존을 얻을수 있다고 사료된다.제술을 함으로서 장 기 생존을 얻을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위궤양의 진행에 있어 MAPKs의 세포특이적 활성 (Cell-type Specific Activation of MAPKs in the Progression of Gastric Ulcer in Rats)

  • 유리;권영삼;오태호;김태환;박상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39-345
    • /
    • 2013
  • MAPKs는 다양한 세포자극에 반응하는 중요한 세포신호전달경로이며, 특히 세포의 생존과 사멸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궤양의 진행에 있어 MAPKs의 세포특이적 활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부프로펜에 의해 유도된 위궤양의 진행에 있어 활성화된 MAPKs가 다양한 세포들에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실험하였다. 위궤양 유발은 200 mg/kg 이부프로펜을 하루에 8시간간격으로 3번 투여하였다. 동물부검은 이부프로펜을 투여한 후 24, 48, 72시간에 실시하였고, 위조직은 면역조직화학 및 웨스턴블랏에 사용되었다. 활성화된 p-ERK는 정상 랫드 위점막상피의 위상피증식층에서만 주로 발현되었으나, 이부프로펜을 투여한 후 24시간째에는 위기저부의 벽세포들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부프로펜을 투여 후 48시간 경과한 군에 있어서는 위궤양에 인접한 위점막상피 또는 위궤양 기저부의 결합조직에 나타난 신생혈관, 염증세포 및 육아조직에서 p-ERK가 강하게 발현되었다. 반면에 p-JNK는 초기 위점막손상을 나타내는 위표면점막상피와 샘위의 점막상피세포의 핵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점차적으로 p-JNK는 위궤양 기저부의 결합조직내에 침윤된 염증세포, 섬유모세포에서 특히 강하게 염색되었다. P-p38 양성세포는 위점막의 결합조직내에서 분산되어 관찰되었으며, 특히 위궤양 기저부의 결합조직내로 침윤된 대식 세포에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각각의 MAPK들이 위궤양진행에 있어 특정세포들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분화중인 흰쥐 콩팥의 요세관에서 nNOS의 발현 (Expression of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in Developing Rat Kidney)

  • 송지현;류시현;김진;정주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2호
    • /
    • pp.141-148
    • /
    • 2008
  • Nitric oxide는 콩팥에서 혈류의 조절, 사구체 혈액역동학 및 요세관의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로서 최근 세포의 주기조절, 유사분열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발생중인 콩팥에서의 nNOS의 발현은 성체와는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생중인 콩팥에서의 발현 양상 및 발현시기 등에 대해서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생중인 콩팥을 이용하여 분화중인 요세관에서 nNOS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체에서 nNOS의 면역반응성은 사구체 보우만주머니의 벽측상피와 치밀반, 내림가는부분 및 수질집합관에 발현되었다. 발생중인 콩팥에서는 임신 15일에 처음 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부위는 원위세관의 굵은오름부분이었다. 임신 20일에서 출산후 14일까지 새로이 형성되는 요세관의 굵은오름부분에서 관찰되었으나, 분화를 마친 요세관에서는 그 발현 양상이 감소하였다. 출생후 21일경에는 최종적으로 치밀반에만 국한되어 발현되었다. 속수질에서는 내림가는 부분과 속수질 집합관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양상은 수질 중간부위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시작부위와 말단부위에서는 약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굵은오름부분에서의 nNOS의 발현은 요세관의 분화정도와 일치하며 특히 그 발현양상이 분화가 활발한 시기에 강하게 발현되고 분화가 저하된 후에는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발생중인 콩팥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Role of a Burr Hole and Calvarial Bone Marrow-Derived Stem Cells in the Ischemic Rat Brain : A Possible Mechanism for the Efficacy of Multiple Burr Hole Surgery in Moyamoya Disease

  • Nam, Taek-kyun;Park, Seung-won;Park, Yong-sook;Kwon, Jeong-taik;Min, Byung-kook;Hwang, Sung-na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3호
    • /
    • pp.167-174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a burr hole and calvarial bone marrow-derived stem cells (BMSCs) in a transient ischemic brain injury model in the rat and postulates a possible mechanism for the efficacy of multiple cranial burr hole (MCBH) surgery in moyamoya disease (MMD). Methods : Twenty Sprague-Dawley rats (250 g, mal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normal control group (n=5), burr hole group (n=5), ischemia group (n=5), and ischemia+burr hole group (n=5). Focal ischemia was induced by the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At one week after the ischemic injury, a 2 mm-sized cranial burr hole with small cortical incision was made on the ipsilateral (left) parietal area. Bromodeoxyuridine (BrdU, 50 mg/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2 times a day for 6 days after the burr hole trephination. At one week after the burr hole trephination, brains were harvest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for BrdU, CD34, VEGF, and Doublecortin and Nestin were done. Results : In the ischemia+burr hole group, BrdU (+), CD34 (+), and Doublecortin (+) cells were found in the cortical incision site below the burr hole. A number of cells with Nestin (+) or VEGF (+) were found in the cerebral parenchyma around the cortical incision site. In the other groups, BrdU (+), CD34 (+), Doublecortin (+), and Nestin (+) cells were not detec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rdU (+) and CD34 (+) cells are bone marrow-derived stem cells, which may be derived from the calvarial bone marrow through the burr hole. The existence of CD34 (+) and VEGF (+) cells indicates increased angiogenesis, while the existence of Doublecortin (+), Nestin (+) cells indicates increased neurogenesis. Conclusion : Based on these findings, the BMSCs through burr holes seem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MCBH surgery in MMD.

Pathogenesis of Inflammation in H. pylori Infection

  • 정현채
    • 대한위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위암학회 2002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 /
    • pp.9-17
    • /
    • 2002
  • 위의 parietal cell 혹은 대식세포와 유사한 세포 내부에서 H. pylori가 발견된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H. pylori는 Shigella와 같은 침습성 세균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 pylori에 감염된 위점막에는 많은 수의 호중구를 위시한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는데 H. pylori가 위상피세포에 부착 할 경우 위상피세포를 자극하여 interleukin-8을 위시한 cytokine 을 발현케하고 이에 의하여 호중구 등의 염증세포가 몰려들게 된다. 한편 고유층에 몰려든 호중구에서는 다시 interleukin-8을 위시한 일련의 호중구 활성화 chemokine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증폭해 나갈 것이다. 호중구에서 발현되는 myeloperoxidase나 활성 산소 등도 위점막의 조직 손상에 기여할 것이다. 위상피세포를 덮고 있는 점액층은 위상피세포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H. pylori 감염의 경우 점액층에 의하여 H. pylori의 운동성이 증가하고 이것이 위상피세포로부터의 cytokine 발현을 자극하여 염증반응을 증폭하는데 관여할 가능성도 있다. H. pylori는 위상피세포에 대하여 apoptosis를 유도함과 동시에 고유층에 몰려든 호중구에 대하여는 apoptosis를 억제케하여 궁극적으로 염증반응을 증폭 및 지속시켜 나가는 쪽으로 작용한다. 한편 H. pylori는 위상피세포로부터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위상피세포의 apoptosis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외에 H. pylori의 urease에 의하여 발생한 암모니아나 H. pylori 자신이 분비하는 세포독소가 세포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상술한 여러 독성 인자들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여러 인자가 같이 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고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된다.(\gamma-FeOOH)$, 침철광$(\alpha-FeOOH)$, 적금광$(\beta-FeOOH)$, 그리고 자철광$(Fe_3O_4)$이다. 인위적 부식에서는 전부 인철광의 부식물이 생성되었고 자연적 부식에서는 모두 침철광의 부식물이 생성되었다. 특히 철제 표면에 자연적으로 생성된 공식 녹을 XRD 분석한 결과 적금광으로 동정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EX>$88\%$)였다.(P=0.063).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C/T & T/T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발생과 그 위치에 대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흡연력, 음주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험이

  • PDF

노화에 따른 마우스 콩팥소체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Renal Corpuscle of the Mouse with Age)

  • 고정식;박숙현;안의태;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373-389
    • /
    • 1997
  • Morphological difference of the renal glomerulus at different age groups have been studies in one week-old, five weeks-old, eight weeks-old, six months-old, twelve months-old, eighteen months-old, twenty-four months-old, and thirty months-old ICR mice.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renal corticies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solution (0.1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1% osmium tetroxide solution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were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 and were observed under a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one week-old mouse, thicknesses of the three layers of the glomeluar basal lamina (lamina densa, lamina rara interna and lamina rara externa) are similar, but in the five weeks-old mouse, thick lamina densa becomes a greater portion of the thickness of whole glomerular basal lamina. 2. No difference was noticed between thickness of the renal glomerular basal lamina of the five weeks-old mouse compare with that of the one week-old one, but basal lamina of the eight weeks-old one is thickened considerably and thicknesses were maintained through twelve months-old one. After eighteen months, the thickness of the glomerular basal lamina is increased remarkably. 3. After eighteen months, electron dense deposits within the basal lamina of the renal glomeruli are observed frequently. 4. Amount of the microfilaments in the mesangial cells and the mesangial matrices are increasing during aging. 5. The thicknesses of the basal laminae of the Bowman's capsule are increasing during aging. 6. After twenty four months, the proximal tubular cell-like parietal cells with well developed microvilli are observed frequent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nal glomerulus matures structurally in five weeks, and the function of the glomerulus is suppressed after eighteen months.

  • PDF

신경추적자를 이용한 신맥과 조해에서 투사되는 신경원의 표지부위에 대한 연구 (Central Neural Pathways Projecting to the Acupoints B62 and K6 Using the Neural Tracer)

  • 김수현;이창현;육상원;이광규;이태영;이상룡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51-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morphological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central neural pathway projecting to the acupoints $B_{62}$ and $K_6$ using the neuroanatomical method following injection of transsynaptic neurotropic virus, pseudorabies virus(PRV-Ba and PRV-Ga) into the $B_{62}$ and $K_6$. After survival times of 96 hours following injection into the twenty rats with PRV-Ba(Bartha strain) and PRV-Ga(Bartha strain, ${\beta}$-galacidodase insertion). They were perfused, and their spinal cord and brain were frozen sectioned($30{\mu}m$). These sections were stained by X-gal histochemical and PRV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and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spinal cord, overlaped PRV-Ba and PRV-Ga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B_{62}$ and $K_6$ were founded in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segments. In thoracic spinal segments, Densely labeled areas were founded in lamina IV, V, VII(intermediolateral nucleus) and X areas. In lumbar segemnts, labeled areas were founded in lamina II, IV, V and X areas. In sacral spinal segments, labeled areas were founded in lamina IV, V and VI areas. 2. In brain, overlaped PRV-Ba and PRV-Ga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B_{62}$ and $K_6$ were founded in the $A_1$ noradrenalin cells/$C_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 rostr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ns, nucleus tractus solitarius, area postrema, raphe obscurus nucleus, raphe paltidus nucleus, raphe magnus nucleus, lateral paragigantoceltular nucleus, lateral rcticular nucleus, gigantocellular nucleus, locus coeruleus, subcoeruleus nucleus, motor trigeminal nucleus, Kolliker-Fuse nucleus, $A_5$ cell group, central gray matter, oculomotor nerve,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median eminence, amygdaloid nucleus, frontal cortex, forelimb area, hindlimb area, 1, 2 areas of parietal cortex and granular and agranular cortex. This results were suggest that overlaped PRV-Ba and PRV-Ga labeled areas projecting to the $B_{62}$ and $K_6$ may be related to the emotional relay pathway in the central autonomic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