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choviru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경기서부지역 설사 환아의 바이러스 유병율 (Prevalence of Viruses with Diarrhea among Hospitalized Children West Gyeonggi Province)

  • 서수영;정인아;김지훈;조경순;빈중현;김현희;이희진;이원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1호
    • /
    • pp.28-36
    • /
    • 2012
  • 목 적 : 이 연구는 경기서부지역의 감염성 설사의 원인 바이러스의 역학 및 지역적 유병율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에 급성 설사로 입원한 10세 미만 환아를 대상으로 흔한 세균성 병원체가 없는 310개의 대변 검체에서 rotavirus, parechovirus, adenovirus, astrovirus, enterovirus, norovirus의 유무를 PCR과 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parechovirus (16%)가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adenovirus (15%), astrovirus (14%), rotavirus (13%), enterovirus (5%)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단일 감염은 55.8%에서, 중복 감염은 3.2%에서 나타났다. 바이러스성 장염은 전체적으로 두 차례의 유행 시기를 보였으며, 84.6%는 2세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 parechovirus, adenovirus, astrovirus, enterovirus는 기존에 시행 중인 진단방법으로는 과소평가되어 있으나 소아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다.

  • PDF

Prevalence of human parechovirus and enterovirus in cerebrospinal fluid samples in children in Jinju, Korea

  • Seo, Ji-Hyun;Yeom, Jung Sook;Youn, Hee-Shang;Han, Tae-Hee;Chung, Ju-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3호
    • /
    • pp.102-107
    • /
    • 2015
  • Purpose: Human parechovirus (HPeV) and enterovirus (EV) are causative agents of a sepsis-like illness in neonates and of infect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young childre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prevalence of HPeV3 and EV infection in young children with a sepsis-like illness or with meningitis in Jinju, Korea. Methods: Cerebrospinal fluid (CS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67 patients (age range, 1 day to 5 years) and assessed for HPeV and EV by perform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Amplification products of the VP3/VP1 region of HPeV and of the VP1 region of EV were sequenced to identify the virus type. Results: HPeV and EV were detected in 3.4% and 7.5% of the total CSF samples assessed, respectively. The age distribution of EV-positive patients (median age, 1.4 months) had a significantly broader range than that of HPeV-positive patients (median age, 7.8 months). The peak seasons for HPeV and EV infection were spring and summer, respectively. The clinical symptoms for HPeV and EV infection were similar, and fever was the most common symptom. Pleocytosis was detected in 22.2% of HPeV-positive patients and 35.5% of EV-positive patients. The VP3/VP1 gene sequence of the nine Korean strains clustered most closely with the Japanese strain (AB759202). Conclusion: The data indicate that HPeV infection is predominant in young infants (<6 months) and that meningitis without pleocytosis was caused by both HPeV and EV infection in children.

Distinctive clinical features of HPeV-3 infection in 2 neonates with a sepsis-like illness

  • Yeom, Jung Sook;Park, Ji Sook;Seo, Ji-Hyun;Park, Eun Sil;Lim, Jae-Young;Park, Chan-Hoo;Woo, Hyang-Ok;Youn, Hee-Shang;Lee, Ok Jeong;Han, Tae-Hee;Chung, Ju-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7호
    • /
    • pp.308-311
    • /
    • 2016
  • We report a human parechovirus-3 (HPeV-3) infection in 2 neonates who had prolonged fever (>5 days) with palmar-plantar erythema. This distinctive rash was observed 4-5 days after fever onset, just before defervescence. Elevat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ferritin levels were characteristic laboratory findings in the 2 cases, suggesting tissue damage caused by hypercytokinemia. Case 1 was treated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severe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The initial ferritin level was 385 ng/mL (range, 0-400 ng/mL); however, the level increased to 2,581 ng/dL on day 5 after fever onset. Case 2 presented with milder clinical symptoms, and the patient recovered spontaneously. HPeV-3 was detected in cerebrospinal fluid and/or blood samples, but no other causative agents were detected. The findings from our cases, in accordance with recent studies, suggest that clinical features such as palmar-plantar erythema and/or hyperferritinemia might be indicators of HPeV-3 infection in neonates with sepsis-like illness. In clinical practice, where virology testing is not easily accessible, clinical features such as palmar-plantar erythema and/or hyperferritinemia might be helpful to diagnose HPeV-3 infection.

Human Parechovirus: an Emerging Cause of Sepsis-Like Syndrome in Infants Aged under 3 Months

  • Roh, Da Eun;Kwon, Jung Eun;Kim, Yeo Hya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2호
    • /
    • pp.102-110
    • /
    • 2020
  • 목적: 이번연구의목적은 human parechovirus (HPeV)로유발된패혈증의증을보였던 3개월미만의영아를대상으로임상적 특징 및 경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패혈증 의증으로 입원한 3개월 미만 영아들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였다. 환자들은 뇌척수액을 이용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에 따라 HPeV 감염군(1군, 11명), 장바이러스 감염군(2군, 13명),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군(3군, 15명)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1군은 빈맥, 빈호흡, 무호흡, 저혈압, 피부 변화를 보이는 환자가 2, 3군 보다 많았다(P<0.05). 또한 1군은 혈중 총 백혈구수가 다른 군에 비해 낮았다(5,622±2,355/μL, 9,397±2,282/μL and 12,312±7,452/μL, P=0.005). 뇌척수액 백혈구 수도 1군은 2, 3군에 비하여 낮았다 (0.9±1.7/μL, 85.1±163.6/μL, and 3.7±6.9/μL, P=0.06). 치료에서도 1군은 2, 3군 보다 승압제 보조(36.6% vs. 0% and 6.6%), 기계 환기 적용(18.1% vs. 0% and 0%)과 고유량 산소 사용(45.4% vs. 15.3% and 6.6%)이 더 많았다. 모든 환자들은 합병증 없이 회복 되었다. 결론: HPeV 감염은 심각한 임상 경과를 보이고, 3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패혈증 유사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HPeV 감염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아청소년기 중추신경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서 Human Parechovirus의 의의 (Human Parechovirus as an Important Cause of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in Childhood)

  • 정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3호
    • /
    • pp.165-171
    • /
    • 2016
  • 목적: Human parechovirus (HPeV)는 영아에서 중추신경계 감염 및 패혈증의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최근에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그러나, 영아 이후 시기에 발병하는 HPeV 감염에 대한 연구나 보고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소아기 전 연령대에 걸친 HPeV의 국내 유병률 및 그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발열 혹은 수막염 의심 증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 받은 소아의, 보호자 서면 동의를 얻어 수집한 잉여 뇌척수액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뇌척수액 검체에서 HPeV 특이 5' untranslated region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증폭하여 HPeV 감염을 진단하고, HPeV의 viral protein 3/1 (VP3/VP1) region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유전자형을 확인했다. 이들의 임상 및 진단검사적 특징을 후향적 의무기록분석을 통해 평가하고, 같은 시기에 뇌척수액 GeneXpert (Cepheid)검사로 진단된 장바이러스(enterovirus [EV]) 수막염 환자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총 102개의 뇌척수액 검체를 분석하였다. 이 중 HPeV 양성인 검체는 6개(5.9%)였고, 21개의 EV양성 검체 중 2개에서 HPeV가 함께 검출되었다. HPeV는 2013년 6월과 2014년 5월에서 7월 사이에 수집된 검체에서 나타났고, 모두 HPeV3형이었다. HPeV 양성인 환자 중 2명이 3개월 이하의 영아였고, 나머지 4명은 1세 이상이었다(19-180개월). 1세 이하의 HPeV 환자들은 특별한 신경학적 증상 없이 발열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을 보였으나, 1세 이상의 HPeV 환자들에서는 발열과 함께 뇌전증, 의식소실과 같은 중증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었다. EV 양성인 뇌척수액 검체의 대다수(73.7%)에서 뇌척수액 내 백혈구 증다증이 관찰된 반면, HPeV의 경우 연령 대비 정상 범위를 보였다. 결론: HPeV에 의한 중추신경 감염증은 주로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 의하면 영아기 이후의 소아청소년에서도 HPeV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영아기 이후의 소아청소년에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발열이 있으나 정상 뇌척수액 검사 소견을 보이는 경우 HPeV를 병원체의 하나로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국내 소아 전반에 있어서 HPeV 감염의 역학과 임상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ioFire® Meningitis/Encephalitis Panel의 진단적 유용성 평가: 90일 미만 발열영아에서의 예비 연구 (Diagnostic Evaluation of the BioFire® Meningitis/Encephalitis Panel: A Pilot Study Including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90 Days)

  • 김경민;박지영;박경운;손영주;최윤영;한미선;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92-100
    • /
    • 2021
  • 목적: 중추신경계 감염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 신속한 원인 병원체의 확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열이 있는 영아의 뇌척수액 검체에서 원인 병원체 검출을 위한 BioFire® Meningitis/Encephalitis (ME) panel 검사 방법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발열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내원한 90일 미만의 영아로부터 채취한 뇌척수액으로 기존검사(세균 배양, Xpert® enterovirus assay, herpes simplex virus-1 and -2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한 후 -7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된 검체를 대상으로 BioFire® ME panel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72개 검체(원인 병원체가 검출된 24개와 검출되지 않은 48개)가 포함되었다. BioFire® ME panel 검사 결과, 기존검사로 원인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은 48개의 검체 중 41개(85.4%)는 음성이었고 원인 병원체가 검출된 24개 검체 중 22개(91.7%)가 동일한 결과(enterovirus 19개, Streptococcus agalactiae 2개, Streptococcus pneumoniae 1개)를 보여 전체 일치율은 87.5% (63/72)였다. 병원체가 기존검사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BioFire® ME panel에서 검출된 7개의 검체 중 6개에서 human parechovirus (HPeV)가 검출되었다. 결론: 열이 있는 90일 미만 영아에서 BioFire® ME panel 검사법은 원인 병원체가 밝혀진 기존검사 결과와는 비교적 높은 일치도를 보이며, HPeV를 추가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향후, 소아청소년 진료 영역에서 BioFire® ME panel 검사법을 적용할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임상적 유용성과 비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