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dise fish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동남아시아로부터 수입된 paradise fish Macropodus opercularis로부터 분리한 reo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isolated reovirus from the paradise fish Macropodus opercularis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 김위식;김수진;김정호;정성주;김도형;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5-342
    • /
    • 2010
  • 2008년 3월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된 paradise fish에서 대량폐사가 발생하여 병원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 megalocytivirus 및 Mycobacterium sp.가 검출되었으며, CHSE-214세포에서 미동정 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동정 바이러스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병원성 실험을 통해 paradise fish의 대량 폐사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분리 바이러스는 CHSE-214, BF-2, GF, SSN-1, FSP 및 FFN 세포에서 합포체의 세포변성효과를 나타내었고 IUdR 및 chloroform 처리에 감염성이 상실되지 않으며, 산 (pH 3), 알카리 (pH 11) 및 열 ($56^{\circ}C$, 30분)에 안정하였다. 핵산 분석 결과에서는 적어도 10개의 segment (0.7-3.6 kb)를 지닌 RNA 바이러스로 확인되었으며,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약 65 nm 크기로 인벨롭이 없으며 2중의 capsid를 지닌 바이러스가 세포질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Reoviridae family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전형적인 특성과 일치하므로 paradise fish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는 reovirus로 확인되었다. Reovirus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병원성이 나타나지 않아, reovirus는 paradise fish의 대량 폐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닐 것으로 사료되었다.

Molecular and Histopathological Evidence of Mycobacteriosis in Paradise Fish Macropodus opercularis Imported into Korea

  • Han, Hyun-Ja;Kim, Jeong-Ho;Jeon, Chan-Hyeok;Kim, Wi-Sik;Kim, Do-Hyung;Jung, Sung-Ju;Oh, Myung-J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165-169
    • /
    • 2013
  • We report on mycobacteriosis in an imported tropical ornamental fish Macropodus opercularis commonly known as the paradise fish. Mass mortality occurred in paradise fish imported to Korea from Southeast Asia in 2008. The affected fish did not show any outward clinical signs, but enlargement of the spleen, kidneys, and liver was observed on dissecti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numerous granulomas in the spleen, and acid-fast bacilli were observed in the centers of the granulomas. About 65% of spleen DNA samples were PCR positive using mycobacteria-specific primers targeting the 16S rRNA and hsp65 genes. The nucleotide identities of the 16S rRNA and hsp65 genes with those of Mycobacterium marinum were 99.5% and 99.4%, respectively. Although the bacterium was not cultured, the molecular diagnosi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mycobacteriosis in paradise fish.

사료내 색소원료 첨가가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 및 피라미 Zacco platypus 표피의 색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igment Sources on Pigmentation of the Round Tailed Paradise Fish Macropodus chinensis and the Pale Chub Zacco platypus)

  • 이충열;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3-217
    • /
    • 2008
  • 우리나라 고유 어종인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와 피라미 (Zacco platypus)를 대상으로 다양한 색소원을 사료에 첨가하여 성장률과 체색개선 효과에 관해 조사하였다. 색소원으로 Porphyra powder, Yeast astaxanthin, paprika extract, Spirulina powder를 사료에 첨가하여 실험사료를 제조하였다. 버들붕어의 경우,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80%이상이었고, 성장률은 Porphyra powder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라미의 경우, 생존율은 모든실험구에서 80%이상이며 성장률은 Spirulina powder 첨 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색소원 첨가가 체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버들붕어 표피와 지느러미의 총 carotenoids함량은 색소원 무침가구에 비해 색소원을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Porphyra powder 첨가구와 Spirulina powder 첨가구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피라미 표피와 지느러미의 총 carotenoids 함량은 Spirulina powder 첨가구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첨가구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버들붕어 및 피라미 지느러미의 붉은색은 paprika extract와 yeast astaxanthin 첨가구가 다른 원료 첨가구들보다 외관상으로 더 선명하게 관찰되었다.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Reproductive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Paradise Fish, Macropodus chinensis (Pisces; Belontidae) in Aquarium)

  • 송호복;최신석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82-294
    • /
    • 2000
  • 버들붕어, M. chinensis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은 수표면에 기포소를 만들고 세력권을 형성하였으며, 암컷을 기포소 밑으로 유인한 후, 180$^{\circ}$ 회전한 자세로 산란과 방정을 하였다. 산란 행동은 1${\sim}$3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수컷은 산란직 후부터 자어가 기포소를 벗어날 때까지 보호행동을 하였다. 다양한 수온 조건 중, 28$^{\circ}C$에서 산란 횟수와 산란수가 가장 많았으며, 난의 부화율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은 투명하고 부성이었으며, 물 흡수 후 난의 크기는 0.95${\sim}$1.05 mm, 난황은 0.75${\sim}$0.80mm였다. 수온 26.0${\pm}$1$^{\circ}C$에서 난할은 약 15분 간격으로 진행되었으며, 42${\sim}$44시간만에 부화되었다 (전장 3.0${\sim}$3.2 mm). 부화 후 4${\sim}$5일 (전장 4.5${\sim}$5.4 mm)부터 먹이를 섭취하고 기포소 밖으로 흩어져 독립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약 40${\sim}$45일 (전장 18.2${\sim}$23.5 mm)에는 치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90~110일에는 전장이 37.4${\sim}$48.2mm로 체형이 성어와 같아지고, 45.0 mm 이상의 개체들은 이차성징이 나타나 성구별이 가능하였으며, 전장 50.0 mm 전, 후에 달하는 약 120일 이후에는 산란에 이르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