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mill sludg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79초

제지폐수 벌킹제어를 위한 미생물 적용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Microorganism to Control the Bulking of Paper Mill Wastewater)

  • 이성호;조준형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3호
    • /
    • pp.32-37
    • /
    • 2002
  • The paper mill wastewater actually generating bulking was used to apply to the spot. Batch and continuous type pilots were used in this study. Optimal time after propagating generation of activated sludge in aeration basin by adding Hoc forming microorganism was 24 and 36hours while optimal time of activated sludge in original aeration basin was 60hours. Showing the difference of sedimentation velocity at 7th day after operating a pilot continuously, SV30 was decreased to 50% at 13th day. COD value in aeration basin with floe forming microorganism was 35mg/L while COD value in original aeration basin was 52mg/L. It wa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Hoc forming microorganism can control the bulking of paper mill wastewater by shortening of recovery time and improving of pollution removal efficiency.

고온성 종균제를 이용한 제지폐수 처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Paper Mill Wastewater with the Addition of High Thermal Microbial Inoculants)

  • 이성호;임택준;조준형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2호
    • /
    • pp.54-60
    • /
    • 2002
  • The Wastewater of toilet paper mill recycling recovered milk carton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ctual mill conditions,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djusted to 12 hours and F/M (Food/Micro-organism) ratio was adjusted to 0.23. Temperature of aeration basin was varied from 2$0^{\circ}C$ to 5$0^{\circ}C$. The change of Micro-organisms and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 were investigated at the varied temperature of basin. Aeration basin using high thermal microbial inoculants showed more removal efficiency of SS, COD than aeration basin using conventional microbial inoculants at high temperature. Floc consolidation of aeration basin using high thermal microbial inoculants added sludge was better than that of sludge from aeration basin using conventional microbial inoculants.

하수슬러지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의 산란 및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wage sludge on the cocoon production and its hatchability of tiger worm(Eisenia fetida))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105-111
    • /
    • 2004
  • 환대 발생 직후의 줄지렁이에 제지슬러지, 농공지역(연천), 농업지역(남해)의 하수슬러지를 급이하였을 때, 104일 동안 줄지렁이가 생산한 난포수는 제지슬러지, 농업지역, 농공지역 순으로 각각 11.8, 8.6, 3.5개/마리였다. 그리고 제지슬러지를 급이한 경우는 조사기간동안 꾸준한 산란수를 유지하였으나 농공지역 하수슬러지를 급이한 지렁이는 먹이급이 52일 경과 후, 농업지역 하수슬러지는 먹이 급이 95일후부터 난포를 생산하지 못하였다. 환대 발생 직후의 줄지렁이에 농공지역(연천), 농업지역(남해)의 하수슬러지 및 제지슬러지를 급이하여 산란된 난포의 부화율은 각각 42.8, 38.3, 39.2%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연천하수슬러지와 남해하수슬러지를 급이한 경우 먹이 급이 46일, 43일 이후에 생산된 난포에서는 전혀 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화기간은 33.8~36.0일로 먹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하수슬러지 및 제지슬러지를 급이한 후 생산된 난포에서 부화된 유충에 계속하여 하수슬러지 및 제지슬러지를 급이하였을 때, 먹이 급이 60일경과 후 지렁이의 치사율이 제지슬러지에서는 16%, 농업지역 하수슬러지에서는 90%, 농공지역 하수슬러지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 PDF

신문용지 및 인쇄용지 슬러지의 무기성분 및 수용성 이온 분석 (The Analysis of Inorganic Compounds and Water Solubles Ions in Paper Mill Sludges from NewsPaper and Printed Paper)

  • 윤수영;김운정;김미선;김문성;박종문;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2호
    • /
    • pp.30-34
    • /
    • 2014
  • To apply paper mill sludges to soil as fertilizer, paper mill sludges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suitability and maleficence for soil. Newspaper and Printed Paper sludge were analyzed by IC (Ion Chromatography) and ICP-OES (Induced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As a results, harmful materials in two types of sludges were below standard by notified Ministy of Environment (ME). Also ionic substances causing the water pollution in sludges were less than the standard value by notified ME. Thus sludges from newspaper and printed paper is presumed that there are no water pollution and soil contamination.

순산소 활성오니 공정을 이용한 제지폐수의 처리특성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Paper-mill Wastewater Using Pure Oxygen Activated Sludge Process)

  • 김성순;정태학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4
    • /
    • 1999
  • An experimental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aper-mill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pure oxygen activated sludge process was conducted. The effects of hydraulic retention time(HRT) and BOD loading on organic removal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The BOD removal efficiencies were above 90% under all examined HRTs except for HRT of 3 hours. The increase of HRT from 3 hours to 6 hours, and to 12 hours significantly improved BOD and COD removal efficiencies, respectively. However, additional increase of HRT did not affect organic removal efficiency. F/M ratio change at fixed HRT did not affect organic removal efficiency. However, F/M ratio investigated in this study(0.11~1.98kgBOD/kgMLVSS/day) was 5 times greater in maximum than that of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which implies that pure oxygen activated sludge process can treat wastewater with high organic strength. Under the same HRT, the volumetric BOD loading change cause no effect on organic removal efficiency also.

  • PDF

제지(製紙)슬러지와 슬러지 시용토양중(施用土壤中)의 유해성분(有害性分)에 관하여 (On the Harzadous Components of Paper Mill Sludge and Sludge Treated Soil)

  • 이규승;최종우;조정례;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94-200
    • /
    • 1992
  • 제지슬러지를 퇴비(堆肥) 등 유기물자원(有機物資源)으로이용하기 위하여 44점의(點) 제지슬러지를 제지회사에서 직접 채취하여 슬러지 중의 중금속 성분과 $PCB_s$ 함량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Kraft지슬러지와 판지(板紙)슬러지를 이용한 농가포장(農家圃場) 토양중의 중금속함량을 무시용(無施用) 토양과 비교하여 보았으며 중요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슬러지 중에서는 납이 평균(平均) 14.5-25.7ppm으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l, Cd, Cu, Fe, 및 Zn 등은 일반토양중 함량과 비교하여 큰 문제가 없는 수준이었으며, Cr과 Hg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2. Kraft지, 판지(板紙), 신문용지(新聞用紙)슬러지 중의 $PCB_s$ 함량을 조사해 본 결과, kraft지와(紙) 판지(板紙) 슬러지에서는 10ppb 이하로서 거의 무시할 수준이었으며, 신문용지 슬러지에는 다소간 존재하였으나 $PCB_s$ 총량(總量)을 정량하지는 못하였다. 3. 제지슬러지 시용토양중의 금속성분함량은 무처리토양과 비교하여 유의성있는 증가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함량은 토양중 평균함량범위 이내였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지슬러지의 토양환원은 현단계에서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고 평가할 수 있다.

  • PDF

제지슬러지의 혐기메탄발효 (Methane Fermentation of the Paper Mill Sludge under Anaerobic Condition)

  • 최종우;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7
    • /
    • 2004
  • 제지공장의 슬러지를 활성오니슬러지와 집수조슬러지로 나누어 C/N율, 메탄발효폐액 첨가 그리고 몇몇 첨가제를 처리하고 발생한 혐기발효가스 중 메탄함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처리효과를 조사해 보았다. 1. 활성오니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메탄발효의 최적 C/N율은 60으로 이전의 다른 재료들과는 다른 경향이었다. 2. 혐기발효 폐액의 첨가로 메탄함량 40% 도달 시간은 약 2일정도 앞당겼지만, 10일간의 총 메탄발생량은 1/8 수준으로 적었다. 3. 첨가제중 sodium sulfide와 ethylacetate의 처리효과는 발효폐액 첨가구에서 뚜렷하였고, 무첨가구에서도 sodium sulfide는 1.3배의 메탄생성 증가에 기여하였다. 4. 황화수소가 제거된 제지슬러지에서는 메탄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고, sodium sulfide가 첨가된 처리구에서는 메탄생성이 증가되었기에 제지슬러지 메탄발효에서 황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고품질의 돈분 퇴비를 위한 합리적인 퇴비화 조건 개발 (Development of the Optimal Composting Condition for the High Quality of Pig manure compost)

  • 장기운;유영석;민경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4호
    • /
    • pp.112-117
    • /
    • 2002
  • 본 연구는 고품질의 퇴비 생산을 목적으로 건조된 제지슬러지와 톱밥을 돈분에 혼합하여 합리적인 퇴비화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돈분은 톱밥과 건조 제지슬러지보다 비교적 높은 질소함량으로 인한 낮은 C/N율과 과다한 함수율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건조 제지슬러지와 톱밥을 첨가하여 퇴비더미의 C/N율과 수분함량을 조절하였으며, 퇴비화 방식은 교반 정체식을 이용하였다. 퇴비화 초기 혼합된 퇴비더미의 물리적 특성 때문에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았으나 곧 회복되었다. 돈분과 톱밥을 혼합한 P-2 처리구(56.6 : 43.4)는 퇴비화 시작 후 5일 이내에 퇴비더미의 온도가 $60^{\circ}C$에 도달했으며, 그 때 P-2의 수분함량은 58%이었다. 모든 처리구의 pH는 퇴비화 진행과정에서 미약하게 감소하였다. 짧은 퇴비화 기간 때문에 T-C와 T-N의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T-C의 감소율은 5~12% 범위였다. 5개의 돈분 처리구에서 합리적인 퇴비화 조건을 고려하면 최적의 수분함량은 57%이었고 팽화제로써 톱밥을사용하는 것이 건조 제지슬러지를 처리하는 것보다 퇴비의 품질면에서 우수하였다.

  • PDF

제지공장 슬러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육묘 포트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Seedling Pots Made of Paper Mill Sludges)

  • 이지영;김철환;이경선;조후승;남혜경;박형훈;문선옥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5호
    • /
    • pp.9-18
    • /
    • 2014
  • London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s and other matter prohibits the deliberate disposal of paper mill sludges at sea. In order to explore the alternative plan on the prohibition of sludge disposal at sea, the biodegradable seedling pot was developed by mixing the sludge with old newspaper (ONP) in appropriate mixing ratios. The C/N ratio of the mixed sludge was below 20, leading to rapid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matters composing the seedling pot. The increased ONP contents in the seedling pot resulted in the increase of pot thickness and thereafter in the decrease of pot density. Cellulose fibers in ONP promoted water absorption of the pot but AKD addition helped the seedling pot to repel water during raising seedling. Breaking length and burst strength of the seedling pot were improved by addition of wet strength additives but air permeability was a little diminished. Biodegradable rate of the seedling pot in a soil was accelerated by the attack of soil microbes at the beginning, and finally the pot was completely degraded in 150 days in a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