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oramic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36초

소아의 구강저에 발생한 타석증 (SIALOLITHIASIS ON THE MOUTH FLOOR IN A CHILD)

  • 이효설;최병재;최형준;김성오;손흥규;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4-118
    • /
    • 2009
  • 타석증은 대, 소타액선의 도관내에 석회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이다. 타액의 점도가 높고 도관이 길고 구부러진 악하선에서 가장 호발한다. 어떤 나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중년에서 호발하며 어린이에서는 드물다. 타석증의 임상 증상은 다양하지만, 부종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이 동통이다. 임상 검사와 방사선 검사(파노라믹 방사선 사진, 하악 교합면 방사선 사진, 타액선 조영술, 구강 내 및 구강 외 초음파, CT, MRI, 타액선 내시경)가 타석증의 진단 및 타석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치료는 도관의 절개에 의한 타석의 제거나 타액선의 절개를 포함하는 수술적 치료가 많다. 그러나, 일부는 쇄석술과 $CO_2$ 레이저, 내시경 등의 비침습적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5세 여환이 구강저의 노란색 물질을 주소로 개인 병원에서 의뢰되었다. 4개월 전 처음 발견했을 때보다 3배 더 커졌으며 때때로 동통이 있었다고 하였다. 임상 검사 상, 노란색의 단단한 물질이 악하선 도관의 입구에서 관찰되었다. 와튼스 도관의 전방부에 발생한 악하선 타석증으로 진단내렸다. 국소마취하에 타석을 적출하였다.

  • PDF

제1대구치 지연 발육의 임상 양상 및 선천성 결손치와의 연관성 (Clinical Features and Correlation With Congenital Missing Teeth of Delayed First Permanent Molar)

  • 이명연;이효설;송제선;이제호;최병재;김성오;김승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6-63
    • /
    • 2017
  • 국소적, 전신적 요인을 동반하지 않는 제1대구치의 맹출 지연은 해당 치아의 발육 지연을 동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의 임상적 양상 및 동반하는 다른 치아의 발달 이상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국소적 요인이 없이 제1대구치 맹출 지연을 보이는 건강한 어린이 40명의 파노라마방사선 사진 분석을 시행하였다. 2명의 평가자가 Nolla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치아의 발육지연 여부, 해당 분악의 제2대구치 발육 이상 여부 및 제3대구치를 제외한 다른 치아의 선천적 결손 여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은 상악에서 호발하였고, 여성에게서 양측성 이환, 남성에게서 편측성 이환이 많이 관찰되었다.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이 있는 환아는 유의하게 높은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이환된 분악의 제2대구치는 모두 발육 지연 혹은 선천적 결손의 이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은 다른 치아의 선천적 결손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구 측절치 발육 이상과 치아 맹출 장애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evelopmental Anomalies of Permanent Lateral Incisors and Tooth Eruption Disturbances)

  • 김민지;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8-139
    • /
    • 2020
  • 이 연구는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세부터 13세 사이의 3984명 환자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조사하여, 측절치 발육 이상과 맹출 장애의 빈도 및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측절치 발육 이상의 유병률은 10.0%였으며, 선천적 결손(66.1%), peg-shape 측절치(33.5%)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영구치 맹출 장애의 유병률은 15.9%였으며, 상악 견치(29.7%)에서 가장 호발하였고, 상악 중절치(24.7%)에서도 높은 빈도를 보였다. 측절치 발육 이상이 관찰된 환자 중 30.8%에서 맹출 장애가 관찰되었는데, peg-shape 측절치(p < 0.001), 발육 저하된 측절치(p < 0.001) 그리고 치내치(p = 0.004)의 존재가 맹출 장애 발생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Peg-shape 측절치와 치내치가 관찰된 환자는 상악 견치의 맹출 장애가 높은 빈도를 보였고, 발육 저하된 측절치를 가진 환자는 상악 중절치의 맹출 장애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측절치 발육 이상이 관찰되는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맹출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측절치 발육 이상과 맹출 장애 간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최적의 시기에 적합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자연치 치간거리의 평가 (Evaluation of interdental distance of natural teeth with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 오상천;공현준;이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78-283
    • /
    • 2017
  •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이상적인 임플란트 근원심적 식립 위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사용하여 건강한 자연치열에서 백악-법랑 경계부와 치조골 흡수를 가정한 그 하방 2 mm에서 전치, 소구치, 대구치의 치간거리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cone-beam CT를 촬영한 건강한 치열의 200명 환자를 선정하였다. Cone-beam CT 이미지를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파일로 전환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였고, cone-beam CT 이미지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head reorientation을 시행한 후,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재구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었다. 모든 계측은 3명의 치과의사에 의해 최적화된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백악-법랑 경계부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1.84 mm, 소구치 2.07 mm, 대구치 2.08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55 mm, 소구치 2.20 mm, 대구치 2.36 mm였다. 백악-법랑 경계부 하방 2 mm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2.19 mm, 소구치 2.51 mm, 대구치 2.60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86 mm, 소구치 2.53 mm, 대구치 3.01 mm였다. 결론: 자연치열에서 치간거리는 전치부보다는 구치부에서 더 컸으며, 백악-법랑 경계부보다 그 하방 2 mm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전 치열에서 가장 좁은 곳은 하악 전치, 가장 넓은 곳은 하악 대구치였다.

Hemodynamic changes associated with a novel concentration of lidocaine HCl for impacted lower third molar surgery

  • Ping, Bushara;Kiattavorncharoen, Sirichai;Durward, Callum;Im, Puthavy;Saengsirinavin, Chavengkiat;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3호
    • /
    • pp.121-128
    • /
    • 2015
  • Background: The authors studied the hemodynamic effect influent by using the novel high concentration of lidocaine HCl for surgical removal impacted lower third mol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modynamic change when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idocaine in impacted lower third molar surgery. Methods: Split mouth single blind study comprising 31 healthy patients with a mean age of 23 years (range 19-33 years). Subjects had symmetrically impacted lower third molars as observed on panoramic radiograph. Each participant required 2 surgical interventions by the same surgeon with a 3-week washout period washout period. The participants were alternately assigned one of two types of local anesthetic (left or right) for the first surgery, then the other type of anesthetic for the second surgery. One solution was 4%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and the other was 2%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A standard IANB with 1.8 ml volume was used. Any requirement for additional anesthetic and patient pain intra-operation was recorded. Post-operatively, patient was instructed to fill in the patient report form for any adverse effect and local anesthetic preference in terms of intra-operative pain. This form was collected at the seven day follow up appointment. Results: In the 4% lidocaine group, the heart rate increased during the first minute post-injection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rterial blood pressure during the operation. In the 2% lidocain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the first minute following injection for every procedure. When the hemodynamic change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the 4% lidocain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arterial blood pressure compared to the 2% lidocaine group following injection. Post-operatively,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by the operator and patient in either local anesthetic group. Patients reported less pain intra-operation in the 4% lidocaine group compared with the 2% lidocaine group (P < .05).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a 4% concentration of lidocaine HCl with 1:100,000 epinephrine has better clinical efficacy than 2% lidocaine HCl with 1:100,000 epinephrine when used for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third molars. Neither drug had any clinical adverse effects.

두개하악장애환자의 교합안정장치에 의한 치료후 Sonopak을 이용한 악관절음 변화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s before and after Occlusal Splint Therapy Using Electrovibratography)

  • Hye-Sook Park;Jong-Hoon Choi;Chang-Seo Par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67-78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MJ sounds by means of vibration-related items by Sonopak such as integral, high integral, above 300/(0-300) ratio, peak amplitude, peak frequency and median frequency before and after occlusa1 splint therapy as well as counselling, physical modalities. For this study 22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CMDs) were selected and examined by routine diagnostic procedure for CMDs including Transcranial and Panoramic radiographs and were classified into 3 CMDs subgroups :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 Visual analogue scale (VAS) about joint sound was recorded during treatment period and VAS treatment index (VAS Ti) was calculated from the VAS data and treatment duration. The author evaluated and compared treatment results by several parmeters such as symptom duration, timing of joint sound, parafunctional habits, trauma, and diagnostic classific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Before the treatment, the highest value of peak amplitude was observed in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and value of median frequency was highest in degenerative joint disease group. In addition the highest values of peak frequency and ratio ware observed in degenerative joint disease group, 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lowest value of high integral was observed in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group and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value of integral was lowest in that group. 2. Among 3CMDs subgroups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showed the significantly decreased value of high integral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 group had the significantly decreased value of integral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occlusal splint therapy. Conclusivel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occlusal splint therapy vay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MDs including TMJ sound. 3. Fair prognosis for conservative treatment was observed in acute group under 6 months than chronic group, 6 months over in symptom dur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 for conservative treatment was observed slightly poor in subjects with bruxism, clenching, unilateral chewing habit and trauma history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 PDF

제1대구치의 맹출지연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N THE DELAYED ERUPTION OF 1ST MOLARS)

  • 김주미;황보민;김주영;음종혁;이애련;김신;서수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55-560
    • /
    • 1994
  • Among the permanent teeth. the first permanent molars play the greatest role in occlusion and function. So, the congenital missing, abnormal reuption or abnormal forma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s in the course of arch development would inflict normal development of dental arches. Therefore, early detection of abnormal cases related to first permanent molars and understanding of current and predictable clinical problems are essential for proper occlusal guidance in children.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clinical patterns of delaye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in children, panoramic tomograms of the childern in mixed and early permanent dentition were observ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delaye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on tooth or bilateral teeths were affected most frequently. Delayed eruption was more prevalent in maxilla than in mandible. 2. The formation of tardily erupted teeth were also delayed. 3. Delayed eruption was generally limited in first molars or molar segments. 4. Delaye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is accompanied by abnormal position of tooth germs, for example, ectopic eruption, delayed dental age, delayed localized tooth formation and generalized congenital missing. 5. There was a tendency of delayed formation or congenital missing of second molars distal to tardily erupted 1st molars. And that was more marked in maxilla than in mandible. 6. There was reported that affected 1st molars show various size and shapes. Maxillary 1st molars showing delayed eruption showed a tendency of having 3 cusps. But, tardily erupted mandibular 1st molars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in mesiodistal dimension, as reported. 7. In some cases, the delayed eruption of 1st permanent molars was associated with ectopic eruption, but their formation was not usually retarded. 8. In skeletal class III cases, there showed a tendency of mandibular 1st molars to erupt earlier than maxillary 1st molars with greater interval than in normal occlusion.

  • PDF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Potential as a Geological Field Course of Mt. Geumdang located in Gwangju, Korea)

  • 안건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8
    • /
    • 2013
  • 본 연구는 대도심에 위치하는 야산을 지질학습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사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높이 305 m의 금당산을 대상으로 인문 및 자연지리, 지질학적 특성, 지형요소, 경관, 야외학습을 위한 편의성 등을 검토하였다. 금당산 주변의 반경 5 km 이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62만 명 정도이며, 이 중 학생과 교원은 약 17만 명이다. 연구지역은 강수일이 적고, 온화한 날씨가 많아 학습장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금당산에 접근하는 도로망과 대중교통도 매우 편리하다. 금당산에서는 다양한 암석과 지질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연구지역의 기반을 이루는 광주화강암은 중생대 쥐라기의 심성암체이다. 이 지역에는 백악기의 그래노파이어(미문상화강암)와 층상응회암, 라피리응회암, 유문암과 같은 여러 가지 화산암이 분포한다. 다양한 중성 및 산성 암맥이 절리를 따라 관입하고 있다. 금당산에는 U자형의 지형, 다양한 크기와 방향의 절리, 단층, 엽리, 나마, 토르, 단애, 그루브, 암괴류, 암괴원, 풍화층과 새프롤라이트와 같은 다양한 지형요소가 있다. 금당산 주능선에서는 무등산 전체 모습과 시가지 전경, 풍암 호수와 월드컵경기장, 일출과 석양과 같은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지질학과 연계할 수 있는 생태학습 시설이나, 야외학습을 위한 편의시설이나 응급의료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다. 결론적으로 금당산은 지질학습장으로서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가족력을 보이는 쇄골두개 이형성증에 관한 증례보고 (CLEIDOCRANIAL DYSPLASIA WITH FAMILIAL HISTORY - A CASE REPORT)

  • 황지영;최성철;이긍호;김광철;박재홍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2-87
    • /
    • 2008
  •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3명의 환자는 외할어버지를 통해 격세 유전된 가족력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 및 방사선 검사에서 관찰되는 특징들을 바탕으로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되었으나 쇄골의 기능과 형태적인 면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인한 증상들은 환자마다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므로 이 질환으로 인한 여러 가지 골격적 변화 및 특징들에 관한 기본적 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며 비슷한 골격적 특징을 나타내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도 필요하다.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유전자검사 하는 것이 추천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를 치료할 경우 기능적, 심미적으로 원만한 치료 결과를 위하여 적절한 시기에 과잉치를 발치 한 후 공간유지장치를 사용해야 하며 보철치료 및 교정치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자의 협조도와 더불어 여러 분야의 협진적 치료가 필요하다.

  • PDF

In situ investigations into mining-induced overburden failures in close multiple-seam longwall mining: A case study

  • Ning, Jianguo;Wang, Jun;Tan, Yunliang;Zhang, Lisheng;Bu, Tengte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4호
    • /
    • pp.657-673
    • /
    • 2017
  • Preventing water seepage and inrush into mines where close multiple-seam longwall mining is practiced is a challenging issue in the coal-rich Ordos region, China. To better protect surface (or ground) water and safely extract coal from seams beneath an aquif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height of the mining-induced fractured zone in the overburden strata. In situ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panels 20107 (seam No. $2-2^{upper}$) and 20307 (seam No. $2-2^{middle}$) in the Gaojialiang colliery, Shendong Coalfield, China. Longwall mining-induced strata movement and overburden failure were monitored in boreholes using digital panoramic imaging and a deep hole multi-position extensometer. Our results indicate that after mining of the 20107 working face, the overburden of the failure zone can be divided into seven rock groups. The first group lies above the immediate roof (12.9 m above the top of the coal seam), and falls into the gob after the mining. The strata of the second group to the fifth group form the fractured zone (12.9-102.04 m above the coal seam) and the continuous deformation zone extends from the fifth group to the ground surface. After mining Panel 20307, a gap forms between the fifth rock group and the continuous deformation zone, widening rapidly.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inuous deformation zone cracks and collapses into the fractured zone, extending the height of the failure zone to 87.1 m. Based on field data, a statistical formula for predicting the maximum height of overburden failure induced by close multiple seam mining i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