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demic

검색결과 2,272건 처리시간 0.028초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among pediatric patients hospitaliz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infection

  • Lee, Eun;Seo, Ju-Hee;Kim, Hyung-Young;Na, Shin;Kim, Sung-Han;Kwon, Ji-Won;Kim, Byoung-Ju;Hong, Soo-J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8호
    • /
    • pp.329-33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 features and outcomes among children hospitaliz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infe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hospitalized pediatric patients (<18 years) diagnos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infection by 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between September 2009 and February 2010. Results: A total of 72 children were hospitaliz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2009 infection (median age, 6.0 years; range, 2 months to 18 years). A total of 40% had at least 1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including asthma (17%), malignancies (19%), and heart diseases (17%). Of the 72 patients, 54 (76%) children admitted with H1N1 infection showed radiographic alterations compatible with pneumon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existing conditions between pandemic influenza A/H1N1 infected patients with or without pneumonia. Children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pneumonia were more likely to have a lower lymphocyte ratio (P=0.02), higher platelet count (P=0.02), and higher level of serum glucose (P=0.003), and more commonly presented with dyspnea than did those without pneumonia (P=0.04). Conclus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or presence of preexisting conditions were found between children hospitalized with pandemic influenza A/H1N1 H1N1 influenza infection with pneumonia and those without pneumonia. Higher leukocyte count, higher glucose level, and a lower lymphocyte ratio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andemic A/H1N1 2009 influenza pneumonia.

COVID-19 대유행기에 나타난 서울시 고령층의 통행격차 - 사회경제적 요인과 공간적 요인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의 차이를 중심으로- (Travel Disparity among the Elderly in Seoul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Period: Differences in Destination Diversific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

  • 이재건;손정렬
    • 지역연구
    • /
    • 제37권4호
    • /
    • pp.75-93
    • /
    • 2021
  • 본 연구는 목적지 다변화 정도를 기준으로 통행격차를 정의하고, 사회경제적 요인과 공간적 요인이 고령층의 통행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한 동시간대에서의 통행격차를 분석하기 위해 통행집단 간 반응의 차이를 유도할 수 있는 COVID-19를 자연실험의 사례로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 서울시 지하철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COVID-19 이전의 통행격차(2018~2019)와 이후의 통행격차(2019~2020)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침시간대(4:30-9:00)의 경우, 거주지의 중심성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 격차가 COVID-19 전후로 변함없이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기능이 도심에 집중되어있는 불균등한 도시공간구조로 인해 COVID-19 이전부터 서울의 중심부와 주변부 간에 목적지 다변화 격차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한편 오전시간대(9:00-12:00)의 경우, COVID-19 이전에는 별다른 격차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이후에는 교육수준과 거주지의 접근성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 격차가 새롭게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과 거주지의 중심성이 높을수록 이용할 수 있는 도시 어메니티가 다양하고 목적지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지만, COVID-19 이전에는 목적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여가통행의 특성상 선택의 폭 차이가 목적지 다변화 격차로 이어지지 않았다. 반면 COVID-19 이후 제약환경 하에 새로운 목적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선택의 폭이 목적지 다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기에 나타난 동시간대에서의 통행격차가 COVID-19 이전부터 사회경제구조와 도시공간구조에 의해 형성되어온 선택의 폭 차이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초·중·고등학생의 가구소득별 에너지 및 다량영양소 섭취: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22) 자료 활용 (Intake of energy and macronutrient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tudy)

  • 정채은;이희진;이정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4-252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intake of energy and macronutrient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before the COVID-19 pandemic (2016-2019), during the social distancing period (2020-2021), and after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were lifted (2022). Methods: We included 5,217 students aged 5-18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onducted between 2016 and 2022.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one-day 24-hour dietary recalls. We estimated the least squares means (LS-means) of intake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for each period using a weighted linear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age and sex. Differences in LS-means between the periods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Results: During the social distancing period, the LS-means of energy intake among students decreased significantly by 143.2 kcal/day compared to pre-pandemic levels (P < 0.001).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experienced a more pronounced decrease in energy intake (-379.1 kcal/day, P < 0.001) and macronutrient intake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income groups. Energy intake at school significantly declined for all income groups during the social distancing period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No significant changes in home energy intake were observed among low-income students, whereas there was an increase for students from higher-income groups. Before the pandemic, 8.5% of students from low-income households reported insufficient food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is figure rose to 21.3% during the pandemic. Conclusions: During the pandemic,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experienced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energy and macronutrients compared to pre-pandemic levels. The most substantial reductions were noted among low-income students, largely due to the lack of compensation for decreased school-based intake with increased intake at home.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탐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실시된 일본 내각부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work arrangements and new lifestyl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based on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abinet Office)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87-10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두 시기(코로나19 팬데믹 직후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의 일하는 방식, 지방 이주에 대한 관심, 생활만족도 등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일본 내각부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직후(2020년 5월)부터 4차례에 걸쳐 실시한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생활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관한 조사』 데이터이다. 제1회 조사 및 제4회 조사에 모두 응답한 응답자 중에서 20세 이상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권 거주자가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텔레워크 중심'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비율은 36.1%로 전국의 응답과 비교해서 높다. 둘째, 이들은 텔레워크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사람과 유연근무를 경험한 사람이 지방 이주에 대해 매우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출근 중심으로 일한 사람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텔레워크 경험자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감소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에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지방 이주를 촉진하면서 지역 활성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모색하는 돌파구로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COVID-19 판데믹 시기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일상생활 제한인식: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 분석 (Lifestyle changes and perceived restrictions in daily lif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alysis of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 송인명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09-118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판데믹 기간 동안 라이프스타일 행동변화 정도, 일상생활 제한인식, 그리고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들이 판데믹 기간 동안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라이프스타일 행동 범주(신체적 활동, 수면기간, 음주, 흡연, 사회적 접촉, 대중교통수단 이용, 음식배달, 인스턴트음식 소비) 별로 일상생활의 제한인식 정도를 산출하였다. 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하여 행동변화와 제한인식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227,808명의 조사대상자 중 56.70%가 판데믹 기간 동안 자신들의 일상생활이 절반이상 제한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신체적 활동, 사회적 접촉, 대중교통 이용을 감소시켰다(각각 52.71%, 89.70%, 63.74%). 신체적 활동, 수면시간, 사회적 접촉의 빈도를 줄이거나 음주빈도, 음식배달 및 인스턴트 식품섭취를 늘린 개인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일상생활에 대해서 보다 더 제한받았다고 인식하였다(p<0.001). 결론적으로 사회적 접촉과 신체적 활동의 감소 및 배달음식 이용 및 인스턴트 음식 소비의 증가는 판데믹 기간 중 일상생활에 대한 제한 인식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판데믹 기간 동안 사람들이 느낄 일상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심리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수반해야 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의 구조 모형 (A Structural Framework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고동우;서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351-389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에 처한 사람들이 심리적 수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결과적으로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구조적 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팬데믹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잠정적인 분석의 틀을 설정한 후, 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방향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 성인 6명으로부터 인터뷰 자료를 구하였고, 근거이론의 절차를 부분적으로 차용한 내용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변화 과정의 패러다임 구조 모형을 확장, 도출하였다. 이 패러다임 구조 틀은 '원인적 조건 ⇨ 중심 현상 ⇨ 연쇄적 결과'로 이어지는 심리학적 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고, 개인의 심리적 특성 범주를 '중개 조건'으로 추가한 패러다임 형태로 묘사되었다. 팬데믹 위기와 사회적 거리두기 및 결정적 사건 등이 '원인적 조건' 범주에 해당되고, '중심 현상' 범주는 긍정/부정/복합적 심리 경험을 포함하고, '연쇄적 결과' 범주에는 가치관/행동양식 변화 등이 분류되었다. 중개조건 중 '맥락조건'으로서 직장과 가족관계 특성이 확인되었고, '조절적 중개 조건'으로서 공동체책임의식, 여가능력 및 긍정심리자본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전, 후의 응급실로 내원한 중독 환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isoning patient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기승재;조용일;강형구;임태호;오재훈;고벽성;이준철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6-7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cute poisoning patients visiting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s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Methods: This nationwide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acute poisoning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s between February 1 to December 31, 2020, which has been determined as the pandemic period. The same periods in 2018 and 2019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periods. The primary outcome assessed was the length of stay in emergency departments (EDLOS). The secondary outcomes examined were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rate and in-hospital mortality rate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for inpatients and intentional poisoning patients. Results: A total of 163,560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uring the pandemic, the proportion of women increased from 50.0% in 2018 and 50.3% in 2019 to 52.5% in 2020. Patients aged 20-29 years increased from 13.4% in 2018 and 13.9% in 2019 to 16.6% in 2020. A rise in cases of intentional poisoning was also noted - from 33.9% in 2018 and 34.0% in 2019 to 38.4% in 2020. Evaluating the hospitalized poisoned patients revealed that the EDLOS increased from 3.8 hours in 2018 and 3.7 hours in 2019 to 4.2 hours in 2020. ICU admissions were also markedly increased (2018, 48.2%; 2019, 51.8%; 2020, 53.2%) among hospitalized patients.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the epidem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cute poisoning patients visiting nationwide emergency departments in Korea. The proportion of young adults, women, and intentional poisoning patients has increas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Prolonged length of stay at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an increased rat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were determined in hospitalized acute poisoning patients.

Physical activities due to the social distancing could change the serum lipid levels between the pre-and post-COVID-19 pandemic on Jeju Island

  • Oh-Sung Kwon;Young-Kyu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47-154
    • /
    • 2024
  • 코로나바이러스질병-2019 (COVID-19) 대유행은 감염병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서 신체적 활동들을 변화시켜 왔다. 그러한 제한으로 인해서 신체활동과 혈청의 지질 수치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내에서 COVID-19 대유행 전과 후에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서 혈청 내의 지질 수치들과 신체적 활동의 변화들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18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제주도에 소재한 단일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시행한 총 5,373명의 대상자들이 포함되었다. 그들이 검진한 날들을 기준으로 두 군(COVID-19 전과 COVID-19 후)으로 나누어서 임상 변수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임상적 변수들 중에서 평균연령 (P<0.014), HDL-콜레스테롤 (P=0.001), LDL-콜레스테롤 (P=0.039), 총콜레스테롤 (P<0.001)의 평균 수치들, 복부 비만 (P<0.001), 유산소 운동 (P=0.003), 신체활동 (P=0.008)을 가진 대상자들의 비율들이 코로나 대유행 전과 비교해서 더 높았다. 비록 제주도 내의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신체활동이나 유산소 운동을 하는 대상자들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복부비만이나 이상지질혈증을 가진 대상자들의 비율이 COVID-19 대유행 이전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그 시기에 높았다.

A Study on Predicting Changes of Future Advertis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 Ahn, Jong 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137-147
    • /
    • 2020
  • The Corona 19 pandemic is bringing a big change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nvironment, ecosystem, science and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ctivities and advertising.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we predict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advertising and the types of future advertising will change, and we studied countermeasures. We used, a method of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and the Delphi Survey method predicting the future, as a research method. As expert Panel, the subject of the Delphi technique survey, we recruited 30 experts in the field of advertising and future fields with professional insight. We study to predict how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advertising and the types of future advertising will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dvertising environment such as social changes, business changes, and consumer changes after the Corona 19 pandemic.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hanges in future advertis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epare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advertising experts. Therefore, we suggested countermeasures so that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advertising experts can understand and respond for future advertising changes.

일 지역 보건계열 대학생의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예방접종 실태 및 영향 요인 (Status of and Factors Influencing Vaccination against the Pandemic (H1N1) 2009 Virus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Fields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 김옥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03-41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vaccination against the pandemic (H1N1) 2009 virus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fields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from a local community and verify factors influencing vaccination. Methods: The study included 227 students in the fields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from a provincial university. Data were obtained from these participants between May 31 and June 11, 2010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rate of vaccination against the pandemic (H1N1) 2009 virus for these participants was 14.5%.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is regard between majors and school year. Factors that influence vaccination against this virus included previous vaccination against seasonal influenza and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general vaccin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or effective pandemic (H1N1) 2009 vacc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fields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students who have not been vaccinated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Developing a vaccination program that encourages a positive attitude toward vaccination is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