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creatic ducts/abnormaliti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Relationship between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nd Pathologic Inflammation of Bile Duct in Choledochal Cyst

  • Park, So Won;Koh, Hong;Oh, Jung-Tak;Han, Seok Joo;Kim, Se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3호
    • /
    • pp.170-177
    • /
    • 2014
  • Purpose: Choledochal cyst is a cystic dilatation of common bile duct. Although the etiology is presently uncertain,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PBDU) is thought to be a major etiology of choledochal cys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logi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choledochal cyst in a single institute for 25 years. Methods: A total of 113 patients, diagnosed with choledochal cyst and who received an operation in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from January 1988 to May 2013,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including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surgical procedures. Abdominal ultrasonography,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intraoperative cholangiography were used as diagnostic tools for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choledochal cyst and the presence of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Todani's classif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APBDU and surgical pathology. Results: Among 113 patients, 77 patients (68.1%) presented symptoms such as hepatitis, pancreatitis and/or cholecystitis. Eighty three patients (73.5%) had APBDU, and 94 patients (83.2%) showed inflammatory pathologic changes. APBDU, pathologic inflammation, and serological abnormalities such as hepatitis or pancreatit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one another. Conclusion: APBDU is thought to be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of choledochal cyst. It is related to the inflammatory changes in bile duct that can lead to the cystic dilatation.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