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creatic

검색결과 1,493건 처리시간 0.034초

췌십이지장 손상에서의 응급췌십이지장절제술 (Emergency Pancreaticoduodenectomy for Severe Pancreaticoduodenal Injury)

  • 박인규;황윤진;권형준;윤경진;김상걸;천재민;박진영;윤영국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115-121
    • /
    • 2012
  • Purpose: Severe pancreaticoduodenal injuries are relatively uncommon, but may result in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especially when management is not optimal, and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reatment is often difficul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ur experience and to evaluate the role of a pancreaticoduodenectomy (PD) in treatment of pancreaticoduodenal injuri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16 patients who underwent an emergency PD at our hospital for severe pancreaticoduodenal injury from 1990 to 2011. Demographic data, clinical manifestations, mechanism and severity of the injury, associated injuri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outcomes were review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16 patients was $45{\pm}12years$ ($mean{\pm}standard$ deviation), and 15(93.8%) patients were male. All patients underwent an explorative laparotomy after a diagnosis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lmost all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AST grade higher than III. Thirteen(83.3%) of the 16 patients presented with blunt injuries; none presented with a penetrating injury. Only one(6.3%) patients had a combined major vascular injury. Fifteen patients underwent a standard Whipple's operation, and 1 patient underwent a pylorus-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Two of the 16 patients required an initial damage-control procedure; then, a PD was performed. The most common associated injured organs were the small bowel mesentery(12, 75%) and the liver(7, 43.8%). Complications were intraabdominal abscess(50%), delayed gastric emptying(37.5%), 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31.5%), and postoperative hemorrhage (12.5%). No mortalities occurred after the PD. Conclusion: Although the postoperative morbidity rate is relatively higher, an emergency PD can be perform safely without mortality for severe pancreaticoduodenal injuries. Therefore, an emergency PD should be considered as a life-saving procedure applicable to patients with unreconstructable pancreaticoduodenal injuries, provided that is performed by an experienced hepatobiliary surgeon and the patient is hemodynamically stable.

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의한 염색체이상 (Effect of Radiotherapy on Chromosomal Aberration in Cancer Patients)

  • 전하정;이명자;유명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43-50
    • /
    • 1993
  •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 및 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변이를 비교 관찰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암 환자세포에서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에서 절단점의 분포가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연관관계 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5예의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기 전과 $4000\~7000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끝난 직후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배양후 G-분염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환자마다 방사선치료 전후로 각각 30개씩의 증기상을 관찰하였다. 치료전에 염색체 이상을 나타낸 세포 분열 중기상의 빈도는 $4.93\%$로 정상 대조군 집단의 빈도 $2\%$보다 높았다(p<0.05).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이상 세포의 빈도는 $22.13\%$로 치료전에 비해 매우 중가되었다(p<0.01). 또한 세포 중기상당 이상 염색체의 수도 치료전과 후가 각각 1.49및 2.14로 치료후 증가 되었다(p<0.05). 염색체 이상의 종류는 major chromosomal aberration 특히 구조적 이상의 빈도가 치료전보다 후에 $65.45\%$에서 $88.45\%$로 증가되었고 minor structural abnormality와 수적 변이의 빈도는 감소되었다.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절단점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가 단일 절단점을 가진 이상에 비해 증가되었다. 절단점의 분포에 있어서는 암세포에서 가장 흔한 이상을 나타내는 1번 및 3번 염색체와 절단점의 증가가 암 발생관 연관된다고 보고된 8번 및 11번 염색체에서 본 연구결과 기대치 이상의 절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식은 땀을 호소하는 진행성 암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제제를 이용한 치료 (Non-Steroid Anti-Inflammatory Agents for Management of Cold Sweating in Advanced Cancer Patients)

  • 최혜정;송하나;강정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331-334
    • /
    • 2016
  • 목적: 진행성 암 환자에서 발열이 동반되지 않은, 암성 발한에서 NSAID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방법: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다. 1) 수술적 절제나 항암방사선 치료로 완치가 불가능한 진행성 암 환자 2) 숫자평가등급 4점 이상의 식은 땀을 호소하며 발열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 3) 식은 땀의 원인이 될 만한 감염이 없고, 마약성 진통 및 호르몬 차단제를 현재 최근 1개월 이내 새롭게 사용하지 않는 환자 4) 식은 땀 치료를 위해 NSAID를 사용하고, NRS 평가가 치료 전 후 시행한 환자. 결과: 총 13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남자가 9명(69%)이었고, 평균 59세(범위: 50~71)였다. 암종별 빈도는 담도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치료 전 환자들의 식은 땀은 평균 NRS 6.5 (최소값: 4, 최대값: 10) 이었고, 치료 후에는 NRS 1.9 (최소값: 0, 최대값: 5)이었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9.1일이었다. 결론: 진행성 암 환자에서 열이 동반되지 않은 중등도 이상의 식은 땀 환자에서 NSAID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미역줄나무 뿌리 추출물인 셀라스트롤의 비만관련 암증식 억제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elastrol, A Quinine Methide Triterpene Extracted from the Perennial Vine Tripterygium wilfordii, on Obesity-related Cancers)

  • 박선미;문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9-66
    • /
    • 2016
  • Celastrol은 미역줄나무의 뿌리에서 얻은 추출물로 오래전부터 관절염 및 자가면역 같은 염증반응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쓰여져 왔다. 이외에도 많은 연구들에서 celastrol이 신경보호, 항산화 및 알츠하이머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암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밝혀 졌다(Table 1).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생리학적, 생화학적 및 면역학적 관점에서 celastrol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Fig. 1). 특히, celastrol은 $NF-{\kappa}B$를 억제함으로서 암의 발달 및 전이를 저해함을 물론, 암의 치료에 동반되는 면역 반응을 조절 할 수 있다(Fig. 2). 또한 세포사멸과 관계된 유전자들을 활성화 시키고, 항세포사멸 유전자들을 억제시킴으로서 세포 주기를 조절한다. 유전자 조절 외에도 heat shock protein과 같은 단백질의 변조와 자가소화작용(autophagy)를 유도한다. 이처럼 celastrol의 다양한 효과는 암의 성공적 치료에 한발 더 가까워지게 만든다. 이외에도 celastrol의 항 비만 효과가 알려지면서 향후 비만 및 비만과 연계된 암 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부작용, 오남용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낼 것이라 예상 된다. Celastrol의 다양한 기작이 밝혀짐에도 불구 하고 직접적인 결합 부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으며, 임상적용 하기에 앞서 다양한 동물모델 in vivo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치료 시도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 하기 위해서는 celastrol의 단기간 및 장기간의 효과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제2형 당뇨 모델 KK-Ay 마우스에 대한 발효 녹차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Fermented Green Tea in KK-Ay Diabetic Mice)

  • 이소영;박소림;남영도;이성훈;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88-494
    • /
    • 2013
  • 제2형 당뇨질환모델인 KK-$A^y$를 이용하여 녹차와 발효녹차의 항당뇨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 녹차는 비발효녹차에 비해 높은 항당뇨 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효녹차 섭취군의 혈당은 당뇨 대조군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며, 60일 이후에는 시판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화혈색소값도 8.08%로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간 조직의 DNA microarray 분석결과, 이러한 발효녹차의 항당뇨 활성은 glycolysis 활성화를 통한 glucose 이용율 및 베타세포 function 증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효녹차는 혈중 triglyceride 수치를 낮추고 HDL-cholesterol 수치를 높이는 등 당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질대사이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발효녹차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상업적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Lemakalim, a Potassium Channel Opener, on the Contractility and Electrical Activity of the Antral Circular Muscle in Guinea-Pig Stomach

  • Kim, Sung-Joon;Jun, Jae-Yeoul;Choi, Youn-Baik;Kim, Ki-Whan;Kim, Woo-Gyeum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8권1호
    • /
    • pp.37-50
    • /
    • 1994
  • Synthetic potassium channel openers (KCOs) are agents capable of opening K-channels in excitable cells. These agents are known to have their maximal potency in the smooth muscle tissue, especially in the vascular smooth muscle.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type of K-channel that is responsible for mediating the effects of KCOs. As the KCO-induced changes are antagonized by glibenclamide, an $K_{ATP}$ (ATP-sensitive K-channel) blocker in the pancreatic ${\beta}-cell,\;K_{ATP}$ was suggested to be the channel responsible. However, there also are many results in favor of other types of K-channel $$(maxi-K,\;small\;conductance\;K_{Ca,}\; SK_{ATP}) mediating the effects of KCOs. Effects of lemakalim, (-)enantiomer of cromakalim (BRL 34915), on the spontaneous contractions and slow waves, were investigated in the antral circular muscle of the guinea-pig stomach. Membrane currents and the effects on membrane currents and single channel activities were also measured in single smooth muscle cells and excised membrane patches by using the patch clamp method. Lemakalim induced hyperpolarization and inhibited spontaneous contrac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effects were blocked by glibenclamide and low concentrations of tetraethyl ammonium (< mM). Glibenclamide blocked the effect of lemakalim on the membrane potential and slow waves. The mechanoinhibitory effect of lemakalim was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glibenclamide. In a whole ceIl patch clamp condition, lemakalim largely increased outward K currents. These outward K currents were blocked by TEA, glibenclamide and a high concentration of intracelIular EGTA (10 mM). Volatage-gated Ca currents were not affected by lemakalim. In inside-out patch clamp experiments, lemakalim increased the opening frequency of the large conductance $Ca^{2+}-activated$ K channels $(BK_{Ca},\;Maxi-K).$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lemakalim induces hyperpolarization by opening K-channels which are sensitive to internal Ca and such a hyperpolarization leads to the inhibition of the spontaneous contraction.

  • PDF

옥수수유와 conjugated linoleic acid로부터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재구성지질의 합성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from Corn Oil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with Immobilized Lipase-Catalyzed Reaction)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97-802
    • /
    • 2003
  •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성 유지 중 옥수수유에 CLA를 연속식 반응기를 통해 esterification하여 기능성을 가지는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고 합성 시에 유속, 반응온도, 기질의 농도를 변수로 하여, Thermomyces lanuginosa로부터 획득된 TL IM 효소를 이용 하였다. TAG의 조성 분석을 통해 CLA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재구성지질 중에 함유된 CLA의 이성체는 주로 생리활성효과가 보고 되어진 cis9,trans11-CLA, trans10,cis12-CLA 등으로써 함유된 총 CLA 함량의 약 $80{\sim}90%$를 차지하였다. Peristaltic tubing pump의 유속을 변수로 하여 재구성지질 중에 함유된 CLA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속이 느릴수록 생성된 CLA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응온도를 변수로 하여 생성된 CLA의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도 증가하였으나, $65^{\circ}C$의 조건에서는 오히려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기질의 농도를 변수로 하여 생성된 CLA의 함량을 비교 분석 결과는 옥수수유 : CLA의 1:3 mol비율에서 생성된 CLA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1.0 mL/min, $55^{\circ}C$, 옥수수유 : CLA의 1:3 mol 비율의 생성 조건에서 cis9,trans11-CLA, trans10,cis12-CLA 등의 함량이 각각 7.32, 6.91 mol% 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ancreatic lipase에 의해 가수분해를 실시한 후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CLA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TL IM이 sn-1,3 specific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조건에서 생성된 재구성지질 중의 불포화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오드값을 측정한 결과, 그 측정값이 $120{\sim}128$의 범위를 가졌으며, HPLC를 통해 재구성지질의 중성지방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TAG가 약 9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소량의 1,2-와 1,3-DAG 및 MAG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백(Phellodendri Cortex)으로부터 분리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물질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 김경희;안순철;이명선;권오송;오원근;김민수;손천배;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3-509
    • /
    • 2003
  • 비만 저해 물질을 탐색하고자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200여 종류의 식용 또는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지방세포 분화저해활성을 보이는 생약식물을 선별하여 용매층으로 활성이 이행되는 생약 중 황백(Phellodendri Cortex)을 최종적으로 후보식물로 선정하였다. 황백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수행하여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PC-4를 분리하였다. PC-4는 노란색의 분말형태로 메탄올을 용매로 UV 최대흡수치를 조사한 결과, 222, 265, 349, 429 nm에서 최대의 UV의 흡수치를 보였으며 산이나 알카리 조건에서 최대 흡수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EI-mass spectrum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이 336.1로 예상되었으며 $^1H-NMR,\;^{13}C-NMR,\;DEPT,\;^1H-^1H\;COSY$, HMQC, HMBC NMR spectrum을 통해, PC-4는 isoquionoline alkaloide계열의 berberine으로 동정되었다. PC-4는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fatty acid synthase와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은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관찰되었다.

Effect of diets with different energy and lipase levels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trait in broilers

  • Hu, Y.D.;Lan, D.;Zhu, Y.;Pang, H.Z.;Mu, X.P.;Hu, X.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275-1284
    • /
    • 2018
  • Objective: A 28-d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s with different energy and lipase levels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profiles, gut health, and carcass quality in broilers. Methods: A total of 720 one-day-old male Ross 308 broilers ($45.4{\pm}0.5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our treatments: i) RET, reduced energy treatment (metabolizable energy = 2,950 and 3,100 kcal/kg for starter and finisher diet), ii) BDT, basal diet treatment (metabolizable energy = 3,050 and 3,200 kcal/kg for starter and finisher diet, iii) RET015, RET+0.15 g/kg lipase, and iv) RET03, RET+0.3 g/kg lipase. There were 10 replications (cages) per treatment with 18 birds per cage. Results: During d 1 to 14, broilers fed BDT, RET015, and RET03 diets had higher (p<0.05) body weight gain than those fed RET diet. During d 1 to 14, 15 to 28 and the overall experiment, feed conversion ratio in RET03 treatment was lower (p<0.05) compared with RET treatment. On d 14,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ether extract (EE), and gross energy in RET03 treatment was higher (p<0.05) than those in RET treatment, while the ATTD of N was increased (p<0.05) by RET03 treatment. On d 28, broilers fed RET03 diet had higher (p<0.05) ATTD of DM than those fed RET and RET015 diets, while the ATTD of EE in BDT and RET03 treatments was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RET and RET015 treatments. Broilers fed RET03 diet had higher villus height (VH) and VH:crypt depth (CD) ratio than those fed RET and BDT diets.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in BDT and RET03 treatments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RET treatment. Conclusion: Taken together, lipase supplementation (3,000 U/kg feed)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VH, VH:CD ratio and lipase activity, but decreased triglycerid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he abdominal fat percentage in broilers fed reduced energy diet.

Celiac Plexus Neurolysi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t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Byeon, Gyeong-Jo;Park, Ju Yeon;Choi, Yun-Mi;Ri, Hyun-Su;Yoon, Ji-Uk;Choi, Eun-Ji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1호
    • /
    • pp.5-10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eliac plexus neurolysis (CPN) for the treatment of cancerous upper abdominal pain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Methods: At th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PN and died in the hospital from November 2009 to June 2018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51. The 17 patients were from the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33.0%), followed by 11 patients from the Department of Hemato-oncology (21.6%), 11 patients from the Department of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21.6%), 9 patients from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17.6%). The diagnosis was pancreatic cancer in 15 patients (29.4%), stomach cancer in 8 patients (15.7%), hepatobiliary cancer in 20 patients (39.2%), colon cancer in 1 patient (2.0%), esophageal cancer in 2 patient (3.9%) and intra-abdominal metastasis in 5 patients (9.8%). The mean survival time after the surgery was 66.4±55.0 days. The pain intensity before and 1 week after the procedur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amounts of opioids consumed before and 1 week after the procedu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de effects occurred after the procedure including temporary localized pain in 24 patients (47.0%), hypotension in 12 (23.5%), and diarrhea in 6 (11.8%). Conclusion: CPN is an effective and safe procedure for reducing upper abdominal pain caused by cancer,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CPN within the appropriate time by establishing a system of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