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Turkis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A STUDY ON THE FORMATION OF EARLY TURKISH NATIONALISM

  • JEONG, EUN KYUNG
    • Acta Via Serica
    • /
    • 제3권1호
    • /
    • pp.57-83
    • /
    • 2018
  • Historians describe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as a period of "nationalism." During this period, Turkish nationalism transformed into a thought movement which emerged to defend Turkish national sovereignty during the collapse of the Ottoman Empire. Approaches towards nationalism in Turkey are based on the idea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ideas of national independence that developed subsequently. Nationalism in Turkey first transformed from Pan-Islamism into multinational Ottomanism, and finally developed into Turkish nationalism and patriotism. This process emerged as a movement of self-discovery in the multicultural structure of the Ottoman Empire and transformed into Turkism. The Balkan Wars (1912-1913) destroyed the foundation upon which Ottomanism was based, and led to the rise of Turkish nationalism, in other words, Turkism. The idea of nation in modern terms in the recent history of thought and nationalism subsequently developed based on this idea and emerged with the Turkism movement. Thus, Turkism became the movement of Turks in the empire, combined with political Turkism which was supported by the intellectuals who came to the Ottoman Empire from Russia. In this article, the formation of Turkist movements and the leading intellectuals of Turkish nationalism, who emerg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n the Ottoman Empire,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amine the historical progress of nationalist approaches in a period in which a new national state was established and improved.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복합적 성격과 대외정책에의 함의 (Complex Features of Azerbaijani National Ident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oreign Policy)

  • 김영진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789-812
    • /
    • 2009
  • 논문은 아제르바이잔의 정체성을 형성해 온 역사적 문화적 원천을 페르시아, 투르크, 러시아의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복합적인 성격을 해명하고, 1991년의 독립 초기 그것이 아제르바이잔의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과 그 귀결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의 세계에서 정체성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에서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맥락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변화 속에서 형성되고 표현된다. 이러한 정체성의 표출은 다원적인 환경에서 종종 배타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독립 이후 PFA 정부는 아제르바이잔의 풍부한 문화적 유산과 다면적인 정체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종족적 기원과 아제르바이잔의 터키성(Turkishness)을 강조하는 논리를 내세웠다. 국내적으로 볼 때, 종족 민족에 기반을 둔 대외정책은 소비에트 하에서 아제리 민족에 흡수되었던 아제르바이잔의 쿠르드인조차도 소외감과 배신감을 느꼈을 정도로 심각한 실패에 직면했다. 국제적으로 볼 때, PFA 정부의 대외정책은 러시아와 이란으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터키가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함에 따라 터키에 대한 교섭력도 약화시켰다. 이에 따라, PFA 이후에 집권한 헤이다르 알리예프는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네 가지 요소(페르시아적인 정체성, 투르크적인 정체성, 러시아적인 정체성, 아제르바이잔적인 정체성)를 모두 활용하여 대외정책의 방향을 결정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