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mar hyperhidrosi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수장부 다한증에서 제 2번 및 제 2,3번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T2 and T2.3 Thoracic Sympathetic Block in Palmar Hyperhidrosis)

  • 성숙환;조광리;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99-1003
    • /
    • 1998
  • 연구배경 : 수장부 다한증에 대한 흉강경 교감신경절차단술은 즉각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고 회복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수장부 다한증에서의 차단해야할 교감신경절의 위치는 다소 모호한 것이 사실이었다 재료 및 방법 : 제 2 및 2.3 흉부 교감신경절차단의 효과를 비교하기위하여 본 서울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제 2흉부교감신경절차단술 혹은 제2.3 흉부교감신경절차단술을 시행받은 192명의 일차성 수장부 다한증환자를 대상으로 역향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간의 결과를 비교하기위하여 환자의 술전,후 의무기록 및 외래관찰소견을 참조하였으며 전화질의를 통하여 두 군간의 술후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성비및 연령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1997년 4월이전에는 교감신경절제술(sympathectomy)을 시행하였으나 이후로는 교감신경절차단술(sympathicotomy)을 시행하고 있다. 결과 : 술후 모든환자에서 증상의 즉각적인 완화를 보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제 2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에서 61.3$\pm$22.5분으로 제2.3 교감신경절차단군의 82.7$\pm$24.8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1). 술후 호너증후군과 흉관삽관술과 같은 초기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상성 체간다한증, 식사시 발한, 환다한증과 같은 후기 합병증의 빈도에서도 두 군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재발한 례는 제 2, 및 2.3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 모두에서 한 명도 없었다. 보상성 다한증의 위치는 두 군간의 차이를 보여 제 2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에서는 무릎위에서 겨드랑이 까지 발한의 증가를 보였으나 제 2.3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군에서는 무릎위에서 유두부위까지 발한의 증가를 보이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 결론적으로 일차성 수장부 다한증에서는 제 2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있다고 하겠다.

  • PDF

수장부 다한증에서 두가지 변형된 교감신경절 차단술 (Two Modified T2 Sympathicotomies in Palmar Hyperhidrosis)

  • 배기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818-822
    • /
    • 1999
  • 배경: 수장부 다한증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제 2번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이 최근 들어 많이 이용되 어 왔으나, 보상성 다한증의 발현 및 안면 무한증 등의 부작용 발현 등으로 이를 변형시킨 Modified T2 sympathicotomy의 효과에 관하여 단기성적을 비교 분석하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흉부 외과에서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수장부 본태성 다한증으로 수술 한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odified upper T2 sympathicotomy를 한 A군(24명)과 Modified lower T2 sympathicotomy를 한 B군(17명) 사이에 서 환자의 성별, 나이, 수술 시간, 수술후 부작용 발현 및 수술의 만족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 있어서 다한증 증세 호전을 보였으며, B군보다 A군에서 동공부동증과 안면무한증 발생율이 높고, 보 상성 다한증의 발현율이 많다. 전체적인 수술의 만족도는 A군 보다 B군에서 높게 나타난다. 결론: 변형된 T2 교감신경절 차단술 중에서 하부 제 2번 흉부(T2) 교감신경절 차단술이 수장부 다한증 환자 수술시 부작 용을 줄이고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측정을 통한 다한증(多汗症)환자의 자율신경계(自律神經系)기능 평가 (Evaluation of Autonomic Function in Patients with Hyperhidrosis by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이건영;이형구;정승기;정희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
    • /
    • 2008
  • Objectives : Essential hyperhidrosis is a socially and occupationally disabling disorder. There are many suggestions that hyperhidrosis is associated with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utonomic nerve system the patients with hyperhidrosis. Methods : 348 palmar and plantar hyperhidrosis patients and 20 systemic hyperhidrosis patients in the ambulatory care were investigated. All patients were inspected at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using the PSA of HRV. HRV was measured for 5 minutes after 5 minutes' bed rest. We checked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RV (i.e. TP, VLF, LF, HF and LF/HF) which were transformed into natural logarithm of patients against the standard measures of the HRV components. Then, we compared the means of patients with means and highest values of in the normal range of Koreans 1) between the patients with palmar and plantar hyperhidrosis and the healthy controls and 2) between the patients with the systemic hyperhidrosis and healthy controls, by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respectively. We then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1) and 2). Results : The values of natural logarithmic measures of LF/HF ratio in the patients with palmar and plantar hyperhidrosis we examine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of healthy controls, but those in the patients with systemic hyperhidrosis were not higher.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utonomic nervous function did not simply increase but that the balance between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ous function did matter in patients with palmar and plantar hyperhidrosis. This balance included that the sympathetic nervous function aggravated comparatively with parasympathetic nervous function. On the other hand,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ce of the patients with the systemic hyperhidrosis as for the autonomic nervous function.

  • PDF

The Effect of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t the Fourth Rib (R4) for the Treatment of Palmar and Axillary Hyperhidrosis

  • Kim, Jae-Bum;Park, Chang-Kwon;Kum, Dong-Y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2호
    • /
    • pp.154-158
    • /
    • 2011
  • Background: Video-assisted thoracic sympathicotomy plays an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f essential hyperhidrosis. Patients a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surgical outcome at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but suffer recurrence and compensatory sweating in the late post-operative period. There are many sympathicotomy methods to minimize recurrence and compensatory sweating. We compared the outcome of sympathicotomy methods above the third rib (R3) and the fourth rib (R4) with regards to symptoms, satisfaction, recurrence, and compensatory palmar and axillary hyperhydr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April 2009, 39 cases of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t the third rib (R3), and 94 cases of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at the fourth rib (R4) for palmar and axillary hyperhidrosis were compared for early and late post-operative satisfaction, compensatory sweating and recurrence. Results: There was no sex or 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Early satisfaction was 94.9% and 98.9% in the R3 group and R4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early satisfaction (94.9% in R3 and 98.9% in R4), late satisfaction (84.6% in R3 and 89.4% in R4), or recurrence (17.9% in R3 and 17.0% in R4) between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nsatory sweating (71.8% in R3 and 33% in R4, p=0.002). Conclusion: R4 sympathicotomy demonstrated superior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compensatory sweating compared to R3 in palmar and/or axillary hyperhidrosis.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2, 3번 교감신경절 교통가지 절제술의 효과 (Ramicotomy of T2, 3 Sympathetic Ganglia for Palmar Hyperhidrosis)

  • 조현민;백효채;김도형;함석진;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24-729
    • /
    • 2002
  • 지금까지 수부 다한증에 대한 다양한 교감신경 수술방법들은 확실하고 안전한 치료방법이기는 하지만 술후 보상성 발한의 발생과 더불어 수장부의 무한증을 유발시킴으로써 장기적인 환자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이 문제가 되어왔다. 대상 및 방법: 이에 본 교실에서는 손에 분포하는 교감신경절 교통가지를 선택적으로 절제함으로써 술후 보상성 발한의 정도를 감소시키고 수장부의 무한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결과: 수술 결과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손에 적당히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보상성 발한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환자에서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의 경등도 이하로 나타났다. 결론: 교감신경절 교통가지 절제술은 수장부 다한증에 대한 보다 선택적이고 생리적인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수술의 효과 (Thoracoscopic T-3 Sympathicotomy for Palmar Hyperhidrosis)

  • 김광택;김일현;이송암;백만종;선경;김형묵;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39-744
    • /
    • 1999
  • 배경: 본 임상연구는 수부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에서 동년 12월까지 수부 다한증을 호소한 50명(여자: 24, 남자: 26)의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 경 차단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중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가 37명이었으며, 액와부 다한증이 동반된 경우가 13명이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20세였다. 수술방법은 전기 소작용 가위를 이용하여 양측의 흉부 교 감신경을 차단하였으며,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는 3번 늑골(흉부 2번, 3번 교감신경절 사이)에서 차단 하였으며 액와부 다한증을 동반한 환자는 3번, 4번 늑골에서 교감신경을 차단하였다. 수술 후 다한증의 호전 정도 및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와 만족도의 측정은 Linear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수부, 안면부, 체간, 족부 의 땀 분비정도는 무한증을 0로 과다 발한을 10으로 하였으며 만족도는 후회하는 경우 0로 매우 만족해하는 경우를 10으로하여 조사 후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호전되었다.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수부의 땀 발생 정도의 평균 측정치는 $1.5\pm$0.8로 조사되었으며, 보상성 다한증은 39명 (78%)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평균측정치는 3.4$\pm$1.6이었다. 2명(4%)의 환자에서 미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 으며, 수술 후 만족도는 8.5$\pm$1.2였다. 결론: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 전되었으며, 안면부 교감신경 기능의 보존과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 및 미각성 다한증의 발생빈도가 낮아, 수부 다한증의 일차적 치료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술의 적용이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일차성 다한증 환자 26명의 한의학적 치료 후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임상적 평가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26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before and aft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 이성헌;노영래;황준호;정승연;정승기;정희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97-607
    • /
    • 2007
  • Backgrounds and Objectives: Primary hyperhidrosis deeply affect a patient's quality of life, resulting in impairments of daily activities, social interactions and occupational activitie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quality of life(QOL) in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oriental medicine. Methods : Between December 2006 and July 2007, 26 patients underwent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hich consisted of herb medicine. acupuncture and iontophosis (if palmar/plantar hyperhidrosis) treatment. QOL questionnaires comprised of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employ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All 26 patients were evaluated. The treatment controlled primary hyperhidrosis in 84.6% of cases. The mean of DLQI score before treatment was 16.65 after treatment mean DLQI score was 8.18. The mean of VAS before treatment was 91.35 after treatment mean VAS was 49.92. QOL in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he improvements in QOL were similar in patientswith palmar/plantar, head, and systemic hyperhidrosis. Conclusions : Oriental medicine treatment leads to significantly improved QOL in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objective efficacy in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before and aft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 PDF

본태성 다한증의 후흉추 접근법 및 내시경수술의 임상고찰 (Clinical Analysis of Posterior Thoracic and Endoscopic Surgical Approach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전효철;김재휴;이정길;김태선;정신;김수한;강삼석;이제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8호
    • /
    • pp.992-997
    • /
    • 2001
  • Objectives : Essential hyperhidrosis is a common condition characterized by excessive body sweating. Excessive sweating beyond what is necessary to maintain normal body temperature need not be considered pathological unless it interferes with one's occupation and/or life-style. The existing non-operative therapeutic options seldom give sufficient relief or show a transient effect. In this regard, the thoracic sympathectomy may provide a definitive cure. In the past, surgical procedures were highly invasive and caused significant morbidity, but the minimally invasive thoracoscopic procedure provided detailed visualization of sympathetic ganglia and is associated with minimally postoperative morbidity. Nowadays, thoracoscopic transthoracic sympathectomy is accep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ssential hyperhidrosis. In palmar hyperhidrosis, however, the level of sympathetic chain to be blocked has been somewhat obscure. It is assumed that the incidence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may closely related to the extent of thoracic sympathectomy. Material & Methods : To compare the results of posterior midline approach with endoscopic sympathectomy, and the results of T2 with T2, 3 sympathectomy or sympathicotomy, we retrospectively studied 62 patients treated for palmar hyperhidrosis between September 1993 and May 2000. We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recently interviewed the patients by telephone calls. Results : The treatment effect of T2 sympathectomy is no different from T2, 3 sympathectomy. But, the incidence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is less in the T2 sympathectomy group than the T2, 3 sympathectomy group. Conclusion : Thoracoscopic sympathectomy is considered a simple,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palmar hyperhidrosis, with a shorter operation time, fewer hospital days, and a better cosmetic result, as compared with the open approaches. However, sympathicotomy seems to provide the advantages of a limited extent of denervation and the resultant decrease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compared to sympathectomy.

  • PDF

수장부다한증에서의 교감 신경절 차단 범위 및 부위에 따른 성격 비교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and Extent of Sympathetic Block in Palmar Hyperhidrosis)

  • 오정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817-822
    • /
    • 2000
  • Video assisted thoracic sympathectomy or sympathicotomy is a safe and effecti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almar hyperhidrosis with immediate symptomatic imporvement. Howev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may diminish with time due to cmpensatory sweating or excessive hand dryness. Therefore by comparing and assessing the degree of symptomatic improvement or compensatory sweating following sympathectomy or sympathicotomy at various levels we aim to determine the optimal level of sympathetic nerve block which will result in minimal side effects and maximal benefit. Material and Method: Among 194 patients having undergone video assisted thoracic sympathectomy or sympathicotomy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1999, 137 patients who responded to either telephone interview or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n=61) ; patients having undergone T2,3,4 sympathectomy group II(35) ; patients having undergone T2 sympathicotomy and group III(41) ; patients having undergone limited T2 sympathicotomy which consist of block of interganglionic neuronal fiber on the third rib. The parameters studied comprised of pre- and post-operative palmar temperature change treatment satisfaction the degree of compensatory sweating or discomfort from palmar dryn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changes in plantar sweating Result :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and sex among the groups and the mean postoperative elevation in palmar temperature was 21.59$^{\circ}C$ without any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atients expressing satisfaction were 65.6%, 62.9% and 90.24% in groups I, II and III, respectively(p<0.05) Moderate to severe compensatory sweating was present in 65.6% 51.4%, and 24.39%, in group I, II, and III, respectively(p<0.05) Slight but comfortable amount of palmar humidness was expressed in decreasing order group III(41.6%) group I(24.6%) and group II(5.7%) (p<0.05) Ineffectiveness or recurrence was present in 5patients in group I(8.2%) 1 patient in group II(2.9%) and none in group III. With regards to plantar sweating decrease in sweating was expressed in 43 patients(31.4%) while similar degree of sweating in 61 patients(44.5%) and increase in sweating in another 33 patinets(24.1%) Conclusion : Limited T2 sympathicotomy resection of the lower interganglionic neuronal fiber of the second sympathetic ganglion on the third rib showed immediate effect in palmar hyperhidrosis and caused lesser compensatory sweating and hand dryness.

  • PDF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장부 다한증의 흉부 교감신경절 절제술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for Palmar Hyperhidrosis)

  • 류지윤;한일용;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88-392
    • /
    • 1998
  • 자율신경계의 이상질환 중 하나인 다한증은 과거로부터 피부과적 치료와 개흉술을 통한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이 이용되었으나, 효과적이지 못하거나 침습적이어서 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최근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이 흉부외과 영역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고 수장부와 액와부 다한증에도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 절제술이 시행되어 그 증례가 늘고 있다. 인제대학교 부속 부산백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5년 8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양측 수장형 다한증 환자 52명에 대하여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양측 흉부 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그 중 남자가 27명, 여자가 2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2세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172분이었고, 그 중 1례에서는 심한 늑막 유착으로 소개흉절개를 통해 일측 흉부 교감신경절제술만을 시행하였다. 평균 12.5개월의 추적기간 중 재발은 없었으며, 30례(57.7%)에서 보상성 발한을 나타내었으나 그 정도가 점차로 감소하였다. 전체 환자의 83.8%가 수술 결과에 만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