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eozoic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韓國)의 광상생성도(鑛床生成圖) (Metallogenesis in Korea -Explanation of the Metallogenic Map of Korea-)

  • 김선억;황덕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spc호
    • /
    • pp.73-94
    • /
    • 1986
  • 필자(筆者)는 1981년(年) 파리, 1983년(年) 마닐라에서 개최되었던 CGMW 회의(會議)에 참석(參席)함을 계기로 세계공통(世界共通)의 제작규약(製作規約)을 준수(遵守)해 가면서 대한지질도(大韓地質圖) 및 한국의 지체구조도(地體構造圖)를 기본도(基本圖)로 하여 그간의 광상조사연구자료중(鑛床調査硏究資料中) 444개(個) 주요대상광상(主要對象鑛床)을 선정(選定), 이들 자료(資料)를 정리종합(整理綜合) 분류(分類)하여 1983년(年)에 한국의 광상생성도(鑛床生成圖)를 발간(發刊)(한국동력자원연구소(韓國動力資源硏究所))한 바 있다. 처음 시도(試圖)된 일이었을 뿐 아니라 대상개개(對象個個) 광상(鑛床)의 정밀조사자료(精密調査資料)가 부족(不足)하여 흡족(洽足)하지 못하였음에 차후(次後) 보다 보완(補完)된 충실(充實)한 내용(內容)의 광상생성도(鑛床生成圖)를 기대(期待)하여 마지 않는다.

  • PDF

Paleostress of the Joseon and Pyeongan Supergroups in South Korea using the New Calcite Strain Gauge (NCSG)

  • Jang, Bo-An;Ko, Chin-Surk;Kim, Jung-Han;Kim, Cheong-Bin;Kang, Seong-Seung
    • 지질공학
    • /
    • 제24권3호
    • /
    • pp.311-322
    • /
    • 2014
  • Limestone bodies under the tectonic environment have experienced various tectonic processes, and also changed the stress state. In this study, calcite twins found in limestones of the Joseon Supergroup and Pyeongan Supergroup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were measured, then the paleostress (i.e., the maximum shortening axis) was reconstructed using the new calcite strain gauge (NCSG) technique. The average twin thickness and average twin intensity increase as the total twin strain increases. We utilize the appearance of twins, the average twin thickness and average twin intensity, and the total twin strain to estimate that the observed calcite twins were produced at temperatures of < $200^{\circ}C$ in the Joseon Supergroup and $170^{\circ}C$ in the Pyeongan Supergroup. In the Joseon Supergroup, the dominant direction of the maximum shortening axis WNW-ESE to NW-SE; NE-SW shortening is also observed. The maximum shortening axes in the Pyeongan Supergroup are oriented NW-SE and NE-SW. The NE-SW direction of maximum shortening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the Songrim orogeny of the Paleozoic to Early Jurassic, and the NW-SE direction of maximum shortening correlates to the Daebo orogeny of the Early Jurassic to Late Jurassic. It is thus concluded that the paleostress across the study area changed from NE-SW to NW-SE during the Mesozoic.

남한지역 지질특성과 지열류량의 상호 관련성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t Flow Relationship in South Korea)

  • 김형찬;이사로;송무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391-40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남한의 지열류량 총 247개 자료와 지질 및 지질시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지열류량 공간 DB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1:1,000,000지질도 공간 DB와 GIS를 이용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평균 지열류량은 64$\pm$14mW$m^{-2}$의 값을 보였다. 암석의 종류별 비교에서는 퇴적암류 분포지역에서 74mW$m^{-2}$로 가장 높은 지열류량을 보였으며, 변성암류 분포지역에서 약간 낮은 61 mWm$^{-2}$ 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화산퇴적암류나 심성암류 분포지역에서는 각각 62, 63mW$m^{-2}$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지질시대별 지층과 지열류량간에서의 관계에서는 가장 신기에 속하는 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91mW$m^{-2}$의 지열류량값을 보였으며, 중생대, 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65mW$m^{-2}$이며, 고기인 원생대, 시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각각 55, 61mW$m^{-2}$로 가장 낮은 지열류량을 보였다.

멕시코 시나올라주의 지질 및 금속광물자원 (Geology and Metallic Mineral Resources of Sinaola State in Mexico)

  • 남형태;허철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3호
    • /
    • pp.257-266
    • /
    • 2013
  • 멕시코 시나올라(Sinaola)주의 지질은 하부로부터 선캠브리아기 변성암(Sonobari Complex), 두 개의 고생대층(하부: 미분화된 변성암, 상부: 석탄기 퇴적암), 변성화산암, 쇄설암, 탄산염암으로 구성된 5개의 중생대층, 화산암으로 구성된 신생대 암석, 제 4기의 쇄설성 퇴적층과 화산류로 구성되어 있다. 시나올라주는 잠재적으로 금속광물자원이 풍부하며 비금속광물은 적은 편이다. 광상들은 다양한 지질환경과 관련되어 있고 지형학상 시에라 마드레 옥시덴탈(Sierra Madre Occidental)에 부존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주로 알려진 광상은 금과 은이며 뒤를 이어 아연, 연, 동과 일부 철이 분포한다. 시나올라주는 가끔 가행하고 있는 몰리브데늄, 텅스텐, 비스무스 광상도 부존되어 있다. 니켈과 코발트도 부존이 알려져 있으나 단지 소규모로 개발되었음이 보고되고 있다.

옥천 변성대의 시기-우리는 얼마만큼 알고 있나? (The Age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How Much Do We Know?)

  • 권성택
    • 암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1-56
    • /
    • 2008
  • 옥천변성대 암석의 생성시기는 화석의 발견과 동위원소 연대측정으로 대부분 고생대 및 신원생대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한편 동위원소 연대자료가 축적됨과 더불어 옥천변성대의 변성시기가 페름기 초기인가 혹은 페름기 말기-트라이아스기 초기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 문제는 달리 표현하면 위의 두 시기에 해당하는 2번의 중요한 변성작용이 있었는가 혹은 후자 시기에 해당하는 한번의 변성작용인가 하는 것이다. 변성시기를 직접 지시할 수 있는 자료를 비교할 때 페름기 초기의 변성시기에 대한 자료(석류석 내 U-Pb 갈렴석 연대)는 전체적으로 오차가 클 뿐만 아니라 페름기 말기-트라이아스기 초기를 지시하는 자료(CHIME 갈렴석 연대 및 변성 저콘의 U-Pb 연대)와 어느 정도 중첩된다. 따라서 독립적인 두 종류의 자료에 의해 지지되는 후자가 보다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시기는 임진강대와 경기육괴에서 대륙충돌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중요한 변성시기와 유사하기 때문께 대륙충돌의 영향이 한반도 넓은 지역에 퍼져 있음을 시사한다.

저어콘의 내부 누대구조의 3차원적 복원기법 (3D Reconstruction of Internal Zonation in Zircon)

  • 김숙주;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44
    • /
    • 2014
  • 저어콘 음극선발광영상의 입체적 연구를 위해, 단계적 연마를 사용한 연쇄단층촬영과 영상 후처리작업으로 저어콘 내부 누대구조의 3차원 복원을 최초로 시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경상분지 북동부 영덕화강암체에서 분리한 고생대말 시기의 저어콘으로 평면 음극선발광영상에서는 전형적인 진동누대구조가 관찰된다. 시료의 연쇄단층촬영을 위해 에폭시마운트 제작 후 $3{\mu}m$$1{\mu}m$ 연마액을 이용한 연마와 후방산란전자영상과 음극선발광영상 촬영을 시료가 소진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단계별 두께의 차이는 약 $3{\mu}m$이며, 약 80여개의 저어콘 중 7개를 선정하여 같은 면적 영상파일로 저장한 후 영상편집 소프트웨어인 Image J와 Volume Viewer를 이용하여 3차원 내부구조를 복원하여, 저어콘의 진동누대 및 덧성장구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3차원적 내부구조 영상은 2차원적으로 관찰하는 단면영상의 내부구조와 달리 특정방향에 따른 단면관찰이 가능하고 다양한 변화양상을 재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 연대결과가 복잡하게 나오는 저어콘이나 미세구조 파악이 필요한 다른 지질시료의 입체적인 성장 및 재결정작용의 내부 구조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수산 지역의 규회석과 그 용해 거동 (Wollastonite from and Its Dissolution Behaviors)

  • 김수진;현성필;이성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1996
  • Woolastonite from Susan occurs as intercalations in limestone beds of Lower Paleozoic Joseon Supergroup. It is a thermal metamorphic product of impure limestone.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shows that it is considerably pure wollastonite. It has triclinic cell with a=7.932$\AA$, b=7.328$\AA$, c=7.069$\AA$, $\alpha$=89.995$^{\circ}$, $\beta$=$95.255^{\circ}$, and $ \Upsilon=103.367^{\circ}$.Dissolution behaviors of wollastonite have been studied conducting three different dissolution experiments; two different reactions with HC1 (one batch and one re-initialization experiment) and one traction with distilled water. In the batch type powder wollastonite-HCl reaction, pH of solution rapidly increases in the early stage and then its rate of increase slows down to reach plateau resulting in parabolic relationship with time. It is represented by the early rapid rise and fall in pH giving a sharp pH-edge and succeeding slow rise in the re-initialization experiment. The early rapid rise in pH is due to the rapid sorption of H- in solution to oxygens on the reactive surface of wollastonite and the fall in pH means that all reactive surface sites are occupied by H- ions and no more H- adsorption occurs. The slow rise in pH following the pH- edge is due to the dissolution of wollastonite as evidenced by the correlation of pH variation and cation concentration. Dissolution of powder wollastonite in HCl shows linear trend with time. Si is dissolved predominantly over Ca at a constant rate. Ca is dissolved predominantly in the very early stage. Dissolution rate of coarse-grained wollastonite fragments in distilled water is parabolic with times howing a rapid reaction in the early stage and a slow reaction in the advanced stage. The Ca/Si ratio in solution is high in the case of coarse-grained wollastonite fragment as compared with powder wollastonite. The coarse-grained wollastonite fragment-water (acid) reaction resulted in the solution with an elevated constant pH value (alkaline) giving an important significance on the environmental view point.

  • PDF

충주문경간(忠州聞慶間)의 옥천계(沃川系)의 층서(層序)와 구조(構造) (Stratigraphy and Tectonics of Okcheon System in the Area between Chungju and Munkyeong)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권1호
    • /
    • pp.35-46
    • /
    • 1968
  • Some of geologists in Korea recently postlated that Okchon system previously known to be precambrian age was the metamorphosed sediments of post-Chosen (Ordovician and pre-Kyeongsang (late Jurassic to Cretaceous) periods, or even definitely of Triassic period simply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Okcheon system overlies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Chosen system of Camber-ordovician age, and of other few assumptions of minor importance. As a result of such correlation, thick series of metasediments and Okcheon system of unknown age were established in this particular region and vaguely correlated to Paleozoic and Mesozoic sediments. Recent study done by the author reveled that: 1) only the upper Okcheon bed of S. Nakamura was true Okcheon system, and the middle and lower Okcheon bed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correlated to Cambrian and Permian sediments resfectively, 2) Sangnaeri, Seochangri, and rengam formations of unknown age, and Baekhwasan, Jobong, and Ihwaryeong formations of Okcheon system of also unknown age were the metamorphosed Yangdeok system of Cambrian age, all of these formations were differentiated by the previous workers and were equivalent to the middle Okcheon system of S. Nakamure, and. 3) These metamorphosed Yangdeok system overlaid apparently the Great Limestone series in forms of overthrust and klippe which were produced by the orogeny took place during post-Daedong and pre-Kyeongsang period (probably middle to the Jurassic). The Sobaeksan Range, folded mountain Chains was also formed by this orogeny. Thus, Okcheon system newly defined by the author is precambrain age and consists in ascending order of Kemyenogsan, Hyangsan dolomite, and Daehangsan quartzite formation which were previously classified into metasediments of unknown age, and Munjuri, and Hwangkanri, formations which were differentiated into Okcheon system unknown age by the previous workers, but are of reversed sequence. Myeongori and Bukrori formations of Okcheon System are regard by the author as part of Hwangkanri formation. Few other assumption of minor important taken by the previous workers as their positive evidences are carefully explained that they were misinterpreted.

  • PDF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 분석 (The Gradient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DEM)

  • 이금삼;조화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43
    • /
    • 2000
  • DEM(DTED LEVEL 1)을 ARC/INFO로 처리하여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를 분석하였다. 한반도는 완경사 사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아주 높고, 평탄지나 급경사지의 비율은 낮게 나타난다. 평탄지와 파상지는 고도 150m 이하 지역에 대부분 분포하고, 경사가 가장 급한 고도대는 500m~1,000m 지역이며, 1,000m 이상 지역은 고원의 경관을 보이고 있다. 수치지질도와 경사분석도를 중첩했을 때 고고도와 급경사를 이루는 지질은 화강편마암(ARgr), 편마암(PR1), 평안계 사암(P-T), 자성층군($J_2$) 등으로 나타났고, 저고도에 완만한 경사를 보이는 지질은 엽리상화강암($Jgr_1$), 백악기 퇴적암($K_1$, $K_2$), 신생대 퇴적암(N) 등이며, 제 4기에 분출한 현무암은 높은 고도에 완만한 용암대지를 이루고 있다.

  • PDF

거도광산(巨道鑛山) Fe-Cu 및 Au-Bi-Cu 광상(鑛床)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성인적(成因的) 연구(硏究) (Mineralogy and Genesis of Fe-Cu and Au-Bi-Cu Deposits in the Geodo Mine, Korea)

  • 고재동;김수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15권4호
    • /
    • pp.189-204
    • /
    • 1982
  • The Geodo mine is located in the southern limb of the Hambaeg syncline. Geology of the area consists of Paleozoic-Mesozoic sedimentary Rocks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The important igneous rocks presumably related to skarnization and ore mineralization in the area, are the early granodiorite and the late porphyritic granodiorite. Two mineralogical types of ore deposits are recognized in the area. They are the Fe-Cu deposits in the Myobong formation and the Au-Bi-Cu deposits in the Hwajeol formation. Contact metamorphism due to granodiorite intrusion includes hornfelsization, exoskarnization and endoskarnization. Wall-rock alterations related to the Fe mineralization are grouped into the hydrothermal replacement skarnization and the hydrothermal filling skarnization. Another hydrothermal alt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Cu mineralization. Various mineralogical analyses have been appli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inerals. They include optical microscopy, chemical analysis, etching test, X-ray diffraction, and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ic analyses. The ore minerals in these ore deposit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hypogene and supergene minerals. Hypogene minerals consist of magnetite, pyrite, chalcopyrite, and chalcocite. Supergene minerals consist of chalcocite, bornite, and geothite. Ore minerals show various kinds of ore texture: open-space filling, exsolution, replacement, and cementation texture. The gangue minerals consist of quartz, diopside, epidote, garnet and plagioclase in the hornfelsic zone, garnet, diopside, scapolite, actinolite, sericite, chlorite, quartz, and calcite in the skarn zone, and, epidote, chlorite, sericite, quartz, and calcite in the late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This study shows that the Fe-Cu deposits are of metasomatic pipe type with the later hydrothermal fillings, and the Au-Bi-Cu deposits are of hydrothermal fissure-filling type. The mineralizati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intrusion of porphyritic gran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