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nting of court ceremon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왕세자출궁도의 복식 연구 I - 입학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Costumes in Wangse ja chulgungdo - Centering around Its Ceremony-)

  • 임재영
    • 복식
    • /
    • 제28권
    • /
    • pp.169-186
    • /
    • 1996
  • Wangeja Chulgungdo (The Painting for a Crown Prince's Outgoing for Schooling to Sungkyunkwan) for this study which is held by the Korean university Museum is a kind of documentary paintings which not only have the value of art history but also give a glimpse of the court ceremonies for a Crown Prince. This painting offers various historical clues to understand the procedure for a Crown Prince's official entrance of Sungkyunkwan participants of the ceremony and other ceremony-related items$\ulcorner$Wangseja chulgungdo$\lrcorner$ was the painting drawn for a series of court procedures of Crown Prince Munjo's official en-trance of Sungkynkwan. When he was old enough to begin learning Sohak on March 11. 1817 that is ; he held Heonjakrye(a ceremony for offering drinks to the ancestors) at Munmyo passed Iphakye(a ceremony for en-trance of school) at Myungryundang and received Suharye the next day. $\ulcorner$Wangseja Chulgungdo$\lrcorner$ had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paintings in terms of art history which was intended to leave the historical event of a Crown Prince's entrance. It reflected the traits of documentary painting style in late Chosun Dynasty; a technique that strongly relieved the ceremonial scenes against the background such as mountains and rivers; a painting that not only captured the vivid actions of personalities ar the crucial moment of the ceremony but also depicted the cer-emonial vessels and items very realistically. Authors could confirm the ceremonial think-ing of the traditional society through a Crown Prince's entrance which controlled the details of every part of the performances of the court ceremony.

  • PDF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의 보존과 채색 분석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Pigments and Techniques for Crown Prince Munhyo Boyangcheong Folding Screen Painting)

  • 안지윤;천주현;김효지;지주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9-159
    • /
    • 2013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은 정조의 첫 번째 아들 문효세자(1782-1786)가 1784년 1월, 보양청에서 주관하여 첫 스승으로 모시게 될 보양관과 처음으로 만나 인사를 나누는 의식을 기록한 조선시대 궁중행사도이다. 전체 8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 수리된 적 없이 18세기 조선 궁중행사도병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원본 장황의 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병풍의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존처리를 하였다. 안료분석 결과 채색 안료로 연백, 연단, 진사, 석청, 석록, 황단, 먹 등을 사용하였고, 현미경 확대 관찰한 결과 거의 대부분이 화면의 뒷면에서 배채법으로 채색한 후, 앞면에서 세부묘사 및 부분적으로 엷은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왕세자출궁도"의 복식 연구 II - 복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Costumes in Wangseja chulgungdo II -Centering Around Its Costumes-)

  • 홍나영
    • 복식
    • /
    • 제31권
    • /
    • pp.47-60
    • /
    • 1997
  • As we analyzed the formalities of court dress during King Soonjo's rule through the characters depicted in $\boxDr$Wangseja Chulgungdo$\boxUl$(The Painting for a Crown Prince's Outgoing for Schooling to Sungkyunkw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ople wore their appropriate full dress ac-cording to the ceremonial procedures. In the case of a Crown Prince normally the wore Gongjungchaek(a hat) (after the coming-of-age ceremony Iksunkwan) and Gonryongpo(imperial clothes) to show his status as a Crown Prince. He wore chugkumbok(a Coat) to indicate a Crown Prince as being a student. on an occasion of celebration a Crown Prince wore Wonyugwan and Gangsapo to provide him with prestige and as a sign of respect for the occasion. The teacher of a Crown Prince also wore Gongbok and Sangbok accoding to the dress requirements of the ceremonies. We can confirm that the Gongbok system of all government officials had been main-tain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 know that the form of ceremonies be-came simplifi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t was recorded that students had to wear Chungkumbok. but we knew from the painting that students actually wore Dopo(a traditonal korean coat). We knew through this painting that the court dress rul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varied that previously known. As we concluded above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stume by analyzing paintings both supplements our knowledge of the topic and confirms the deficiency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costume based solely upon literature and books.

  • PDF

조선시대 몽두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ngdueui in Joseon Dynasty)

  • 박성실
    • 복식
    • /
    • 제55권8호
    • /
    • pp.57-72
    • /
    • 2005
  • Mongdueui(蒙頭衣) and mongduri(蒙頭里) in the Joseon dynasty was one of women's robe. The style of Mongdueui was same as Chinese baeja(褙子 $\cdot$ vest) having non-overlapping front opening with collar, This form was conformed through the wonsam excavated baeja from tomb of South Song dynasty. The basic construction was same as Joseon dynasty's except the col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oble women wore Jangsam(長衫) as an outer wear, the common and lower class women wore Mongdueui, and the queen and royal household we baeja. The court lady wore baeja as well as Mongdueui for funeral ceremony. The style of women's robes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literature Byungwajip(甁窩集). The first was the hongjangsam(紅長衫長) in red for noble women. The other was the mongduri for the common lady. Whangchosam the outer wear of Jeongjaeyong(呈才女伶), a professional women entertainer, having non-overlapping front opening with collar, has been examined in the painting. And it had been evolved into the shaman's clothing in the last stage of Joseon dynasty.

조선 15~17세기 수륙재(水陸齋)에 대한 유신(儒臣)의 기록과 시각 매체 (The Joseon Confucian Ruling Class's Records and Visual Media of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during the Fif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 정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184-203
    • /
    • 2020
  • 조선 개국 후 유교적 가치관으로 성장한 통치 계급에게 불교 의례는 이른바 '위험한 축제'로 인식되었다. 의례는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삶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도왔고, 제의를 통해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했다. 의례 공간에는 도량을 신비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공양구와 기물이 장엄되고 범음구와 범패가 어우러졌다. 그 중에서도 불교 회화는 기층민에게 강한 효력을 지닌 시각 매체로 적극 활용되었다. 생사의 인과응보를 담은 <시왕도>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의식이 마련된 도량에 불화를 헌괘하고 이를 생생하게 설명해주는 '관청(觀聽)'에 대한 수요로 불화의 기능은 더욱 확대되었다. 천도 의례 장면을 담은 <감로도>에는 왕실과 종친의 모습이 강조되어 표현되었다. 중국의 수륙화에서 이 도상은 수륙재에 봉청(奉請)하는 존귀한 대상 중 한 그룹이었으나 16세기 <감로도>에는 왕실의 후원을 상징하며 국행 수륙재의 역사성과 전통을 입증하는 존재로 도해된다. 왕실 후원은 불교 의례에 대한 사회적 공인과 같았고, 이러한 메시지를 드러내고 싶은 흔적이 <감로도>에 남아있다. 의례에 대한 위정자(爲政者)들의 경계는 표면적으로는 군중이 참여하는 의례 공간에 승속(僧俗), 남녀, 신분의 귀천(貴賤)이 함께 어우러지기에 예의가 무너지고 풍기가 문란해질 것이라는 우려였다. 또한 일상으로부터의 일탈, 금기로 부터의 해방이라는 축제의 요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 매체는 특별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인식되었기에 그 힘을 이용하고자 하는 측과 위험성을 우려하는 시선이 공존했다. 실록(實錄)의 기록에서 위험성을 강조하며 불화를 불태우고 불화를 그린 자를 잡아오도록 하는 일련의 조치나, 도성이 텅 비도록 군중들이 모여든 기록은 역설적이게도 불교 의례가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축제의 장으로 인식됐음을 반증한다. 불교 의례는 생의 순환 단계에서 유교가 대체할 수 없는 종교적 기능을 지니고 있기에 쉽게 사라질 수 없었고, 공동체를 통합하는 축제의 요소는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 후기 <감로도>에는 17세기부터 본격화되는 사당패나 연희패가 도해되고 의례의 현장감이 생생하게 반영되었다. 불행한 죽음을 위로하던 불교 의식은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마련되어 일상의 고단함을 털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유교 국가의 정책적 탄압에 '위험한 축제'로 인식되던 불교 의례가 정례적인 세시풍속이자 공동체의 축제로 수용되는 과정을 불교 회화에 재현된 시선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