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 시스템

Search Result 918,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Justification of a Concentrating Photovoltaic(CPV) System over a non-concentrating PV system (비집광형 PV시스템 대비 집광형 PV시스템의 성능 개선 효과 분석)

  • Naveed, Ahmed T;Kang, Eun-Chul;Lee, Eui-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5 no.4
    • /
    • pp.141-153
    • /
    • 2005
  • PV 태양광 발전은 PV 재료가 고가이므로 일반 전력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아진다. 저가형 광학 집광기술과 PV를 통합하게 되면, 비용뿐만 아니라 설치면적 등에서 유리하게 되나, 집광기의 단점이 함께 추가되게 된다. 집광기는 작은 수광각과 송신광선을 갖고 있어 PV 모듈에 필요한 태양광, 광학손실의 손실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중한 시스템 디자인과 2축형 트레킹 장치가 필요하다. 고정식 비집광 시스템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광학시스템의 손실율을 줄이고, 고효율의 PV 모듈을 이용한 PV셀의 상호연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비이미지 프레넬 렌즈 집광기를 사용한 PV 시스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 후, 출력전력값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PV 효율과 시스템 성능을 제시하였다. 프레넬 렌즈 선형 집광기 통합 PV 시스템과 비집광 PV 모듈의 출력전력값과 시스템 비용을 비교하면, PV 전력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집광기의 이용이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광형 PV 시스템은 미래의 에너지 이용에 매우 유리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The Loss Factor Analysis for PV System Optimization (PV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손실요인 분석)

  • Jung, Yeong-Seok;Yu, Byung-Gyu;Yu, Gwon-Jong;Choi, Ju-Yeop;So, Jung-Hu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1
    • /
    • pp.22-28
    • /
    • 2006
  • Establishment of practicalization technologi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dissemination of domestic PV system has been increased. To improve performance through PV system optimization, this paper presents loss factors analysis of PV system based on results of field operational test. Also, as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actual operational ones, the main loss factors of PV system due to performance degradation are reviewed.

Economic Analysis on VLS-PV System from Sunbelt Region (Sunbelt 지역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 Choi, Bong-Ha;Park, Soo-Uk;Lee, Deok-K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21-22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국내 기술을 활용하여 Sunbelt 지역에 설치된 50kW급 PV 실증 단지에서의 태양광발전을 대상으로 경제성을 분석하였으며, VLS-PV로의 성공적인 확장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동안 연간 10MW급의 단계적 시스템설치를 통한 최종 100MW급의 VLS-PV 개발을 가정하여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과거 누적 PV 설비용량과 PV 시스템 가격사이의 관계를 경험곡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2017년까지의 PV 모듈 및 PV시스템의 가격을 예상하였다. 현재 실증 단계에서의 발전단가는 567.2원/kWh으로 나타나 국내 태양광발전보다 낮은 발전단가를 보였으며, 가격 하락 효과를 적용한 100MW급의 VLS-PV 시스템 개발시에는 최종 305.4원/kWh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향후 기술혁신에 따른 모듈의 효율향상과 시스템 수명의 증가는 경제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이며, 환경적인 이점 및 정책적인 효과까지 고려할 경우 향후 20년 이내에 기존의 발전원과 비교하여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f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ructure System Using PV(Photovoltaic) System (PV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구조시스템 연구)

  • Lim, Jae-Hwi;Yoon, Sung-Wo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1
    • /
    • pp.105-112
    • /
    • 2011
  • Fundamental Electric vehicle charge system is urgently needed for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 vehicles. Car parking building is equipped with PV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ity to charge electric vehicles, because it must be charged at least for 30 minutes. In parking lots abroa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are installed to charge electric cars by the electricity gained from PV systems which are also installed. Also, charg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and electric car charging facility support standards are being set and proposed, but there are no cases like abroad of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using PV systems and only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using ordinary electricity are being proposed. Therefore, this paper prepares establishment of domestic electric car charging networks. By researching inside outside solar parking lots and cases of abroad PV system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and by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tructural systems, structural material, and etc., many cantilever structure and small-size types were installed in PV system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Development of optimal algorithm for PV-ESS integrated system by 3 Dimensional Dynamic Programming (3차원 동적계획법에 의한 PV-ESS 연계형 시스템의 최적운용 알고리즘 개발)

  • Choi, You-Rim;Lim, Tae-Hun;Jung, Jea-Hoon;Kim, Yong-Ha
    • Journal of IKEEE
    • /
    • v.23 no.3
    • /
    • pp.1027-1032
    • /
    • 2019
  • In this paper, we had developed an algorithm that can cope with all the economic variables that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PV-ESS system by developing the algorithm for the operation method of PV-ESS connected system. Based on this, the optimal operation schedule of PV-ESS was decided to minimize the electric charges of customers. Through this, we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dynamic planning method based on case generation to determine the optimal PV-ESS operation schedule stably even when exogenous variables change.

Development of Battery Charging Converter for MPPT Control of Lase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레이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MPPT 제어를 위한 배터리 충전 컨버터 개발)

  • Lee, Seongjun;Lim, Namgyu;Choi, Wonseon;Lee, Yongta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334-3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 광원을 적용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PV 모듈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고, PV 모듈로부터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면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컨버터 개발 결과를 제시한다. 먼저, 특정 파장에서 최대전력이 발생되도록 개발된 PV 수신모듈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였고, 레이저에 공급되는 전력 크기에 따른 PV 모듈의 전압-전류의 특성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전압/전류 특성 데이터로부터 PV 수신모듈의 소신호 저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컨버터 회로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제어기 설계를 위한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유도하였다. 이로부터 레이저 일사량에 따른 전류원/전압원 전영역에서 PV 모듈의 입력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설계함으로써 레이저 수신용 PV 모듈이 최대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MCU 제어기반 25W급 배터리 충전용 부스트 컨버터의 프로토타입 제품을 통해 실험 검증되었다.

  • PDF

The Arch Type PV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 Controlled Inverter for Improve the Efficiency (효율개선을 위한 다중제어 인버터방식의 아치형 PV System 성능 분석)

  • Lee, Mi-Yong;Park, Jeong-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5452-5457
    • /
    • 2012
  • It is saving material cost and construction cost by replacing conventional building materials, and It has advantages for aesthetic value. In the Europ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other country research about BIPV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and marketability is also being infinity expanding. Arch type PV systems efficiency characteristics is different depending on PV array's directly connection, parallel connection and arches angle, but is a lack of analysis on this nowadays. When the arch type PV system design up, they consider about aesthetic value and they didn't consider about generation efficiency. In this paper, we try to improve the efficiency through optimization of arch type PV system and estimation of the efficiency parameters of the arch type PV system, such as latitude, longitude, temperature, insolation, arch angle and each kind loss from system organization. For improving Arched PV system efficiency, proposed multiple control inverter system, and using simulation tool of Arched PV system "Solar pro", flat-plate type and many arch type PV system configuration the driving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PV모듈 전.후면 재료별 PID에 의한 출력 변화

  • Kim, Han-Byeol;Jeong, Tae-Hui;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2.1-312.1
    • /
    • 2013
  •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는 높은 시스템 전압을 갖는 PV모듈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PV모듈의 출력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PV시스템의 높은 전압은 태양전지와 PV모듈의 프레임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누설전류는 태양전지 표면에 전하를 축적 시켜 발전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누설전류는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PV모듈을 구성하는 재료가 PID에 의한 출력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ID가 쉽게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PV모듈을 제작 할 때 사용되는 전 후면 재료를 이용하여 각각의 출력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V모듈의 전 후면 재료를 각각 다르게 하여 이에 따른 PID 발생 정도를 출력 변화로 확인하였으며 PID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분석하였다. PV모듈의 후면 재료는 PV모듈 내부로의 수분 침투와 관련하여 PID 발생에 영향을 주고 전면재료인 저철분 강화유리는 PV모듈 내부에 전하를 공급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600W PV ESS with DC power supply function (DC전원공급 기능을 보유한 600W PV ESS)

  • Paeng, Seongil;Park, Unho;Lim, Yong-Bae;Choe, Gyu-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85-8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DC 48V 전원 공급이 가능한 600W급 PV ESS( Energy Storage system)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PV 입력부는 100V이하의 전압 입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3레벨 부스트(Three level boost)컨버터로 구성하였다. 배터리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사용하였고 DC48V부는 벅 컨버터로 구성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의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600W PV ESS 시스템을 구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