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P occurren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Distribution of Alexandrium tamarense in Drake Passage and the Threat of Harmful Algal Blooms in the Antarctic Ocean

  • Ho, King-Chung;Kang, Sung-Ho,;Lam Ironside H.Y.;Ho, dgkiss I.Joh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625-631
    • /
    • 2003
  • While phytoplankton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Ocean has been widely studied in recent years, most attention has been given to elucidat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dynamics of micro-plankton (mainly diatoms) and nano-plankton (mainly Phaeocystis antarctica). Only limited effects have been given to studying the occurrence and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the blooming of dinoflagellates in the relevant wat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appearance and toxi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identified and isolated from the Drake Passage in a research cruis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1 The appearance of A. tamarense in the Southern Ocean indicates the risk of a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outbreak there and is therefore of scientific concern.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overall quantity of A. tamarense in water samples from 30meters below the sea surface often comprised less than 0.1% of the total population of phytoplankto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 tamarense (20 cells $L^{-1}$) was recorded in the portion of the Southern Ocean between the southern end of South America and the Falkland Islands. Waters near the Polar Front contained the second highest concentrations of 10-15 cells $L^{-1}$. A. tamarense was however rarely found in waters near the southern side of the Polar Front, indicating that cold sea temperatures near the Antarctic ice does not favor the growth of this dinoflagellate. One strain of A. tamarense from this cruise was isolated and cultured for further study in the laboratory. Experiments showed that this strain of A. tamarense has a high tolerance to temperature variations and could survive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5-26^{\circ}C$. This shows the cosmopolitan nature off. tamarense. With regard to the algal toxins produced, this strain of A. tamarense produced mainly C-2 toxins but very little saxitoxin and gonyailtoxin. The toxicological property of this A. tamarense strain coincided with a massive death of penguins in the Falkland Islands in December 2002 to January 2003.

유독 와편모조류 Alexandrium속의 출현에 미치는 휴면포자의 발아율 (Germinability of Resting Cyst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Species)

  • 김창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1-264
    • /
    • 1994
  • 패독발생의 원인규명을 위한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원인생물의 출현과 휴면포자의 발아에 의한 현장 개체군의 유입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9월부터 진해만을 중심으로 Alexandrium속의 발생현황, 원인생물의 잠재력을 제공하는 저질중의 휴면포자의 분포 및 실내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만내의 조사된 모든 정점에서 1월부터 Alexandrium속이 출현하여 대곡리 정점(칠천도)에서 3월에 533 개체/l의 최고치를 보였으며, 다른 지점에서는 100개체 이하를 나타냈으나 수온상승기인 4월에는 출현량이 감소하였다. 저질중의 Alexandrium속 휴면포자의 분포밀도는 채집한 정점간의 차이가 많아 100-800 개체/$cm^3$의 밀도를 보였으나, 채집지역의 저질상부층$(0\~4cm)$에서 $700\~800$ 개체/$cm^3$의 분포 지점이 많았다 휴면포자의 발아율은 수정리 정점에서 1월$(72.5\%)$, 4월$(68.0\%)$, 7월$(44\%)$ 및 10월$(9.0\%)$ 순으로 채집 계절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 1월 채집한 만내의 다른 2 정점의 휴면포자도 $71\~97|%$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한편, 수심이 얕은 다대포 지점의 휴면포자는 6월$(86.5\%)$과 10월$(70.0\%)$에도 높은 발아율을 보여 진해만의 각 지점과는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exandrium속 휴면포자의 발아는 지역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비교적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는 온도 등의 환경요인의 변동 외에 내재적 발아리듬의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진해만에서는 저수온기일지라도 휴면포자의 발아에 의한 Alexandrium속의 출현이 놀게 나타나며, 이 지역의 패독발생의 원인생물로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시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