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MC5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Full Length cDNA, Genomic Organizations and Expression Profiles of the Porcine Proteasomal ATPases PSMC5 Gene

  • Wang, Y.F.;Yu, M.;Liu, B.;Fan, B.;Wang, H.;Zhu, M.J.;Li,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897-902
    • /
    • 2004
  • PSMC5 subunit, which belongs to the 26S proteasomal subunit fami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ntigen presentation mediated by MHC class I molecular. Full-length cDNA of porcine PSMC5 was isolated using the in silico cloning and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Amino acid was deduced and the primary structure was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the porcine PSMC5 gene shares the high degree of sequence similarity with its mammalian counterparts at both the nucleotide level and the amino acid level. The RT-PCR was performed to detect the porcine PSMC5 expression pattern in seven tissues and the result showed that high express level was observed in spleen, lung, marrow and liver while the low express level was in muscle. The full-length genomic DNA sequence of porcine PSMC5 gene was amplified by PCR and the genomic structure revealed that this gene was comprised by 12 exons and 11 introns. Best alignment of the cDNA and genomic exon DNA sequence presents 4 mismatches and this information potentially bears further study in gene polymorphisms.

상어 콜라겐의 항산화능, 항균성, Elast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hark Collagens,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 김재원;김도균;박진수;이예경;백경연;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19-426
    • /
    • 2009
  • 상어 collagens(SC)(ASSC: 산가용성 껍질 collagen, ASMC: 산가용성 육 collagen, PSSC: pepsin 가용성 껍질 collagen, PSMC: pepsin 가용성 육 collagen)의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stase 저해활성을 표품(시판 marine collagen)과 비교하였다. SC($1{\sim}5\;mg/mL$)의 전자공여능은 $14.91{\sim}17.21%$로 표품의 $4.82{\sim}5.48%$에 비하여 $3.0{\sim}3.6$배가 높았다. SC($5{\sim}80\;mg/mL$)의 SOD활성은 4.67${\sim}37.28%$로 STMC 보다 $1.9{\sim}5.9$배가 높았다. SC의 S. aureus와 S. enteritidi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5{\mu}g$/disc로 표품의 $200{\mu}g$/disc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E. coli에 대한 MIC는 ASSC 및 ASMC에서는 $200{\mu}g$/disc인 반면 PSSC 및 PSMC는 $100{\mu}g$/disc이었으며 표품에서는 항균활성이 없었다.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은 PSMC가, S. enteritidis에 대한 항균력은 ASMC가, E. coli에 대한 항균력은 PSMC가 가장 높았다. SC($3{\sim}5\;mg/mL$)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58.95{\sim}98.16%$로 표품의 $17.67{\sim}26.25%$보다 $3.34{\sim}3.74$배가 높았다. SC의 elast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0.5 mg/mL에서 1 mg/mL으로 높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1 mg/mL에서의 활성도는 $53.33{\sim}80.00%$로 STMC의 50.67% 보다 높았으며 PSSC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산 및 pepsin 가용성의 모든 상어 collagen은 STMC에 비하여 $1.1{\sim}4.0$배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상어 collagens은 시판 marine collagen보다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A replication study of genome-wide CNV association for hepatic biomarkers identifies nine genes associated with liver function

  • Kim, Hyo-Young;Byun, Mi-Jeong;Kim, Hee-Bal
    • BMB Reports
    • /
    • 제44권9호
    • /
    • pp.578-583
    • /
    • 2011
  •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re biochemical markers used to test for liver diseases. Copy number variation (CNV)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complex traits and is an emerging area in the study various diseases. We perform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with liver function biomarkers AST and ALT in 407 unrelated Koreans. We assayed the genome-wide variations on an Affymetrix Genome-Wide 6.0 array, and CNVs were analyzed using HelixTree. Using single linear regression, 32 and 42 CNVs showed significance for AST and ALT, respectively (P value < 0.05). We compared CNV-based genes between the current study (KARE2; AST-140, ALT-172) and KARE1 (AST-1885, ALT-773) using NetBox. Results showed 9 genes (CIDEB, DFFA, PSMA3, PSMC5, PSMC6, PSMD12, PSMF1, SDC4, and SIAH1) were overlapped for AST, but no overlapped genes were found for ALT. Functional gene annotation analysis shown the proteasome pathway, Wnt signaling pathway, programmed cell death, and protein binding.

대.소 마젤란은하의 측광탐사관측

  • 성환경;KMTNet PSMC 공동연구자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19.2-119.2
    • /
    • 2011
  • 대 소 마젤란은하는 항성진화 및 은하진화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실험실이다. 두 은하는 우리은하에 매우 가깝고, 각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 두 은하에 대한 측광학적 연구는 매우 지엽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다. 시상이 매우 좋은 KMTNet의 1호기 (칠레)를 사용하여 대마젤란은하 ($10^{\circ}{\times}10^{\circ}$)와 소마젤란은하 ($5^{\circ}{\times}5^{\circ}$) 영역에 대한 UBVI 및 협대역 $H{\alpha}$, [OIII] $5007{\AA}$ 측광 탐사관측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제안한다. 1. $V{\approx}23$ 등급까지 대 소 마젤란은하 천체들의 측광 자료의 제공 2. 거리를 지시할 수 있는 천체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3차원 구조 연구 3. 협대역 $H{\alpha}$ 측광을 통해 Herbig Ae/Be 천체들의 분포와 별 탄생 연구 4. 협대역 $H{\alpha}$ 및 O[III] 측광을 통해 행성상성운의 분포와 광도함수 연구 5. 색-등급도 연구를 통해 위치에 따른 별 탄생의 역사 연구 6. 어두운 별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LMC-SMC, LMC-MWG, SMC-MWG의 상호작용 연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