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ED AREA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천연보호구역의 곤충상 현황 (Insect Fauna Status of Nature Reserve Areas in Korea)

  • 안승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1호
    • /
    • pp.72-87
    • /
    • 2009
  •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10개 천연보호구역 가운데 홍도, 설악산, 한라산, 대암산 대우산, 향로봉 건봉산 및 독도천연보호구역에 대해 조사 및 문헌을 토대로 서식 곤충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이 22목 1,867종으로 종다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설악산천연보호구역으로 19목 1,604종, 향로봉 건봉산천연보호구역이 18목 704종, 홍도천연보호구역 19목 474종, 대암산 대우산천연보호구역이 16목 468종, 독도천연보호구역 11목 114종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천연보호구역에서 출현한 곤충목들 가운데 나비목은 홍도, 설악산, 한라선, 향로봉 건봉산 등 4개 천연보호구역에서 우점분류군으로 나타났고 딱정벌레목은 아우점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암산 대우산천연보호구역과 독도천연보호구역에서는 반대로 딱정벌레목이 우점분류군, 나비목이 아우점부류군으로 출현하였다. 나머지 주요 목들의 출현 양상을 각 지역별로 비교하면 하루살이목은 25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잠자리목은 28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집게벌레목은 9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메뚜기목은 51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노린재목은 175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매미목은 126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벌목은 183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파리목은 206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 각각 가장 높은 종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가운데 천연보호구역별 학술조사 규모 및 횟수의 차이는 있으나 향로봉 건봉산천연보호구역, 대암산 대우산천연보호구역 및 독도천연보호구역에서 곤충상이 빈약하게 나타난 것은 다른 원인도 있지만 다양한 종합조사 부족에 따른 결과가 가장 큰 것으로 사료된다. 더구나 성산일출봉천연보호구역, 문섬 범섬천연보호구역, 차귀도천연보호구역, 마라도 천연보호구역들은 지정당시 조사는 물론, 지정 후 지금까지 육상곤충에 대한 종합학술조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곤충상 학술조사가 시급히 필요하며, 이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 및 보전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토지 매수 우선순위 산정 - 깃대종 서식지 적합성 지수를 고려하여 - (Prioritizing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

  • 심윤진;홍진표;이길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7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ioritize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by reflec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considering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lagship species, Oriental White Stork and Been Goose, which can represent the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were selected through selection criteria and expert feedback. Based on the habitat requirements of the selected flagship species, SI(Suitability Index) for the flagship species was reviewed and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was assess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from very high to very low. The area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were mainly distributed around wetlands and water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The land purchase prior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ades by overlapping the thematic maps of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the economics, and the urgency of restoration. The arable lands which can disrupt wetland ecosystems are analyzed as priority areas where priority purchasing is required. Relatively well-preserved wetlands and areas have low land purchase prior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iodiversity is considered in land purchase priorities.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뱀류 로드킬 현황 (Patterns of Snake Roadkills on the Roads in the National Parks of South Korea)

  • 김석범;이정현;박대식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34-244
    • /
    • 2018
  • 도로상에서 차량 충돌에 의해 죽는 동물을 의미하는 로드킬(Roadkill)은 다양한 동물 개체군 크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로가 잘 발달한 도시지역은 물론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에서도 척추동물의 사망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인위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계 안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류군인 뱀류 로드킬이 국가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다양성의 주축인 국립공원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6개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발생한 뱀류 로드킬 현황을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총 10종 736건의 로드킬이 조사되었으며, 유혈목이(Rhabdophis lateralis), 누룩뱀(Elaphe dione),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능구렁이(Lycodon rufozonatus), 살모사(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의 91.7%를 차지하고 있었다. 섭식유형별로는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형 뱀류의 로드킬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월별로는 어린 개체가 분산하는 8월과 동면지로 이동하는 9월에 고도 100~799 m 사이에 위치한 산림-도로-수계나 산림-도로-산림 환경조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립공원 내 도로에서 뱀류의 로드킬 경향 파악과 효율적인 로드킬 저감 방안과 각종 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ucture, Alpha and Beta Diversity of Natural Forest Areas in Eco-Zones of Taraba State, Nigeria

  • Dau Henry, Japheth;Bunde Bernard, Mee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1-12
    • /
    • 2023
  • To understand the health conditions and growth patterns of forest estate for environmental resilience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assessment of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s paramount. This study aimed at assessing the structure, alpha, and beta diversities of tree species in three ecological zones in Taraba, Nigeria for management purposes. In recent time, no research has been reported on the structure and beta diversity of the study areas. A systematic sampling design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sample plots of 50×50 m were laid in each of the six natural forest areas. The result showed a mean DBH (42.5 cm) and a tree height (15.0 m) from the forests. The forests have a structure of an inverse "J-shape," which is typical of natural forests in the tropics. The southern Guinea savanna zone had the highest mean Shannon-Weiner diversity index (2.8). The least beta diversity index (0.02) was between Baissa and Jen Gininya forest areas. Baissa and Bakin Dutse Protected Forest Areas (PFAs) contained 76.5% of the tree species. There is a high chance of all tree species to be found in these 2 forest areas. Proximity to a location influences how similar two tree species are, according to the least beta diversity index (0.02) recorded. The Federal Government's method of management for the forest, known as Gashaka Gumti National Park, may be responsible for the high beta diversity index in the Montane ecozone. Therefore, it should be strongly encouraged to practice strict oversight of natural areas, as their contributions to reducing climate change in Taraba State, Nigeria, cannot be overstated.

Core Habitat Zonation for Selected Endangered Specie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 Khant, Aung Pyeh;Tripathi, Nitin 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5-17
    • /
    • 2003
  •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that the world is facing is the loss of biodiversity and habitats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There are several strategies to protect the habitats and biodiversity within a certain region such as establishing protected areas; monitoring the remaining forests and managing the landscape within limits have been employed. In this study, Predicted Habitat Distribution Model (simple spatial modeling) was developed using vegetation types, land use and land cover, DEM, slope, drainage, roads, human settlement areas and minimum habitat requirements of each species. Then, based on the checklist of presence and absence of each species, the final habitat maps for selected endangered species are generated.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R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has proven a very effective tool to generate wildlife habitat maps at various levels. An effecting mapping could be performed based on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modeling biodiversity indicators in GIS.

  • PDF

원격탐사와 공간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및 패턴 분석 - 강원도 DMZ일원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Pattern Using Remote Sensing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 - Focusing on the DMZ Region in Gangwon-Do -)

  • 나현섭;박정묵;이정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0-118
    • /
    • 2015
  •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객체기반 토지피복 분류도를 구축하고 공간통계기법을 통하여 토지피복의 분류항목별 분포패턴을 파악하였다. 객체기반 분류는 분광정보, 질감정보, 분광정보와 질감정보의 조합에 의하여 각각의 토지피복 분류도를 구축하였으며, 정확도 평가를 통하여 최적의 토지피복 분류도를 선정하였다. 또한, 토지피복의 분류항목별 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핫스팟 분석을 실시하여 정량화하였다. 객체기반 분류를 위한 최적의 가중치는 Scale 52, Shape 0.4, Color 0.6, Compactness 0.5, Smoothness 0.5로 선정하였다. 토지피복 분류도는 분광정보와 질감정보의 조합을 사용하였을 때, 전체 분류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밭과 시설재배지, 나지의 경우 분광정보만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정확도가 약 12% 이상 증가하였다. DMZ일원의 분류항목별 면적비율은 산림 > 논 > 교통시설 > 초지 > 밭 > 나지 > 건물 > 수역 > 시설재배지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양구군의 밭과 교통시설은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 철원군의 밭, 인제군의 산림과 교통시설은 민간인통제선 이남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항목별 분포 패턴의 경우, 농업과 관련된 논, 밭, 시설재배지의 핫스팟(hot spot)은 철원군의 평야 지역과 양구군의 분지 지역에 집중 분포하였다. 나지, 수역, 건물, 도로의 핫스팟 지역은 농업과 관련된 핫스팟 지역과 분포 패턴이 유사한 반면, 산림과 초지의 핫스팟 지역과는 분포 패턴이 상이하였다.

경주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의 식생 특성 분석 - 애기송이풀, 애기등, 복주머니란 개체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Millettia japonica (Siebold & Zucc.) A.Gray and Cypripedium macranthos Sw. Populations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62
    • /
    • 2020
  •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by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located in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06 taxa including 47 families, 79 genera, 96 species, 1 subspecies, 7 varieties and 2 forms. For status by sites, there were 59, 50 and 55 taxa in A area(Pedicularis ishidoyana), B area(Millettia japonica) and C area(Cypripedium macranthos), respectively. In the dominant species, the tree layer was Quercus serrata(A area), Platycarya strobilacea and Pinus koraiensi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subtree layer was Carpinus cordata and Quercus serrata(A area),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1st shrub layer was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A area), Lindera erythrocarpa and Styrax japonicu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2nd shrub layer was Styrax obassis and Lespedeza maximowiczii(A area), Lespedeza maximowicz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B are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the herbaceous layer was Athyrium yokoscense, Dryopteris chinensis, Dryopteris lacera and Lindera obtusiloba(A area), Athyrium yokoscense, Millettia japonica, Carex humilis Leyss. var. nana and Carex ciliato-marginata(B area) and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subsp. serrata, Ajuga spectabili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C area).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 권혁수;서창완;박종화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8
    • /
    • 2012
  •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 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하천의 생태경관 보전 및 복원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전주천과 삼천을 중심으로 -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ections for Urban Stream - Case studies of Jeonjucheon and Samcheon in Jeonju-si -)

  • 임현정;이명우;정문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3-9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for sustainable stream management by reflecting the ecological health,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itizens' needs for stream uses. Therefore, we extended spatial ranges of stream evaluation to riparian areas in addition to stream sections. The evaluation indexes are stream naturalness, availability, biota assessment, and riparian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uses and legally protected areas. The grading system was unified with five classes. The spatial evaluation units for stream section are classified as right and left for laterally and 500m for longitudinally. For riparian areas, 30m and 100m of distance from the edge of stream are applied as spatial evaluation units. The six types of stream sections for management are conservation sections(priority/general) and restoration sections(priority/general) for ecological landscape and core and general sections for cultural landscape. The established system for evaluation and designating areas for stream management was applied to Jeonjucheon and Samcheon in Jeonju-si, and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were designat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non-urban areas and left and right of stream s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detailed guidelines for designating stream sections an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urban stream management.

QGIS를 이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질 분석 및 평가 - 21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Habitat Quality Analysis and Evaluation of InVEST Model Using QGIS - Conducted in 21 National Parks of Korea -)

  • 장정은;권혜연;신해선;이상철;유병혁;장진;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2-111
    • /
    • 2022
  •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으로 다른 곳에 비해 인간에게 제공되는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립공원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공급, 조절, 문화, 지지의 4가지 서비스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는 지지서비스 중 서식지질을 평가하였다. 서식지질 평가는 InVEST의 Habitat Quality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 및 국내 보호지역 실정을 반영하여 인자별 민감도 및 서식지질 초기값 계수를 재설정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의 서식지질을 분석하고 지도화하였다. 서식지질은 0과 1사이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자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서식지질 분석결과 설악산·태백산국립공원(0.90), 지리산·오대산국립공원(0.89), 소백산국립공원(0.8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안-해상형 국립공원을 제외한 18개 국립공원의 면적과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면적이 넓을수록 전반적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용도지구별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 공원마을지구 순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질 분석과 용도지구별 법적인 규제를 함께 고려하였을 때, 인위적인 행위가 제한될수록 서식지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보호지역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21개 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적확한 수치와 지도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이 용이하며, 향후 보호지역의 개발 및 보전에 관련한 정책 결정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