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YLENE GLYCOL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6초

Flexibility 도입을 위한 Propylene glycol 기반 폴리올, 우레탄 변성 에폭시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ropylene Glycol based Polyol and Urethane modified Epoxy Monomer for Flexibility)

  • 전재희;황치원;백종호;임충선;서봉국;유영창;이원주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1호
    • /
    • pp.8-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유연성 부여를 위해 propylene glycol(PPG) 기반 diamine인 Jeffamine D-400을 이용하여 폴리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우레탄 변성 에폭시를 합성하였다. Bisphenol A diglycidyl ether(BADGE)에 합성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와 경화제, 경화촉진제를 배합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제조하고 접착강도 측정으로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합성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우레탄 결합과 PPG사슬 도입을 통한 유연성 부여 효과로 인해 전단 강도와 전단 신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가교 밀도로 인해 사용에 제약을 받고 있는 구조용 접착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SnO2센서의 ZnO 첨가량에 따른 di(propylene glycol) methylether (DPGME)에 대한 반응 특성 (Di(propylene glycol) Methylether (DPGME) Sensing Characteristics of SnO2-ZnO Sensor)

  • 차건영;백원우;윤기열;이상태;최낙진;이덕동;허증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4-228
    • /
    • 2004
  • Respectively the powder made of ZnO added $SnO_2$ was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and the thick film gas sensor was fabricated by screen-printing technique, The morphology and phase of the powder and film was investigated by SEM and XRD. The specific area of the particle was linearly increased with ZnO contents. Target gas was di(propylene glycol) methylether ($CH_3$($OC_3$$H_{6}$ )$_2$OH, DPGME), which is simulant gas of blister gas. The gas sensing characteristics for DPGME were examined with flow type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ncentrations of target gas were controlled from 500 ppb to 1500 ppb. ZnO (2 wt%) added $SnO_2$ showed maximum sensitivity to DPGME at $300^{\circ}C$.

Effects of Propylene Glycol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Solutions and Films

  • Cho, Yong-Han;Kim, Byoung-Chul;Dan, Kyung-Si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8호
    • /
    • pp.591-596
    • /
    • 2009
  • To trace the plasticizing effects of propylene glycol (PG) on poly(vinyl alcohol) (PVA),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VA solutions in dimethyl sulfoxide (DMSO)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PVA film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G content. Both proper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ydrogen bond breaking effects of PG The 6 and 12 wt% PVA solutions containing PG exhibited Bingham behavior, which was more noticeable at lower plasticizer content and higher polymer concentration. The 6 wt% PVA solutions containing more than 30 wt% PG showed a sudden decrease of viscosity over the frequency range of 0.08 and 0.2 rad/s. However, the 12 wt% PYA solutions showed no viscosity reduction even at a PG content up to 40 w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VA/PG films was almost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PG content but an abrupt reduction was observed at a plasticizer content 30 wt%, suggesting that the hydrogen bond breaking effects of PG on PVA became dominant between 20 and 30 wt%. This effect was further supported by the similar tendency of the tensile properties.

소노루미네센스를 이용한 액체정합층의 고출력 초음파에너지 전달특성 평가 (Evaluation of high power ultrasonic energy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a liquid matching layer by using sonoluminescence)

  • 김정순;김해운;손진영;김무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08-416
    • /
    • 2021
  • 초음파 분산에 있어서 초음파의 방사면이 시료에 직접 닿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액체시료는 유리용기에 의해 분리되어 음향매질에 의해 초음파 에너지를 받는다. 이와 같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음향시스템에서 초음파에너지의 전달효율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음향시스템에 있어서 프로필렌글리콜 용액을 액체정합층으로 사용하여 초음파에너지 전달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란주반형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루미놀용액과의 사이에 프로필렌글리콜 용액을 액체정합층 매질로 채우고, 초음파트랜스듀서로부터 방사되는 강력초음파의 비선형현상에 의해 발광되는 루미놀용액의 발광정도를 광전증폭관을 이용하여 관측하여 루미놀용액으로의 초음파에너지 전달 효율을 조사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농도변화에 따른 초음파에너지 전달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프로필렌글리콜 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합효과는 증가하는 반면 음향감쇠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두 상충되는 조건이 절충되는 최적의 농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필렌글리콜 용액의 최적 농도를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고속철도차량용 제빙액으로의 적용가능물질에 대한 융빙성능 평가 (Ice Melting Capacity Evaluation of Applicable Materials of De-icing Fluid for High Speed Railway Rolling Stock)

  • 박경원;이준구;이홍기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84-388
    • /
    • 2019
  • 동절기 고속철도차량 하부 및 대차부에 부착된 설빙이 차량 운행 시 도상자갈구간(침목이 받는 차량 하중 전달 및 침목 고정을 위한 자갈 구간)에서 고속으로 낙하하여 자갈을 비산시켜 이로 인한 철도차량 구조물 및 시설물의 피해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고속철도 개통 이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자갈의 비산을 방지하는 네트, 인력 제빙, 이동식 열풍기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효율성이 떨어진다. 기존보다 효율적인 제빙을 위해 화학적 제빙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제빙액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의 융빙성능, 동점도, 증발성 등을 평가하여 고속철도차량 제빙용으로 최적의 물질을 찾고자 한다. 평가 물질로는 유기산염류 4종(개미산나트륨, 초산나트륨, 개미산칼륨, 초산칼륨)과 알코올류 2종(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실내 평가에서는 개미산칼륨, 초산칼륨, 프로필렌글리콜이 유사한 융빙성능을 보였으나, 모사 살포 시스템을 이용한 융빙성능 결과, 프로필렌글리콜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프로필렌글리콜의 동점도가 2.989029 St로 다른 물질 대비 높아 얼음에서 보다 오래 체류하여 제빙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미산칼륨과 초산칼륨은 결정이 석출되어 차량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필렌글리콜이 고속철도차량용 제빙액으로 최적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발수 성분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PG) 기반 고속철도차량용 제·방빙액의 특성 (Properties of De/Anti-icing Fluid for High Speed Railway Rolling Stock Based on Propylene-glycol Containing Water Repellent Agent)

  • 박진명;김태현;양정무;윤차중;이홍기
    • 공업화학
    • /
    • 제34권1호
    • /
    • pp.69-74
    • /
    • 2023
  • 화학적 제빙 방법으로 프로필렌글리콜 제빙액은 동절기 고속철도차량 하부 및 대차부에 부착되는 설빙으로 인한 결빙을 녹이는데 적용가능하다. 프로필렌글리콜 제빙액을 운행 전 고속철도차량에 철도차량 하부 및 대차부에 미리 살포하여 눈의 부착을 최소화하면 해빙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고속철도의 경우 프로필렌글리콜 제빙액을 살포하여도 고속으로 운행 시 대차 표면에서 제빙액은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눈의 부착으로 인한 결빙에 대한 방빙성능은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고속철도차량 하부 및 대차부에 부착되는 설빙으로 인한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의 결빙을 방지하는 발수 성분을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 제·방빙액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발수제의 종류에 따른 점도, 융빙성능, 접촉각 및 방빙성능에 대한 비교 평가를 실시하여 고속철도차량 제·방빙액으로 최적의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평가 결과 에톡시실란 타입의 발수제 성분을 포함하는 제·방빙액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빙억제제의 종류, 농도 및 침지시간이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발생배의 생존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of Three Cryoprotective Agents on the Embryos Development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정종균;임한규;손맹현;김종현;정민환;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301-308
    • /
    • 2011
  • 결빙억제제(CPA)의 종류, 농도 및 침지시간이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발생배의 생존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세포, 담륜자 및 피면자를 dimethyl sulfoxide,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농도별로 10분, 20분 및 30분간 침지하였다. CPA 침지 후 각 발생배의 발생진행률은 각 CPA 농도가 낮을수록, CPA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또한, 피면자에서 비틀림전까지의 발생진행률은 4세포에서 담륜자까지의 것보다 높았다. CPA 침지 후 발생진행률 및 유생활성지수는 ethylene glycol에서 가장 높았다. 참전복 발생배의 냉동보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CPA 및 농도는 ethylene glycol 2.0 M, 평형시간은 30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담배 액상 및 기체상 중 유해물질 고찰 (Review on Toxic Substances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lectronic Cigarettes)

  • 신호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3-491
    • /
    • 2013
  • Objectives: Electronic cigarettes are battery powered devices that convert a nicotine-containing liquid into an inhalable vapor. The device aerosolizes nicotine so that it is readily entrain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from where it enters the bloodstream. Information on the safety of E-cigarettes is required. Methods: Seventeen articles on studies analyzing toxic substances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lectronic cigarettes were reviewed. Results: Tobacco-specific nitrosamines, bis(2-ethylhexyl) phthalate,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known to be carcinogenic agents in humans or animals, were detected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In addition, diethyl phthalate, acetone, ethanol, cresol, xylene, propylene, styrene,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pentaethylene glycol cis-3-hexen-1-ol, methyl cinnamate and undecane were identified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cigarettes. Propylene glycol, glycerin, 1-methoxy-2-propanol, 1-hydroxy-2- propanone, acetic acid, 1-menthone, 2,3-butanediol, menthol, carvone, maple lactone, benzyl alcohol, 2-methyl-2-pentanoic acid, ethyl mantel, ethyl cinnamate, myosamine, benzoic acid, 2,3-bipyridine, cotinine, hexadecanoic acid, and 1'1-oxybis-2-propanol were detected in the vapors of E-cigarettes. Conclusion: The hazardous compounds identified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cigarettes should be controlled for the lowest concentrations in the raw materials and production procedures.

Effects of poly (ethylene glycol-propylene glycol) copolymer on hemostasis and osteogenesis in a rat calvarial defect model

  • Kim, Ha-Eun;Yoon, Hun-Young;Kim, Eun-Jin;Kim, Sun-Jo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45-153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bioabsorbable bone hemostatic agent comprising poly (ethylene glycol-propylene glycol) copolymers (PEG-PPG) on hemostasis and osteogenesis. Bilateral 3 mm diameter calvarial defects were created in 99 male Sprague-Dawley rats. The defects were filled with PEG-PPG or bone wax. The defects of control group were left unfilled. Virtual autopsy was performed to evaluate bioabsorption. The calvaria were subjected to x-ray microtomography (microCT)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Bone volume fraction (BV/TV)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measured using microCT; furthermore, white blood cell count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were performed. After application of PEG-PPG and bone wax, immediate hemostasis was achieved. Autopsy revealed that PEG-PPG disappeared within 48 h at the application site; in contrast, bone wax remained until 12 weeks. The PEG-PPG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osteogenesis than the bone wax group with respect to BV/TV and BMD at 3, 6, and 12 weeks (p < 0.05). Histology revealed that the bone wax group exhibited little bone formation with inflammation. In contrast, PEG-PPG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qualitative osteogenesis than the bone wax group (p < 0.01). In conclusion, PEG-PPG showed immediate hemostasis and was absorbed to allow progressive osteogenesis.

Macromer를 기초로 한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s Based on Macromers)

  • 전용철;김공수;신재섭;강석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7권3호
    • /
    • pp.161-173
    • /
    • 1992
  • A series of polyurethane block copolymers based on hydroxyterminated poly(dimethyl siloxane), poly(propylene glycol) and poly(tetramethylene glycol) soft segments of molecular weights 1,809, 2,000 and 2,000, respectively, were synthesized. The hard segments consisted of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1,4-butanediol as the chain extender. Samples with different molar ratios were prepared. We tried to synthesize poly(dimethyl siloxane)-based polyurethane(PDMS-PU) containing a hard block as major fraction and a soft block as minor fraction for preparing toughened rigid systems. After a study of the pure PDMS-PU, poly(propylene glycol)-based polyurethane(PPG-PU) and poly(tetramethylene glycol)-based polyurethane(PTMG-PU), (mixed polyol)-based block copolymers and blends between PDMS-PU, PPG-PU and PTMG-PU 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means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ensile testing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mixed polyol)-based PU and in lower hard segment content blends, macro-phase separation was shown, but blends with higher hard segment conten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amounts of phase sepa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