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MA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5초

통합 음성/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무선 MAC 프로토콜 (A wireless MAC protocol for the integrated voice/data services)

  • 임인택;허정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73-118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패킷 라디오 망에서 음성/데이타 집적 서비스를 위한 SS-PRMA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성능을 분석했다. 제안된 프로토콜에서 상향 논리 채널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과 각 슬롯별 확산 코드 채널에 의해서 제공되며, 음성 트래픽은 채널 예약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데이타 트래픽은 매 패킷이 발생할 때마다 임의의 빈 채널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슬롯 ALOHA 방식을 사용한다. 성능 분석의 결과, 채널 예약 방식을 사용하는 음성 트래픽인 경우 단지 몇개의 슬롯별 확산 코드 채널만으로도 충분한 시스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데이타 트래픽인 경우 매 패킷마다 경쟁 방식을 사용하므로 채널의 수에 상당히 민감한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무선 채널의 높은 비트 오류율을 고려하여 데이타 링크 계층에서 FEC기법을 적용한 경우, 데이타 트래픽의 성능이 상당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동적 슬롯 할당 MAC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Dynamic Slot Assignment Protocol for Wireless Multimedia Communication)

  • 여현;강상욱;고진광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61-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PRMA의 구조를 사용하여 ABR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입하므로서 그 개념을 확장하고, 채널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무선 MAC 알고리즘인 APRMA를 제안한다. 기존의 PRMA에서는 랜덤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슬롯을 예약한 수 없다. 즉, 슬롯의 예약은 시간 지연에 엄격한 음성에만 국한된다. 그러나 데이터들도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켜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에 대해서도 예약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채널의 처리율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APRMA에서는 초기에는 최소한의 대역만을 할당해주며, 잉여의 대역이 존재하면 계속 그 전송율을 높여나갈 수 있게 하므로서 채널의 이용율을 높이고, 음성과 같은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 요청에 대해서도 동시에 그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 PDF

초고속 무선 LAN을 위한 Priority Oriented Dobule Reservation 프로토콜 (Priority oriented dobule reservation probocol for very high speed wireless LANs)

  • 조광민;정상일;강철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51-161
    • /
    • 1997
  • In this paper we designed a high speed wireless multiple access protocol, which is suitable for future multimedia wireless LAN systems which support high quality video teleconferencing, telephony and graphic databases. In the proposed protocol, Slotted-ALOHA protocol is used for transmitting random data packets and the packet reservation multiple access(PRMA) protocol for transmitting periodic data packets. The use of minislot is introduced for the reservation scheme. In order to measur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of the proposed protocol, a simulator is designed using an 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C++, and an exhaustive simulation study is carried out.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observed that the proposed protocol and the existing PRMA protocol have almost the same delay characteristic when network traffic is low. However, the proposed protocol is superior to the PRMA protocol when traffic becomes higher. The proposed protocol and th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design of the wireless access systems and future broadband wireless LANs.

  • PDF

Terminal-Assisted Hybrid MAC Protocol for Differentiated QoS Guarantee in TDMA-Based Broadband Access Networks

  • Hong, Seung-Eun;Kang, Chung-Gu;Kwon, O-Hyung
    • ETRI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311-319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terminal-assisted frame-based packet reservation multiple access (TAF-PRMA) protocol, which optimizes random access control between heterogeneous traffic aiming at more efficient voice/data integrated services in dynamic reservation TDMA-based broadband access networks. In order to achieve a differentiated quality-of-service (QoS) guarantee for individual service plus maximal system resource utilization, TAF-PRMA independently controls the random access parameters such as the lengths of the access regions dedicated to respective service traffic and the corresponding permission probabilities, on a frame-by-frame basis. In addition, we have adopted a terminal-assisted random access mechanism where the voice terminal readjusts a global permission probability from the central controller in order to handle the 'fair access' issue resulting from distributed queuing problems inherent in the access network. Our extensiv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AF-PRMA achieve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rms of voice capacity, delay, and fairness over most of the existing medium access control (MAC) schemes for integrated services.

  • PDF

셀룰러 패켓 라디오망용 음성/데이타 집적 다중 엑세스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s of the Voice/Data Integrated Multiple Access Protocols for Cellular Packet Radio Networks)

  • 강군화;조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304-1314
    • /
    • 1993
  • 최근 몇 년 동안 이동통신의 편이성으로 인해 이동통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수년내에 새로운 셀룰러망으로의 진화가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망의 전화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고, 차세대 셀룰러 패켓 라디오망에서의 새로운 음성/데이타 집적 다중 엑세스 프로토콜로 가변경계 TDMA/BTMA 프로토콜을 제안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PRMA 프로토콜과 가변경계 TDMA/BTMA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분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지연에 민감한 음성 트래픽에는 TDMA프로토콜을 사용하고, 패켓 손실에 민감한 데이타 트래픽에는 BTMA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동기신호와 제어정보 및 호 접속 계수기를 사용하여 음성과 데이타영역의 경계를 가변화시킨 가변경계 TDMA/BTMA프로토콜이 PRMA 프로토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 정부기록보존소의 역사기록물 공개에 관한 검토 (A Study on the Access in the Government Archives & Records Service of Korea)

  • 이진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9-140
    • /
    • 2003
  • 이 글은 정부기록보존소에 보존되어 있는 역사기록물의 공개에 관한 법과 제도, 운영상의 미비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세계 각국의 기록보존소는 역사기록물의 공개원칙과 재분류를 위한 세부적인 기준을 세워 역사기록물이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99년 기록물관리법이 제정됨에 따라 역사기록물의 공개와 관련한 의무와 권한은 대체로 기록관리기관으로 넘어왔지만, 그것을 완수하기 위한 기틀과 근거는 아직 정비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와 같은 미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공개법과 기록물관리법을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정비 보완하여야 한다. 첫째, 정보공개법에는 '기록보존소로 이관된 기록물 중 생산한지 30년이 지난 기록물의 공개여부는 기록물관리법에 따른다'는 위임 규정을, 기록물관리법에는 재분류에 관한 원칙과 기준을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용기록물과 역사기록물은 성격이 다른 만큼, 공개문제도 각각의 법에서 규정하는 것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둘째, 기록물관리법에 '생산하지 30년이 지난 기록물은 공개를 원칙으로 함'을 제시한다. 셋째, 기록물관리법에 '생산한지 30년이 지난 기록물의 비공개는 별도의 절차없이 자동적으로 일괄 해제한다. 다만, 국가기밀이나 개인정보를 포함한 기록물은 비공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로써 기록물 공개와 기록물 보호 사이의 균형을 획득한다. 넷째, 국가기밀 개인정보 기록물 등 예외를 인정한 기록물은 정보의 유형별로 기록물을 세분하고 각각의 공개시기를 구체적으로 지정한다. 비공개 해제를 위한 유형별 세부 기준이 명시되지 않으면, 공개재분류가 여전히 주관적이고 일관성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섯째, '기록보존소에 이관된 생산한지 30년이 안된 비공개 기록물은 공개요청이 있을 때 생산기관의 의견을 물어서 기록보존소가 공개할 수 있다'는 방향에서 정비할 필요가 있다.

ABR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 MAC:APRMA (A wireless MAC for ABR type data service:APRMA)

  • 이윤주;강상욱;여현;최승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292-230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PRMA의 구조를 사용하여 ABR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입하므로서 그 개념을 확장하고, 채널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무선 MAC 알고리즘인 APRMA를 제안한다. 기존의 PRMA에서는 랜덤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슬롯을 예약할 수 없다. 즉, 슬롯의 예약은 시간 지연에 엄격한 음성에만 국한된다. 그러나 데이터들도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켜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에 대해서도 예약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채널의 처리율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MAC에서는 음성 뿐 아니라 데이터에 대해서도 예약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때, 데이터에 고정된 전송율을 갖도록 슬롯을 예약해줄 수도 있겠지만 이로 인해 시간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들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APRMA에서는 초기에는 최소한의 대역만을 할당해주며, 잉여의 대역이 존재하면 계속 그 전송율을 높여나갈 수 있게 하므로서 채널의 이용율을 높이고, 음성과 같은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 요청에 대해서도 동시에 그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 PDF

무선 환경에서 ABR 서비스를 위한 MAC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C Protocol for ABR Service in Wireless environments)

  • 강상욱;정종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0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463-47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PRMA의 구조를 사용하여 ABR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입함으로서 그 개념을 확장하고, 채널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무선 MAC 알고리즘인 APRMA를 제안한다. 기존의 PRMA에서는 랜덤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슬롯을 예약할 수 없다. 즉, 슬롯의 예약은 시간 지연에 엄격한 음성에만 국한된다. 그러나 데이터들도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켜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에 대해서도 예약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채널의 처리율도 높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에 고정된 전송율을 갖도록 슬롯을 예약해줄 수도 있겠지만 이로 인해 시간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들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APRMA에서는 초기에는 최소한의 대역만을 할당해주며, 잉여의 대역이 존재하면 계속 그 전송율을 높여나갈 수 있게 함으로서 채널의 이용율을 높이고, 음성과 같은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서비스 요청에 대해서도 동시에 그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