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P&S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46초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 거동 비교 (Comparison of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Syndiotactic Polypropylene and Isotactic Polypropylene)

  • 이상원;허완수;현욱;이동호;노석균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09-520
    • /
    • 2003
  • 입체규칙성이 다른 폴리프로필렌 (PP)의 결정화 거동을 비교하였다. 결정화 조건은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sPP)과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iPP)의 단위 결정 격자, 라멜라 구조, 구정의 성장에 영향을 주었다. 냉각속도가 증가할수록 결정 구조의 안정성이 감소하였으며, 냉각속도에 따른 구조적 변화는 iPP 가 sPP보다 크게 나타났다. sPP는 1 $^{\circ}C$/min 이하의 속도로 서냉될 때 body centered cell H의 fully antichiral packing 구조를 형성하였고 sPP가 primitive cellII구조를 형성할 때, 결정 격자와 라멜라 구조는 열이력의 영향을 작게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대 결정화 온도에서 결정화 속도는 iPP가 sPP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tallocene-catalyzed Isotactic Polypropylene and/or Syndiotactic Polypropylene Single Crystals; Preliminary Studies

  • Park, Deuk-Kil;Park, Jin-Woo;Kim, Il;Ha, Chang-Sik
    • 접착 및 계면
    • /
    • 제6권2호
    • /
    • pp.1-5
    • /
    • 2005
  • Single crystals of metallocene-catalyzed isotactic polypropylene (iPP) and/or syndiotactic PP (sPP) were prepared and preliminarily characterized. The crystallization was performed utilizing 0.1 % by weight concentrations of each PP in o-xylene in the range of temperature of $40{\sim}90^{\circ}C$. Following the XRD patterns, samples were ${\alpha}$-iPP and antichiral Cell III of sPP. The XRD pattern of iPP shows three ${\alpha}$-form peaks due to the (110), (040), (130) planes at $2{\theta}=14.2^{\circ}$, $17^{\circ}$, $18.8^{\circ}$, respectively. The XRD pattern of sPP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020) reflection at $16^{\circ}$. The melting point ($123^{\circ}C$ and $148^{\circ}C$, respectively) of the metallocene catalyzed iPP and sPP were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PP ($160{\sim}170^{\circ}C$) due to the misinsertion of the monomer. When metallocene-catalyzed iPP samples were crystallized isothermally from solution grown at a lower temperature, lozenge shape single crystals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 PDF

재활용 PP/EVOH/PP 스크랩의 상용화제별 열적/기계적 특성연구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P/EVOH/PP Scrap with Compatibilizers)

  • 전용진;안태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6-181
    • /
    • 2008
  • 식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PP/EVOH/PP 다층 복합필름 scrap의 재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PP/EVOH scrap에 두 종류의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열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열적 특성은 융융거동을, 그리고 기계적 특성으로는 인장강도, 파단신율, 인장탄성율 등의 특성을 상용화제의 종류와 조성비 변화에 따라 조사하였다. 이들 연구로부터 상용화제인 Minanto-s와 GMS에 대해서 모두 0.5wt. %이상의 조성에서 혼합재질인 PP/EVOH scrap의 상용성을 갖게 함을 알 수 있었다.

RBL-2H3 세포에서 IgE-depne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의 탈인산화 효소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Calcium/Calmodulin-Dependent Phosphatase as the Dephosphorylating Enzyme of IgE-Depen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 in RBL-2H3)

  • 황선옥;이경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9-193
    • /
    • 2005
  • RBL-2H3 cell lysates에 anti-protein phosphatase(PP) 1, 2A, 2B 항체를 첨가한 후 immunoprecipitation을 실시한 결과 PP2B를 가해준 샘플에서만 HRF를 확인하였다. 역으로 monoclonal anti-HRF 항체를 가한 후 immunoprecipitation을 실시한 결과 PP1, 2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PP2B의 경우는 regulatory subunit(19 kDa), catalyic subunit(60 kDa)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해서도 PP2B가 HRF의 탈인산화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즉 19kDa의 PP2B regulatory subunit과 60kDa의 catalytic subunit 모두가 확인되었으며 외부 $Ca^{2+}$이온 첨가 여부에 따른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RBL-2H3 cell에서 PP2B는 PP1이나 PP2A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존재량은 적으나 HRF와 상호작용하는 phosphatase로서 검출된 반면 PP1이나 PP2A는 검출되지 않았다.

스피커를 이용한 ABS와 PP의 손실계수 및 영률 측정 (Measurement of Loss Factor and Young's Modulus of ABS and PP Specimens by Using a Speaker)

  • 전병수;정성수;이종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9호
    • /
    • pp.724-730
    • /
    • 2014
  • It is essential to control noise and vibratio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the automobile industry, various plastics have been developed and replaced metallic materials in order to reduce mass and vibration effectively. In this study,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Young's moduli and the loss factors of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and Polypropylene(PP).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error to determine the two quantities, a loudspeaker was used instead of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devices to generate bending motion to the specimens and a laser vibrometer was also used in detection of vibration signal of the specimen. The measured Young's moduli and loss factors of the ABS specimen were nearly constant as the temperature($-10{\sim}60^{\circ}C$) was increased. The loss factor of PP specimen showed peak value at $20^{\circ}C$ and it means that there is glass transition for the PP specimen. Young's modulus of PP specimen was linearly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의 유변학적 성질 및 함유물의 용출 성분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ntaining Sodium Alkylbenzenesulfonate and the elution Property of the Ingredient)

  • 박승구
    • 유변학
    • /
    • 제3권2호
    • /
    • pp.175-185
    • /
    • 1991
  • Sodium octylbenzenesulfonate(SOB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SDBS)를 폴리프로필렌(PP) 용융액에 각각 균일하게 서로 다른 함량으로 섞어 넣은 후에 용융압착법 으로 PP 필름을 제조하였다. 저장 점성도(η') 저장탄성률(G') 및 손실 탄성률(G")을 진 동식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170~19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온도 범위내에서 첨가제를 함유 한 PP와 순PPrks에 Cole-Cole 플롯(G'에 대한 G"의 log-log 플롯)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전단속도에서 SOBS의 첨가량이 8%를 넘어서면서 η'과 G'은 증가하였 다. 이러한 현상은 PP 중에서의 첨가제의 응집효과로 설명되었으며 이것은 SOBS와 SDBS 를 함유하는 PP 필름의 시차 주사열량법 및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결과로 확인되었다. SDBS를 8% 미만 함유하는 PP로부터 섬유의 용융방사가 가능하였으나 SDBS3% 이상 함 유PP 방사섬유는 연신 과정중에 섬유의 절단이 이따금 일어났다. PP 기질내에 있어서의 SDBS의 뜨거운 물에대한 견뢰성을 SDBS와 C. I. Basic blue 41사이의 이온결합 형성 거동 에 바탕을 두어 가시분광법에 의하여 검토하였다.

  • PDF

점토의 분산성이 PP/점토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spersivity of Clay on Thermal Stabilities of PP/Clay Nanocomposites)

  • 박수진;전병렬;송시용;최길영;이종문
    • 폴리머
    • /
    • 제27권5호
    • /
    • pp.458-463
    • /
    • 2003
  • 표면처리된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MMT)가 PP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a^{+}$-MMT는 dodecylammonium chloride를 이용하여 유기적으포 개질하였다. 비표면적 ( $S_{BET}$), 평형확산압력 ($\pi$$_{e}$ ), 그리고 비극성 요소 (${\gamma}$ $s^{L}$)를 포함하는 표면 특성은 $N_2$ 흡착을 이용하는 BET 방법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은 시차주사열량계 (DSC)와 열중량 분석기 (TGA)를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오존처리된 dodecylammonium chloride (DA-MK ( $O_3$))의 $\pi$$_{e}$${\gamma}$ $s^{L}$는 1.7과 3.5 mJ/ $m^2$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미세기공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DSC 결과로부터, PP/DA-MK와 PP/DA-MK ( $O_3$)의 용융 온도와 결정화 온도는 순수한 PP보다 더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나노크기의 DA-MK가 PP 결정화를 위한 핵생성 효과를 유도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PP/DA-MK ( $O_3$)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은 64 kJ/mol 향상되었는데, 이는 PP 매트릭스 내 DA-MK ( $O_3$)의 분산성 향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단된다.다.

파프리카 첨가 형태 및 첨가량에 따른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Different Forms and Concentrations of Fresh Paprika)

  • 박나영;우다인;이성원;강혜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9-734
    • /
    • 2014
  • 파프리카 생과의 활용성 증대와 즉석 처리된 파프리카를 이용한 양갱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적색 파프리카의 즙과 페이스트(PJ: paprika juice, PP: paprika paste)를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물과 주스 또는 페이스트의 배합비는 각각 10:0, 8:2, 6:4, 4:6, 2:8, 0:1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양갱의 pH는 PJ와 P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낮았으며(P<0.05), 산도의 변화는 첨가 형태 및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J와 P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수분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파프리카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양갱의 lightness는 감소하였으며 redness와 yellowness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edness와 yellowness는 PJ 형태로 첨가한 것보다 PP 형태로 첨가한 것이 높았다. 파프리카 첨가 양갱의 탄력성과 경도는 PP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파프리카를 첨가한 양갱은 대조구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PP로 제조한 양갱이 PJ를 첨가한 양갱보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맛, 풍미, 색,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 첨가 형태나 첨가 농도에 관계없이 파프리카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양갱제조 시 파프리카 주스(PJ)와 물의 배합비 8:2, 파프리카 페이스트(PP)와 물의 배합비 2:8의 혼합액을 사용한 양갱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독립 PP(방송채널사용사업)의 현황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Status of Independent PP (Program Provider))

  • 김대호;김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1-80
    • /
    • 2013
  • 이 연구는 PP(방송채널사용사업) 현황을 진단하고, 특히 독립 PP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14개 독립 PP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독립 PP의 문제를 경영, 제작, 콘텐츠의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립 PP는 MPP에 비해 경영, 제작, 콘텐츠 모두에서 열악한 위상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독립 PP의 경영 구조는 매우 취약하였으며, 제작 환경도 좋지 않았다. 독립 PP들은 콘텐츠 제작 및 구매도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으며, 지상파 재방 콘텐츠에 의존하는 등 제작보다는 유통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는 PP시장의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독립 PP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상용화제에 따른 Recycled PP/EVOH/PP Scrap의 특성분석 연구 (A Study of Properties of Recycled PP/EVOH/PP Scrap by Compatibilizers)

  • 전용진;안태광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83-286
    • /
    • 2006
  • 식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PP/EVOH/PP 다층 복합필름의 scrap 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상용화제 첨가한 PP/EVOH/Compatibilizer 블렌드의 상용화제 종류와 첨가량에 따른 재활용 수지의 열적 특성인 용융거동과 기계적 특성인 인장강도, 파단신률, 모듈러스 등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용화제 Monato-s와 GMS를 각각 0.2, 0.5, 0.7 % 첨가한 블렌드 조성에서의 열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두 상용화제 모두 0.5 %이상의 조성 블렌드에서 PP/EVOH의 상용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