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V (predicted mean vot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129초

시스템에어컨과 환기시스템 설치 강의실에서 냉방시 열쾌적성 및 실내공기질 연구 (Study on Thermal Comfort and Indoor Air Quality in the Classroom with System Air-conditioner and Ventilation System for Cooling Loads)

  • 노광철;장재수;오명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0권1호
    • /
    • pp.57-66
    • /
    • 2006
  • The experimental and the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comparison of thermal comfort(TC) and indoor air quality(IAQ) in the lecture room for cooling loads when the operating conditions are changed. PMV value and $CO_2$ concentration of the lecture room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numerical results.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one and then the numerical tool was used to analyze thermal comfort and IAQ for a couple of operating condi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crement of the discharge angle of system air-conditioner makes TC uniformity worse, but rarely affects IAQ. Also TC and IAQ were hardly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the discharge airflow. Finally it turned out that TC is merely affected by the increment of the ventilation airflow, but the average $CO_2$ concentration can be satisfied with Japanese IAQ standards of classrooms when the ventilation airflow is more than $800m^3/h$ in this study.

교실 천장형 Unit의 위치에 따른 온열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eiling Type Unit in Classroom)

  • 조성우;최정민;손영환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5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5-140
    • /
    • 2005
  • Installation of ceiling type unit is achieved by one of efforts for agreeable classroom environment embodiment along with economic growth. But research about changing the position of ceiling type unit is lacking in present. Therefore, this thesis is to study the thermal environment of 5 different position cases of ceiling type, namely Case A, B, C, D, E. Here, Case C is the case that has the position of ceiling type center of the classroom and the other 4 alternatives are 0.7 m away from the Case C according to x and z axis. In this thesis temperature distributions, air current distribution, heat amenities such as PMV of occupants are analyzed as the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these factors, Case C and Case D are the better position alternatives than the alternatives of Case A, Case B and Case E because the latter cases the air current reaches directly to indoor occupants so that occupants feel chilly. This thesis has a conclusion under the condition of only one inlet air temperature and seat arrangement. But afterwards more inlet air condition and seat arrangement must be considered.

  • PDF

확장형 발코니 공동주택의 창호종류에 따른 결로 및 온열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dens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Window Systems Types Installed for a Extended-Balcony Apartment)

  • 윤종호;안영섭;김병수
    • KIEAE Journal
    • /
    • 제7권5호
    • /
    • pp.87-92
    • /
    • 2007
  • As expansion of balconies at apartments has been legalized, the major function of the balconies as a thermal buffer zone is disappearing. This weakens the ability of window to insulate heat and multiplies surface condensation. Thus more and more residents require solutions to increasing surface condensation and aggravation in thermal comfort.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by evaluating performance of triple layered Low-E windows, triple layered clear windows, double layered Low-E windows and double layered clear window used for expanded balconies and marketed within the country in terms of surface condens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through sim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no surface condensation occurred at double layered Low-E windows and triple layered Low-E windows. Surface condensation took place at double layered clear windows and triple layered clear windows at a relative humidity of 60%.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suggested that double layered clear windows showed the most time falling into the range of comfort at $23^{\circ}C$. The figure were $22^{\circ}C$ for triple layered clear windows, $22^{\circ}C$ for double layered Low-E windows and $21^{\circ}C$ for triple layered Low-E windows.

실내수영장의 열, 기류 및 습도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rmal, Air-flow and Humidity Conditions in an Indoor Swimming Pool)

  • 강석윤;이태구;문종선;이재헌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683-689
    • /
    • 2003
  • The thermal comfort of an indoor swimming pool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indoor spa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large space and the wear conditions of swimmers. Dew condensation by humid air not only makes mold on the floor, wall and roof but also decreases the durability of buildings by penetrating into their structur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field, the temperature field and the humidity distribution in an indoor swimming pool have been examined by the numerical method to estimate the level of thermal comfort and the generation rate of dew condens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w condensation regions were spread widely at the eastern parts of the swimming pool due to the insufficient air flow rate with low velocity and temperatur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dew condensation in a region, a sufficient warm air flow rate should be supplied to make an air mixing. The values of PMV at horizontal plane of 1.5 m height have the range of -1.0∼1.2, which means the suitable level for swimmers.

유형별 녹지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단지 내 도시열섬현상 저감효과 분석 (Simulation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of Green Area Types in Apartment Complexes)

  • 지은주;김다빈;김유경;이정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53-165
    • /
    • 2023
  •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바람의 흐름과 열쾌적성을 고려하여 녹지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녹지 계획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사례 대상지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수집된 온도 및 불쾌지수 자료를 비교하여 강동구 고덕동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로 선정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지 현재의 열환경과 바람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녹지의 패치와 코리도 형태의 요소를 고려하여 시나리오 1(패치), 시나리오 2(코리도), 시나리오 3(패치+ 코리도)의 세 가지 시나리오를 계획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나리오별 풍속, 풍향, 그리고 열쾌적성을 ENVI-met로 분석하여 도시 열섬현상의 완화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패치 형태의 녹지는 풍속의 증가 및 풍량 개선에 기여하여 예상온열감(PMV)가 31.20%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시나리오 1), 열쾌적성 지표(PET)가 68.59%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리도 형태의 녹지로 계획한 경우 바람길의 연결이 용이하여 패치 형태의 녹지 계획에 비하여 풍속이 더욱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나 예상온열감(PMV)은 92.47%, 열쾌적성 지표(PET)는 90.14% 감소하였다 (시나리오 2). 녹지 패치와 녹지 코리도를 복합적으로 계획한 경우 가장 큰 풍속의 증가와 연결성을 보여 예상온열감(PMV)에서 95.75%, 열쾌적성 지표(PET)에서 95.3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시나리오 3). 그러나 대상지 내에서 협소한 지역의 경우 패치형 녹지계획이 코리도형의 녹지 계획에 비하여 열쾌적성을 개선하는 데에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도시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패치형태의 녹지와 코리도 형태의 녹지의 계획의 복합적인 형태로 계획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형 아파트단지의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녹지계획의 가이드를 제시하여 도시열섬현상에 따른 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내부 탑승자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초기 냉방운전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the Initial Cool-down Performance Inside an Automobile for the Evaluation of Passenger's Thermal Comfort)

  • 김윤기;양장식;백제현;김경천;지호성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5-123
    • /
    • 2010
  • Cool-down performance after soaking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passenger's thermal comfort. The cooling capacity of HVAC system determines initial cool down performance in most cases, the performance is also affected by location, and shape of panel vent, indoor seat arrangement. Therefore, optimal indoor designs are required in developing a new car. In this paper, initial cool down performance is predicted by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Experimental time-averaging temperature data are used as inlet boundary condition. For more reliable analysis, real vehicle model and human FE model are used in grid generation procedure. Thermal an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n re-circulation cool vent mode are investigated using CFX 12.0. Thermal comfort represented by PMV(predicted mean vote) is evaluated using acquired numerical data. Temperature and velocity fields show that flow in passenger's compartment after soaking is considerably unstable at the view point of thermodynamics. Volume-averaged temperature is decreased exponentially during overall cool down process. However, temperature monitored at different 16 spots in CFX-Solver shows local variation in head, chest, knee, foot. The cooling speed at the head and chest nearby panel vent are relatively faster than at the knee and foot. Horizontal temperature contour shows asymmetric distribution because of the location of exhaust vent. By evaluating the passenger's thermal comfort, slowest cooling region is found at the driver's seat.

HVAC 관련 매개변수 및 탑승조건에 따른 자동차 실내의 온열쾌적성 평가모델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Automotive Indoor Thermal Comfort Model According to Boarding Conditions and Parameters Related to HVAC)

  • 윤성현;박준용;손덕영;최윤호;박경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9호
    • /
    • pp.979-988
    • /
    • 2014
  • 자동차를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온열쾌적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진 실제 자동차 중에서 공조시스템의 냉방성능은 자동차 제조사별로 온열쾌적성 지표를 통해 평가되지 않고, 실내의 공기 속도와 온도 등 열환경 기준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또한 차 실내의 온열쾌적성을 수치해석으로 평가하는 경우 타당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수치기법에 대한 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열원을 모사하기 위하여 태양광선 추적모델을 사용하고, 공조시스템 작동 후 20 분까지 다양한 매개변수(공조시스템의 작동모드와 작동풍량, 인체모델 탑승조건)에 대한 자동차 실내의 온열쾌적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자동차 실내의 온열쾌적성 지표를 예측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도출하였다.

공간 구조별 열쾌적성 평가와 열환경 개선방안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 이정아;정대영;전진형;이상문;송영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20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 소공간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공간 구조별 열특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도심 내 위치한 고려대학교 캠퍼스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 내에 공간 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장소에서 열환경을 조사하였다. 기상장비를 활용한 미기상 및 바이오 기상 측정, 어안렌즈 촬영사진(Fish-eye lens photography)를 활용한 공간구조 및 특성 분석, 그리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기상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열쾌적성 모델링의 순서로 공간의 열환경 및 인체 열쾌적성을 분석하였다. 열환경 평가 결과, 인체 열쾌적성의 정도는 캠퍼스 공간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이나 수목 등에 의해 위요된 폐쇄형 공간 유형에서 개방형 공간 유형에서 분석된 평균 복사온도, PMV, PET 지수보다 더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목과 건물에 의한 태양복사열의 차단 및 그림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간을 계획할 때 개방성이나 통풍성을 높이기 위한 수목의 배치를 고려하고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바닥포장이나 건물 외장재 종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의 이용자가 실제적으로 느끼는 열쾌적성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이를 평가함으로써 이용자를 고려한 공간계획 방안을 제안하였다.인체 열쾌적성을 평가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 및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기반 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개선효과와 실내쾌적지수 분석 (Particulate Matter and CO2 Improvement Effects by Vegetation-based Bio-filters and the Indoor Comfort Index Analysis)

  • 김태한;최부헌;최나현;장은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8-276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인에게 안전한 실내공기질 개선수단으로 인식되는 공기정화식물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 실내공조에 요구되는 총풍량 확보가 가능한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했다. 시스템의 정량적 성능평가는 강의실형태의 실험실 체적 $332.73m^3$ 내 16명의 재실자 조건에서 목업단위 시스템의 공조 성능, 실내공기질 및 쾌적지표 개선효과에 대한 시계열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시스템 구동을 통해 총 $1,411.22m^3/h$의 유출 총풍량을 확보하여, 4.24 ACH의 환기율을 제공할 수 있었다. 실내온도는 $1.6^{\circ}C$, 흑구온도는 $1.0^{\circ}C$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상대습도는 24.4% 상승한 최대 82.0%까지 증가하였다. 상대습도 급증에 따른 쾌적도 감소현상은 송풍기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실내기류로 상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스템 가동에 따른 공기질 개선지표 중 $PM_{10}$은 39.5% 감소한 평균 $22.11{\mu}g/m^3$을 기록하였다. 반면, $CO_2$는 최대 1,329 ppm까지 지속적으로 농도가 상승했는데, 이는 광도조건이 광보상점을 만족하지 못해 적용 식물과 재실자에서 방출되는 $CO_2$가 처리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내쾌적지표의 경우 PMV는 평균 83.6 % 감소된 -0.082, PPD는 평균 47.0% 감소된 5.41%에 수렴하여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구동에 의해 높은 쾌적범위의 실내공간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소수 참여인원과 단기간 실험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성능 규명이 제한적인 부분이었으며, 보다 장기간의 실험을 통해 바이오필터에 도입된 식생의 생육상태에 따른 압력손실 변화,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규명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