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P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월 PMP 개념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option on the Concept of Monthl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 최한규;김남원;최용묵;윤희섭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B호
    • /
    • pp.241-248
    • /
    • 2001
  • Normally at a flood season the operation of the dam depends on a short range weather forecast that makes many difficulties of the management at a dry season. It is needed to study the pattern of the long period rainfall. The concept of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was used for designing dam. From the concept, this study is applied the concept of monthl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or operating dam. It can be possible to let us know the appropriateness of a limiting water level at a rainy season. For the operation of dam at a dry season this study can predict roughly the flood season's pattern of precipitation by month or period, therfore the prediction of precipitation can rise efficient operation of a dam.

  • PDF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Thai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Kingpaiboon, Sununtha;Netwong, Titiy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04-806
    • /
    • 2003
  •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s essential in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s, weirs and flood control structures. Up to the present, PMP has been derived from any proper single storm which can have a large error. PMP values should be evaluated from many historic heavy storm ev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Since this can be done at the spots of storm occurring and the calculated PMP from all spots in the country can be correla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erefore to evaluate PMP from historic heavy storm data from 1972 to 2000 by using meteorological method, then to correlate and to present the results using GIS. The maximized rainfall depths can be calculate from depth of heavy rainfall and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n can be analyzed for each rainfall duration to obtain spatial rainfall distribution by using GIS. The depth-area-duration relationship of maximized rainfall can be obtained and this helps to develop enveloped curves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 set of contour maps of PMP for each rainfall duration for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depth-area-duration relationships for the area of 100 to 50,000 km.$^{2}$ at duration of 1, 2 and 3 days.

  • PDF

PMF 산정방법에 따른 비교 (Comparison of the Estimation Methods for PMF)

  • 권남원;이정은;신홍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0-714
    • /
    • 2005
  •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은 "지역에서 합리적으로 가능한 극심한 기상학적 그리고 수문학적인 조건들의 가장 심각한 조합으로 예상되는 홍수"라 정의되며,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입력으로 한 강우-유출관계에 의해서 산정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댐과 같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와 평가의 기준이 되는 PMF 산정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그에 따른 PMF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PMF 산정방법 중 시간분포방법에 따른 가능최대호우(Probable Maximum Storm; PMS)의 구축과 단위도의 선정이 PMF의 값에 영향을 크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댐설계시 산정된 PMP/PMF와 재산정한 PMP/PMF의 변화를 비교$\cdot$고찰하였다. 평균적으로 기존 댐설계시에 비해 금회 산정한 PMP는 약 $27\%$, PMF는 약 $42\%$의 증가를 보였다. PMF의 증가는 PMP의 증가와 더불어 기존 단위도보다 실측자료에 근거한 단위도가 더 빠르고 강한 강도의 유역반응을 초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 PDF

우리나라의 최대하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requency Factor in Korea)

  • 노재식;이원환;이길춘
    • 물과 미래
    • /
    • 제19권3호
    • /
    • pp.249-258
    • /
    • 1986
  • 본 연구는 수공구조물의 계획설계와 물관리 계획시 계획강우량의 결정기준이 되는 우리나라 전역의 최대하강수량 추정을 위한 최대하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내용이다. PMP 빈도계수 산정에 있어서는 연속기록년 20년의 자기우량기록지 보유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속기간별(10분, 1,2,4,6,12,24시간) 연최대치 강우자료집단을 이용하여 연최대평균강우량에 따른 PMP 빈도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최대하강수량은 최대평균강우량과 빈도계수 및 지속기간 상관도상에서 얻어진 PMP 빈도계수와 통계치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방법으로 산정하였으며, 포락선에 의해서 지점 최대하강수량과 지속기간 관계식을 유도하여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점 최대하강수량으로부터 전국에 대한 24시간 최대하강수량 분포도와 PMP·DAD 곡선을 작성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MP frequency factor for evaluation of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n Korea. The value of PMP is the criterion of the determination of design rainfall in Planning and designing hydraulic structures,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o obtain the object, 12 key stations were selected in which have the automatic rain0recording paper of 20 years, and the annual maximum rainfall values were calculated for each 7 durations(10 min., 1,2,4,6,12,24 hr.). Th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were estimated, and diagram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nual maximum rainfall($$) and frequency factor for each durations were drawn. PMP was estimated by statistical method using the PMP frequency factor obtained from the diagram and statistics($$, Sn). The PMP-Duration Equation was derived from the envelope curve in order to obtain the PMP for an arbitrary duration. The isohyetal map of 24 hours PMP and PMP. DAD curve for the whole of Korea were drawn in accordance with the point PMP values.

  • PDF

우리나라 기상자료를 이용한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 빈도계수 산정 (Estimation of the frequency coefficient for statistical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using the weather data in Korea)

  • 서미루;이주형;김교범;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9-169
    • /
    • 2021
  •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방법은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측정 방법 중 하나로 WMO에서 통계학적인 PMP 추정 방법으로 Hershfield가 제안한 공식을 제시했다. Hershfield는 95,000개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기본적으로 통계학적 PMP 추정방법의 빈도계수는 km = 15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강우 지속기간 및 연최대 시계열의 평균에 따라 값이 변하게 되며, Hershfield(1965)는 지속시간과 연최대 시계열의 평균에 따른 빈도계수가 5 ~ 20 사이의 값을 갖는다고 제안한 바 있다. Hershfield의 빈도계수는 미국 지역의 2,645개의 관측소의 95,000개의 강우 자료 이용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적용하였을 때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통계학적 방법보다는 수문기상학적 PMP 추정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상 자료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가지는 지점 10개를 선정하여 빈도계수를 산정하였다. 빈도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시계열로 구성된 강우 자료를 사용해야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자료의 이상치 검정을 진행하였으며, 경향성의 경우 정상성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확률 분포형은 극치분포인 GEV분포, Gumbel분포, Log-Gumbel분포, Weibull분포를 비교하여 가장 적절한 분포형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은 빈도계수를 이용하여 구한 PMP값과 기존 Hershfield가 제시한 빈도계수 값 km = 15를 이용한 PMP값을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수치 기상 모형을 이용한 최대 강수량 산정에 대한 연구 (Study for Estimation of Maximum Precipitation using Numerical Weather Model)

  • 이정훈;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5-235
    • /
    • 2016
  • 댐이나 홍수방지시설과 같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에는 주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PMP의 산정은 관측자료의 정상성 가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같은 비정상성을 고려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대기 프로세스의 비정상성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수치 기상 모형(Numerical Weather Model)을 이용하여 최대강수량(Maximum Precipitation, MP)을 산정하는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로 대상 극한 강우사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상들은 지역 대기 모형 중 하나인 WRF를 이용하여 재현된다. 이때, 한국 내의 약 650개의 AWS 자료와 NCEP에서 제공하는 전세계 기상관측자료 및 해수면 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초기조건과 경계조건을 개선하고, 총 강수량과 강우의 공간적인 분포를 재현하기 위한 최적 물리옵션을 찾기 위해 다양한 수치실험이 수행된다. 최종적으로 재현된 극한 강우사상은 모형의 경계조건과 수분 최대화의 통해 최대화되어 물리적으로 가능한 최대 강수량을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제한된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최대 강수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추후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한 연구와 강우의 최대화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지만, 정상성 가정에 의존하지 않는 극한 강우사상 산정에 잠재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위천유역(渭川流域)의 가능최대홍수량(可能最大洪水量)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Probable Maximum Flood on Wi Stream Watersheds)

  • 최경숙;서승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37-44
    • /
    • 1998
  • 낙동강 지류중 하나인 위천유역 및 동성유역권의 수공구조물 설계시 설계홍수량 결정을 위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시간분포의 유형과 기저유량의 변화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으로 PMP를 추정하고, Blocking방법의 central, advanced 그리고 delayed type를 각각 이용하여 시간 분포시킨 호우를 Clark방법을 이용하여 PMF를 산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MP시간분포형에 따라서 첨두 PMF는 기저유량에 따라 advanced일 때 3145.3~3348.3cms, central일 때 3774.6~3977.7cms, delayed일 때 3814.6~4017.3cms로 나타났다. 여기서 강우의 시간분포가 advanced type이고 기저유량이 Minimum일 때 central과 delayed에 비하여 첨두PMF가 670cms정도 작게 나타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최대 첨두PMF와 최소 첨두PMF는 각각 delayed와 advanced일 때의 4017.3cms와 3145.3cms이며, 결과에 의한 평균 PMF는 3653.6cms로서 이 결과가 위천유역의 설계홍수량으로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2. 평균PMF와 가지야마에 의한 결과치와는 가지야마 값보다 1.7배 큰값으로 나타났고 이는 1,000년에서 10,000년 빈도사이의 홍수량으로 추정된다.

  • PDF

하천유역의 설계 홍수량 결정을 위한 P.M.P의 산정 및 적용 (PMP Estim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esign Flood Determination in River Basin)

  • 이순택;박정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86년도 제28회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초록집
    • /
    • pp.93-101
    • /
    • 1986
  • 본 연구는 하천유역에 있어서,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홍수량 결정을 위한 최대가능강수량(PMP)분석 및 적용에 그 목적이 있다. PMP는 수문기상학적 방법, 통계학적 방법, 포격선 방법으로 산정하였으며, 최대가능홍수량(PMP)은 합성단위도법과 Chow 방법으로 산정하였다. 각 방법에 의한 PMP를 비교해 본 결과, 통계학적 방법, 수문기상학적 방법, 포격선 방법의 크기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산정된 PMP를 기왕의 최대강수량과 비교해 본 결과 수문기상학적 방법이 기상학적 제요소를 고려한 방법이 가장 타당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산정된 PMP 및 PMF를 확률 수문량과 비교해 본 결과 수문기상학적 방법 및 통계학적 방법은 재현기간 1000년 확률 수문량을 다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격선 방법은 재현기간 200~500년 확률 수문량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규모 수공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위험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PMP로부터 PMF를 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하천유역의 설계 홍수량 결정을 위한 P.M.P.의 산정 및 적용 (PMP Estim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the Design Flood Determination in River Basin)

  • 이순탁;박정규
    • 물과 미래
    • /
    • 제19권1호
    • /
    • pp.75-86
    • /
    • 1986
  • 본연구는 하천유역에 있어서,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홍수량 결정을 위한 최대가능강우량(PMP)분석 및 적용에 그 목적이 있다. PMP는 수문기상학적 방법,통계학적 방법, 포락선 방법으로 산정하였으며, 최대가능홍수량(PMF)은 합성단위도법과 Chow 방법으로 산정하였다. 각 방법에 의한 PMP를 비교해 본 결과, 통계학적 방법, 수문기상학적 방법, 포락선 방법의 크기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산정된 PMP를 기왕의 최대강우량과 비교해 본 결과 수문기상학적 방법이 기상학적 제요소를 고려한 방법이 가장 타당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산정된 PMP 및 PMF를 확률 수문량과 비교해 본 결과 수문기상학적 방법 및 통계학적 방법은 재현기간 1000년 확률 수문량을 다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락선 방법은 재현기간 200∼500 년 확률 수문량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대규모 수공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위험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PMP로부터 PMF를 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 : 2004년 결과와의 비교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Korea : Comparison with 2004 Result)

  • 이옥정;심인경;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4-194
    • /
    • 2018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총 세 번의 전국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추정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1988년에 건설부 주도로 작성된 바 있는데, 1987년까지의 관측된 기상자료를 이용한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을 전국에 적용하여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를 작성하였다. 이후 12년 뒤인 2000년에 건설교통부 주도로 그 동안의 축적된 관측자료를 추가하여 한국가능최대강수량을 추정하였다(건설교통부, 2000a). 2000년의 전국 PMP도 추정은 WMO 보고서(WMO, 1986)를 가능한 충실히 반영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과학적인 측면에서도 한층 진일보된 PMP도가 생산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태풍 '루사' 또는 태풍 '매미'와 같은 관측 최대 강우량 기록을 경신하는 대형 호우사상들이 연이어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기존에 추정된 전국 PMP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에 따라 해당 호우들을 추가하여 전국 PMP도를 개략적으로 재산정하여 제시한 바 있다(건설교통부, 2004). 국외에서는 PMP 추정의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는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보고서(WMO, 1986)가 2009년에 수정되어 발간됨에 따라 PMP 추정절차 중 일부 방법에 대한 기술적 보완이 이루어졌다(WMO, 2009).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 PMP 및 PMF 산정절차 지침 수립 용역 이후 중앙정부 차원의 전국 PMP도 생산은 더 이상 추진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2018년 현재에도 2000년 혹은 2004년에 재산정된 전국 PMP도를 그대로 수자원 실무에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MO(2009)에서 제시하는 방법 및 최근 국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PMP 추정방식을 참고하여 1973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PMP를 추정하여 다양한 지속시간별 영향면적별 전국 PMP도를 생산하고 기존 2004년 보고서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