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I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2초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the Work Efficiency Improvement)

  • 류지웅;송종철;문병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24
    • /
    • 2014
  •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단계별 체계적 관리를 제공하는 사업관리정보시스템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 관리시스템은 사업을 통한 공모과제들의 접수, 선정, 수행관리 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사업 자체에 대한 관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모과제의 관리뿐만 아니라, 시행사업에 대한 총괄관리가 가능한 하향식 전주기적 사업관리의 시스템화를 통해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업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표준화된 체계적 사업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간 연계를 통한 즉각적인 후속 업무 진행으로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적용 사례를 통해 확인한다.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PMIS와 3D Simulation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IMS and 3D Simulation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on Field)

  • 탁승원;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67-970
    • /
    • 2007
  • 건설 프로젝트가 대형화 ${\cdot}$ 복잡화됨에 따라 그 관리 또한 방대한 정보량으로 인해 복잡성이 증대되어 가고 있따. 또한, IT기술이 발점함에 따라 건설기술의 선진화와 정보화를 목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에 IT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설 프로젝트에서 IT기술을 도입함으로서 전문가의 개인적인 경험과 지식을 위주로 하는 공사 관리를 탈피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정보 공유 및 수집 ${\cdot}$ 축적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게 되었고, 건설 프로젝트 참여 주체들간의 정보 공유 및 프로젝트 진행상황 파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건설 산업의 정보화 구조와 정보 시스템인 PMIS 또는 유사기능 솔류선의 의의, 필요성 등을 소개하고, 현장에서 PMIS와 3D Simulation 시스템을 적용하여 정보시스템구축시의 기대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GS건설 TPMS를 통한 동남권유통단지 이주전문상가 현장 PMIS 성공사례 (A Successful Example of the PMIS to Dongnam Distribution Complex Project using TPMS(Total Project Management System) of the GS E&C)

  • 이흥원;박찬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9-134
    • /
    • 2007
  • GS건설은 1996년 한국 건설업계 최초로 EVM 기법을 도입하여 공정과 손익을 연계하여 관리하는 PMS(Project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였다. 2006년 PMS에 Lean Construction 이론과 JIT(Just In Time) 개념을 접목하여 낭비요소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업무 공정을 정립, TPMS(Total Project Management System)를 완성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해 졌다. TPMS의 맞춤형 포탈정보는 발주처, 감리자, 협력사 등의 프로젝트 관계자들에게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관계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맞춤식으로 제공해 줌으로서 사용의 편리성 및 정보의 이용성을 극대화하였으며, 함께 하는 업무 환경을 제공하여 빠른 의사결정 및 원활한 정보공유를 이룰 수 있다. 본 논문은 TPMS의 동남권 현장 적용을 통해 건설현장에서의 PMIS의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중심으로 -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PMIS Effectiveness Measurement - Focusing the Administration DB Construction Projects -)

  • 강동석;유시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3호
    • /
    • pp.417-422
    • /
    • 2009
  • 학술적 중요성 이외에 실무적으로도 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의 타당성 검증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정보시스템 또는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민간기업에서도 IT 투자의 비즈니스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민간부문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한정된 국가예산을 가지고 투입되는 정보화 부문에 대한 투자효과 평가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여러 정부부처별로 진행되고 있는 공공 정보화사업의 체계적이고 비교가 가능한 성과평가를 위해서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표의 개발 및 타당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정보DB구축사업을 대상으로 공공정보시스템 효과성 측정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Assessment of Requirements for Successful Mobil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Lee, Ung-Kyun;Jeong, Hyung Seok David;Woldesenbet, Asregedew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5-53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quirements of tablet PC-based PMIS applications designed for use on construction sites to determine whether these new program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project. In this research, the current market conditions of PMIS running on a tablet PC were analyzed. In addition, two industry surveys were conducted. A research team interviewed some industry experts and identified fourteen useful and desirable function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ablet PC-based applications and project management tool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most effective functions for the tablet PC-based PMIS were identified. The three top-rated functions among those suggested were Contact Information for Job-Related Personnel; Receive and Respond to Submittals, RFIs, and Notices; and Problem Solving for Design and Engineering Issu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mobile application developers and members of other interested group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4CM기반의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개발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4CM)

  • 최성연;김재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1-113
    • /
    • 2011
  •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s driving the rapid evolution of e-commerce and e-business becomes on effective marketing means for both business and institutions, the industry deals with these changes and has a profound, positive impact o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But the construction industry falls behind compared with other industries in productivity, informationalization, automatization and globalization. Especially even though the informationalization is inevitable in any developing society, a number of construction industries can hardly cope with it properly.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gets informationalized and advanced, the introduction of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s making progress actively for the effective construction project control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political promotion and the rising desire for construction informationalization of enterprises, many are attempting to develop integrated systems or to replace a previous system with a more advanced alternativ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has the peculiar properties that the period fo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is limited and on top of that, most of its data processing systems are seen as being an early stage in the design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s a result, there are extremely few appl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MIS system based on new model 4CM that improves on previous models.

건설분야 전자매뉴얼(IETM) 특성화 방안 (A Scheme for discriminating Construction IETM from existing systems)

  • 정진욱;박문서;이현수;지세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98-701
    • /
    • 2008
  • 최근 건설분야 분야에 소개되어 연구 발전되고 있는 전자매뉴얼(IETM :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은 프로젝트 관계자들에게 공사와 관련된 절차와 정보를 적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지만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나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과 같은 기존의 건설정보 시스템들과 개념 및 성격이 비슷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자매뉴얼의 개념을 초기에 특성화하지 않으면 기존 시스템들과 유사한 성격의 시스템이 재생산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자매뉴얼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기존의 건설정보 시스템과의 차별화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BIM 기반 토공 장비 계획 및 운영 자동화 시스템 (BIM Based Automated Planning and Operation System for Earthwork Equipment)

  • 김정환;장준현;민지홍;서종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75-378
    • /
    • 2011
  • 건설공사에서 토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타공종에 비하여 높다. 즉 건설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공사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토공 시스템은 굴삭 조종자와 현장 계획 관리자의 경험적 지식에만 의지하여 토공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노동 집약적 토공작업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로 인하여 토공사를 관리함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당면 과제를 극복하고자 BIM 기반의 토공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굴삭 장비와 연계하는 토공 계획과 운영 자동화 시스템에 대하여 주로 다루게 된다. 굴삭 작업 계획 생성 시스템, 장비 조종 인터페이스, 웹 기반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PMIS)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적용된 BIM 요소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BIM 기반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based on BIM)

  • 김성훈;선오영;박영호;이상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43-24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개발되어 지하철 919공구에 적용된 BIM 기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의 구축방법과 적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최근 대형 국책사업이 발주, 시공되면서 효율적인 공사관리를 위한 PMIS 도입이 보다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텍스트와 그래프 위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법의 하나인 4D, 5D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시도가 되고 있다. 한편, BIM은 건설 전 생애주기에 걸쳐 활용되어야 그 도입목적을 극대화할수 있으나, 현 단계에서는 계획 및 설계단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제 공사중에는 그 활용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BIM 기반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은 공사중, 현장과 본사를 비롯해 발주처와 감리단 등 다수의 공사 주체들이 계획, 설계시 구축된 BIM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BIM의 공사중 활용성을 높일 뿐 아니라 유지관리 단계까지 확장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M 기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절차를 살펴보고, 최종 구축된 통합시스템의 적용성 분석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