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M concentration

검색결과 4,279건 처리시간 0.033초

충청지역 블랙카본 농도 측정 및 PM10, PM2.5 농도와의 비교 분석 연구 (Measurement of Black Carbon Concentration and Comparison with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monitored at the Chungcheong Province in Korea.)

  • 차영범;이시형;이정훈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04
    • /
    • 2017
  • In order to characterize atmospheric aerosols in Chungcheong area, black carbon concentration, which i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global warming,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PM_{10}$, $PM_{2.5}$ concentrations and various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Multi Angle Absorption Photometer (MAAP), a filter-based equipment, was used for the black carbon measurement, and the $PM_{10}$, $PM_{2.5}$ concentrations,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were provided by the local monitoring stations. Black carbon concentration was monitored to be high in spring and winter but low in fall. $PM_{10}$ concentration was observed to be high when westerly wind was strong.

여자 프로농구선수의 무산소성 파워 분석 (The Analysis of Anaerobic Power in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Players)

  • 장정훈;남형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2호
    • /
    • pp.172-18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an analysis of anaerobic power in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players using the Wingate Test Method with bicycle ergometer. Twenty-three subjects(age $21.6\pm2.8years$, body height $178.0\pm7.4cm$, body weight $70.3\pm7.4kg$) were selected from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team whose careers were over 10years and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Each subject peformed a Wingate anaerobic power test to determine total work, peak power, mean power, fatigue index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The following were obtained from result data analysis; 1. The Total Work of athletes was a $1128.7\pm120.6watt$ 2. The Peak Power of athletes was a $449.5\pm53.1watt$ 3. The Mean Power of athletes was a $369.1\pm39.4watt$ 4. The Fatigue Index of athletes was a $33.5\pm6.9\%$ 5.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1.85\pm0.85mM/L$ at the normal state and $3.16\pm1.53mM/L$ at the after Wingate test.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6.96\pm0.81mM/L$ after 3 minute and $6.95\pm1.05mM/L$ after 5 minutes.

  • PDF

서울시 토지피복에 따른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차이 분석 - 산림과 시가화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Seasonal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articulate Matter According to Land Cover of Seoul - Focusing on Forest and Urbanized Area -)

  • 최태영;문호경;강다인;차재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635-646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의 미세먼지 배출과 저감에 관련된 토지피복 유형인 산림과 시가화지역의 영향에 의한 계절별 미세먼지 농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23개 도시대기 측정소의 2016년 PM10, PM2.5 농도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소 주변 반경 3km 내 시가화지역과 산림 비율을 기준으로 3개 그룹으로 측정소를 구분하여 그룹간의 미세먼지 농도 차이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그룹별 시가화지역과 산림의 중심값은 Group A에서 각각 53.4%, 34.6%, Group B는 61.8%, 16.5%, Group C는 76.3%, 6.7%이었다. 계절별 PM10과 PM2.5의 그룹별 농도는 산림 비율이 높은 Group A의 농도가 모든 계절에서 가장 낮았고, 시가화지역 비율이 높은 Group C의 농도는 봄부터 가을까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그룹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Group C 농도는 겨울철에만 Group B보다 낮아졌는데, 겨울철 Group B-C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계절별 고농도 그룹의 농도 대비 Group A의 농도는 PM10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 8.5%, 11.2%, 8.0%, 6.8%, PM2.5에서 3.5%, 10.0%, 4.1%, 3.3% 낮은 수치이었다. PM10과 PM2.5 모두 그룹간 농도 격차가 여름에 가장 크고, 겨울로 가면서 작아졌는데, 이는 산림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이 여름에 크고, 겨울에 작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림과 비교해 시가화지역이 미세먼지 농도에 끼치는 영향은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도시의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 녹지의 기능을 규명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량에 따른 미세먼지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comparison with land-use and traffic volume in Seoul, Republic of Korea)

  • 정종철;이상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23-138
    • /
    • 2018
  •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5에 대해 작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반경 500m의 원을 포함하는 헥사곤을 기준단위로 하여 서울 전역을 구획화하고 보간법 중 거리반비례기법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출, 퇴근 시간대의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토지이용도 및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는 지역별, 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고, 토지이용형태 측면에서는 상업지역 및 교통지역의 면적이 미세먼지 농도분포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녹지의 유무도 농도의 분포 변화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세부적인 토지이용도 및 녹지분포도 등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에서의 공간요소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거실의 공기청정기가 거실과 침실의 초미세먼지 농도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ving room air purifier on reducing PM2.5 in living room and bedroom)

  • 지준호;주상우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7-114
    • /
    • 2021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air purifier located in the living room on the reduction of PM2.5 concentration in the living room and bedroom was investigate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in real-life for about 2 weeks in a Korean apartment building where a 3-person household had lived and the exclusive private area was 84.9 m2. When the air purifier in the living room was operating, the change in PM2.5 concentration was measured when the door to the bedroom connected to the living room was opened and closed. In the case of living with the bedroom door open, the average PM2.5 concentrations in the living room and bedroom were almost the same. When living with the bedroom door closed, the average PM2.5 in the living room was higher than in the bedroom. The ventilation and cooking effects in the living room mainly affected the PM2.5 concentration in the living room. Only one air purifier in the living room was able to keep the PM2.5 concentration in the living room and bedroom low.

인천시 자치구별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호흡기 및 심혈관계 외래환자 수 상관분석 (Analysis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ccording to PM Concentration in the Incheon Area)

  • 이승운;정승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6-28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M10 and PM2.5 on hospital visits in the Incheon area over the period of 2016-2018. Methods: We applied correlation analysis and Poisson regression to perform the analysis us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spiratory diseas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the daily average PM10 and PM2.5 from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djusting for time lag. Results: When the daily average PM10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 ㎍/㎥,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were 1.002 times higher (95% CI [Confidence Interval]; 1.000-1004) in Ganghwa County. As the daily average PM2.5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 ㎍/㎥,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were 1.012 times higher (95% CI; 1.008-1.016) in Ganghwa County. As the daily average PM10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 ㎍/㎥, the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were 1.003 times (95% CI; 1.002-1.004) higher in Gyeyang and Michuhol Counties. As the PM2.5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 ㎍/㎥, the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were 1.003 times higher (95% CI; 1.002-1.005) in Bupyeong County. Conclusions: In some parts of the Incheon area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서울 성북지역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결합 수은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ne Particles and Particles-bound Mercury in Seongbuk-gu Area of Seoul Metropolitan City)

  • 박은정;이종화;김대선;박광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2호통권57호
    • /
    • pp.185-188
    • /
    • 2007
  • PM10 and PM2.5 in ambient air were collected in Seongbuk-gu area of Seoul for one year, from April 2005 to February 2006, and the concentration of PM-bound mercury was monitored. The annual concentrations of particles were $66.4{\pm}43.2{\mu}g/m^3\;(47.6{\pm}19.1{\mu}g/m^3-106.1{\pm}78.0{\mu}g/m^3)$ in PM10 and $37.2{\pm}20.4{\mu}g/m^3\;(28.0{\pm}23.4{\mu}g/m^3{\sim}42.7{\pm}21.4{\mu}g/m^3)$ in PM2.5, which is about 56% of PM10 concentration.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mercury were $0.125{\pm}0.078ng/m^3\;in\;PM10\;and\;0.141{\pm}0.080ng/m^3$ in PM2.5, respectively. In April of Asian dust season in Korea, mercury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both PM10 and PM2.5.

가로녹지 및 건물 높이가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reen Space in Roadside and Building Height on the Mitigation of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 홍석환;톈완팅;안로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66-482
    • /
    • 2020
  • 본 연구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도시 개발 형태에 따라 인접 생활권별로 어떻게 확산되는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상남도 밀양시청 앞 6차선 도로를 중심으로 한 도로영향권 시가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VI-met 모델을 가로녹지 유무, 도로변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변수를 조정하여 미세먼지 농도의 확산정도를 파악하였다. 모델링 결과 도로변 건물이 고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우 인접 생활권으로 확산된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는 고층건물군에 가로녹지가 없는 상태의 농도가 낮았다. 반면 저층건물군이 형성된 경우에는 가로녹지 유무에 관계없이 인접생활권으로 확산된 미세먼지 농도는 높게 나타났다. 고층건물의 경우 빌딩풍에 의해 건축물 주변으로 강한 바람이 형성되는 만큼 바람에 의해 미세먼지가 빠르게 외부로 확산되어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가로녹지 조성이 도로변 생활권에 미치는 미세먼지 저감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특히 도로변 건축물이 저층일 경우 가로녹지를 조성과 생활권미세먼지농도변화와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가 도로에서만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여 모델링을 진행한 것으로 향후 다양한 변수에 따른 미세먼지 확산모형 연구 및 현장연구의 보완을 필요로 하였다.

비갑상선 중증 질환에서 혈청 $fT_3$$rT_3$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Serum $fT_3\;and\;rT_3$ Concentration in Nonthyroidal Critical Illness)

  • 이종화;김주옥;유철재;문윤성;신영태;노흥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3-111
    • /
    • 1985
  • Recently changes in thyroid physiology during acute and chronic medical illness were demonstrated. The serum $fT_3,\;rT_3,\;T_4,\;T_3,\;fT_4$, and TSH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method in 49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and 10 normal subjects to assess the change of thyroid function in critical ill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erum $fT_3$ concentration was $6.68{\pm}1.05pmol/ml$ in normal subjects while in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the serum $fT_3$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to $1.55{\pm}1.15pmol/ml$(p<0.001). 2) The mean serum $rT_3$ concentration was $0.22{\pm}0.44ng/ml$ in normal subjects and $0.42{\pm}0.37ng/ml$ in patient with critical illness. There was incre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as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mean serum $T_3$ concentration was $1.24{\pm}0.25ng/ml$ in normal subjects and $0.56{\pm}0.56ng/ml$ in patients with criticial illnes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other(p<0.005). 4) The mean serum $T_4,\;fT_4$, and TSH concentrations were $7.80{\pm}1.02{\mu}g/dl,\;1.26{\pm}0.39ng/dl,\;1.87{\pm}0.45{\mu}U/ml$ in normal subjects respectively and $6.02{\pm}3.06{\mu}g/dl,\;1.46{\pm}0.80ng/dl,\;1.74{\pm}0.79{\mu}U/ml$ in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itically ill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5) The ratio of mean serum concentration of $fT_3$ and $rT_3(fT_3/rT_3)$, $30.42{\pm}5.58$ in normal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p<0.005) than the coresponding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6) The mean serum $fT_3$ concentration in expired cases(n=12)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ired and survived cases(p<0.005). The mean serum $rT_3$ centration was $0.67{\pm}0.58ng/ml$ in expired cases and $0.34{\pm}0.22ng/ml$ in survived cas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05). Half of the cases who showed less than $3{\mu}g/dl$ of serum $T_4$ level were expired.

  • PDF

폐암에서 혈장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및 Type 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Plasma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and Type 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in Lung Cancer)

  • 박광주;김형중;안철민;이두연;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16-524
    • /
    • 1997
  • 목 적 : 악성 종양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분해는 종양 침습 및 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u-PA)는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 중 하나이며, u-PA의 길항제인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PAI-1, PAI-2)도 u-PA에 의한 종양조직 자체의 분해를 방어하여 종양의 성장, 침습 및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u-PA와 PAI-1은 폐암 등의 종양 조직내의 양이 증가하며, 침습도 및 예후 둥과 유의하게 상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 등은 폐암환자의 혈장 u-PA와 PAI-1의 농도를 측정하여 조직형 및 병기와의 관련성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방 법 : 폐암 환자 37예, 여러 가지 양성 폐질환 환자 21예 및 유사연령의 정상 대조군 24예에서 혈장 u-PA 및 PAI-1 항원의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혈장 u-PA 항원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0{\pm}0.3ng/mL$, 양성 폐질환군에서 $1.0{\pm}0.3ng/mL$, 폐암환자군에서 $0.9{\pm}0.3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4.2{\pm}6.7ng/mL$, 양성 폐질환군에서 $14.9{\pm}6.3ng/mL$, 폐암 환자군에서 $22.1{\pm}9.8ng/mL$로 폐암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및 양성 폐질환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u-PA 항원 농도는 편평상피암에서 $0.7{\pm}0.4ng/mL$, 선암에서 $0.8{\pm}0.3ng/mL$, 대세포암에서 0.9ng/mL, 소세포암에서 $1.1{\pm}0.7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편평상피암에서 $22.3{\pm}7.2ng/mL$, 선암에서 $22.6{\pm}9.9ng/mL$, 대세포암에서 42ng/mL, 소세포암에서 $16.0{\pm}14.2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PA 항원 농도는 stage I에서 0.74ng/mL, stage II에서 $1.2{\pm}0.6ng/mL$, stage IIIA에서 $0.7{\pm}0.4ng/mL$, stage IIIB에서 $0.7{\pm}0.4ng/mL$, stage IV에서 $0.7{\pm}0.3ng/mL$였고,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stage I에서 21.8ng/mL, stage II에서 $22.7{\pm}8.7ng/mL$, stage IIIA에서 $18.4{\pm}4.9ng/mL$, stage IIIB에서 $25.3{\pm}9.0ng/mL$, stage IV에서 $21.5{\pm}10.8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암 환자에서 T기를 T1-3 와 T4로 나누어서 비교를 한 결과, 혈장 u-PA 항원 농도는 T1-3에서 $0.8{\pm}0.4ng/mL$였고 T4에서 $0.7{\pm}0.4ng/mL$로 차이가 없었으나,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T1-3에서 $17.9{\pm}5.6ng/mL$였고 T4에서 $26.1{\pm}9.1ng/mL$로 T4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u-PA 항원 농도는 M0에서 $0.8{\pm}0.4ng/mL$, M1에서 $0.7{\pm}0.3ng/mL$였고,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M0에서 $23.6{\pm}8.3ng/mL$, M1에서 $21.5{\pm}10.8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폐암 환자에서 혈장 PAI-1은 정상대조군 및 양성 폐질환에 비하여 특이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폐암의 국소적 침습 정도와의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