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C%28Programmable Logic Controller%29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자동차 안전벨트 부품 제조공정에서의 효율적 공정품질정보 분석 모형 (An Efficient Analysis Model for Process Quality Information in Manufacturing Process of Automobile Safety Belt Parts)

  • 공명달
    • 대한설비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38
    • /
    • 2018
  • Through process quality information, the time required for process quality analysis has been drastically shortened, the process defect rate has been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lead time has been shortened and the on-time delivery rate has been improv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ality information analysis system model that effectively shortens the time required for process quality analysis in automobile safety belt parts manufacturing process. As a result of experiments on communication operation between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quality server, injection machine control computer, injection machin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terminal, in analyzing quality information,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method took an average of 20 minutes, but the new multi-network method took about 2 minutes on average. In addition, the process defect rate was reduced by 13% and the manufacturing lead time was shortened from 28 hours to 20 hours. The delivery compliance rate improved from 96 to 99%.

양전자단층촬영장치에서 호흡의 영향에 따른 종양의 변화 분석 (Defining the Tumour and Gross Tumor Volume using PET/CT : Simulation using Moving Phantom)

  • 진계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35-942
    • /
    • 2021
  • 호흡에 의한 체내 장기의 불수의적 움직임은 방사선 치료 및 진단의 결과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호흡에 따른 장기 또는 종양의 움직임을 모사하기 위한 움직임 팬텀을 제작하고 다양한 호흡모사 조건에서 18F-FDG PET 스캔 영상을 획득하여 호흡에 따른 종양의 움직임 범위와 종양의 크기에 따른 인공물의 수준 및 표준섭취계수 최대값(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를 분석하였다. 운영체계로 윈도우 CE(Windows CE) 6.0 기반으로 전동액추에이터, 전동액추에이터 포지셔닝 드라이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을 이용한 위치 및 속도 조절 모듈은 이동거리 0-5 cm와 왕복이동 10회, 15회, 20회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지연시간 100분에서 구의 지름 10, 13, 17, 22, 28, 37mm일 때 각각 80.4, 99.5, 107.9, 113.1, 128.0, 124.8%로 측정되었다. 이동거리가 같을 때 호흡수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다. 호흡수를 20회 하고 이동거리를 1 cm, 2 cm, 3 cm, 5 cm일 때 구의 지름이 10, 13, 17, 22, 28, 37 mm에서 이동거리가 길어질수록 구의 크기가 작은 것 부터영상의 구분 능력이 저하되었다. 정지영상에 비하여 이동거리를 5 cm로 하였을 때, 표준섭취계수의 최대값은 구의 지름이 10, 13, 17, 22, 28, 37 mm에서 각각 18.0%, 23.7%, 29.3%, 38.4%, 49.0%, 67.4%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