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LLING UP WASTE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5초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for Restoration of Ecosystem after Stabilization Construction)

  • 이경재;오충현;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6-132
    • /
    • 1997
  • 난지도는 서울외곽의 한강변에 위치한 면적 272ha인 섬으로, 1978년부터 1993년까지 약 15년간 서울지역에서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 92,000,000m$^{2}$를 매립한 곳이다. 1996년 10월 현재 난지도의 현존식생면적은 191ha로서 이중 목본식물은 31ha이고 나머지는 초본식물이 우점종인 군락이었다. 목본식물 면적 중 아까시나무와 능수버들은 전체의 83%를 차지하고 있었다. 토양은 서울지역의 일반적인 토양이 산성으로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알카리성이며, 토양과 현존식생분포사이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난지도의 현존식생은 난지도 토양 안정화공사 이후의 식생목원지침 마련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의 생태계 복원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첫째, 다양한 선구수종, 자생수종, 식이식물의 활착실험을 통해 난지도에 적합한 수종 선발. 둘째, 자생수종을 활용한 사면안정 공법의 개발 및 지역 특성에 적합한 식재계획 마련. 셋째, 동물 생태계 조사를 통한 동물생태계 복원계획 수립

  • PDF